2023년 3분기 누적 R&D 톱5 셀트리온 삼바∙대웅∙GC녹십자∙유한
코스피 평균 484억원, 코스닥 86억원..전년대비 각각 8.2%, 4.3% 증가
입력 2023.12.19 06:00 수정 2023.12.19 06:0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올해 3분기까지 연구개발비 투자가 가장 많은 기업은 셀트리온삼성바이오로직스대웅제약, GC녹십자유한양행인 것으로 나타났다.

약업닷컴이 2023 11 3분기 보고서(연결기준 상장 81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코스닥 40개사)의 연구개발비를 분석한 결과코스피 제약바이오사들은 평균 484억원(매출비중 10.6%), 코스닥 제약바이오사들은 평균 86억원(매출비중 6.7%)을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이는 전기 대비 코스피 8.2%, 코스닥은 4.3% 각각 증가한 것이다.

 

◇ 코스피 제약바이오사(41개사)

2023년 코스피 3분기까지 누적 연구개발비를 보면 셀트리온(2335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2224억원), 대웅제약(1729억원), GC녹십자(1466억원), 유한양행(1354억원), 한미약품(1352억원), 종근당(1023억원), SK바이오팜(985억원), 일동제약(849억원), 동아에스티(821억원등으로 나타났다

거의 모든 업체가 2분기와 순위가 동일하지만 한미약품과 유한양행만 자리를 바꿨다회사별 세부내역을 보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전년비 506억원 증가(자산인식 44억원 감소비용인식 550억원 증가).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삼성제약(+1079.0%)이 가장 높았고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333.0%), 삼일제약(+126.5%), 신풍제약(+126.3%), 팜젠사이언스(+101.3%), 이연제약(+89.7%), 환인제약(+89.1%), SK바이오사이언스(+60.2%), 명문제약(+51.3%), JW중외제약(+33.0%) 순이다.

회사별 세부내역은 삼성제약 전년비 135억원 증가(자산인식 120억원 증가비용인식 15억원 증가),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전년비 68억원 증가(비용인식 68억원 증가), 삼일제약 전년비 23억원 증가(비용인식 23억원 증가), 신풍제약 전년비 206억원 증가(비용인식 206억원 증가), 팜젠사이언스 전년비 23억원 증가(자산 12억원 감소비용 264억원 증가등이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SK바이오팜(43.2%), 삼성제약(37.1%), 부광약품(25.3%), 신풍제약(24.5%), SK바이오사이언스(24.1%), 일동제약(18.9%), 환인제약(17.9%), 대웅제약(17.1%), 동아에스티(17.0%),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13.8%)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 전년대비 증감률은 삼성제약(+33.7%p)이 가장 높았고신풍제약(+13.7%p), SK바이오사이언스(+10.8%p),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9.5%p), 부광약품(+7.8%p), 환인제약(+6.8%p), 이연제약(+3.3%p), 종근당바이오(+2.0%p), 팜젠사이언스(+1.7%p), JW중외제약(+1.7%p) 순이다.

회사별 세부내역은 부광약품 저년비 28억원 증가(매출 감소에 따른 비중 증가등이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40개사)

2023년 코스닥 상반기 누적 연구개발비를 보면 HK이노엔(512억원), 메디톡스(363억원), 휴온스(247억원), 동국제약(223억원), 에스티팜(216억원), 삼천당제약(171억원), 이수앱지스(167억원), 휴젤(146억원), 코오롱생명과학(113억원), 동구바이오제약(113억원등으로 나타났다.

회사별 세부내역은 메디톡스 전년비 64억원 증가(자산인식 소액감소비용인식 64억원 증가), 에스티팜 전년비 44억원 증가(비용 44억원 증가), 이수앱지스 전년비 36억원 증가(자산 5억원 감소비용 41억원 증가등이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은 삼아제약(+121.6%)이 가장 높았고신일제약(+81.5%), 조아제약(+66.3%), 파마리서치(+53.3%), 대한뉴팜(+47.4%), 신신제약(+42.7%), 제테마(+40.6%), JW신약(+33.5%), 엘앤씨바이오(+30.6%), 이수앱지스(+26.9%) 순이다.

회사별 세부내역은 삼아제약 전년비 27억원 증가(비용 27억원 증가), 신일제약 전년비 16억원 증가(비용 16억원 증가), 조아제약 전년비 7억원 증가(비용 7억원 증가), 파마리서치 전년비 38억원 증가(자산 2억원 증가비용 36억원 증가), 대한뉴팜 전년비 22억원 증가(비용인식 22억원 증가등이다.

매출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이수앱지스(44.4%), 메디톡스(23.7%), 제테마(16.9%), 에스티팜(13.1%), 코오롱생명과학(12.4%), 삼천당제약(12.2%), 경동제약(8.9%), HK이노엔(8.5%), 대화제약(8.3%), 아이큐어(7.9%)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비 전년대비 증감률은 이수앱지스(+3.2%p)가 가장 높았고코오롱생명과학(+3.1%p), 삼아제약(+3.0%p), 메디톡스(+2.7%p), 신일제약(+2.1%p), 조아제약(+1.7%p), 에스티팜(+1.6%p), 경동제약(+1.5%p), 대한뉴팜(+1.3%p), 동구바이오제약(+0.8%p) 순이다.

회사별 세부내역은 코오롱생명과학 전년비 유지(매출 감소에 따른 비중 증가등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행복한 팜 스터디②] "약국 경영과 상담 A부터 Z까지" 21일부터 선착순 접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3년 3분기 누적 R&D 톱5 셀트리온 삼바∙대웅∙GC녹십자∙유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2023년 3분기 누적 R&D 톱5 셀트리온 삼바∙대웅∙GC녹십자∙유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