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스템바이오텍 "2024년 K-제약바이오 육성강화 기조 맞춰 신약개발, 기술수출 주력"
아토피, 골관절염 치료제 임상시험 순항중...줄기세포 GMP센터 신사업도 박차
입력 2023.12.13 11:2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강스템바이오텍이 2024년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육성강화 기조 및 글로벌 정세에 맞춰 신약개발과 기술수출에 주력한다.

강스템바이오텍(대표 나종천)는 제대혈(탯줄 혈액줄기세포를 기반으로 한 아토피골관절염 치료제의 임삼시험이 순항 중이라고 13일 전했다

특히 회사는 지난 11월 제대혈 연구 활성화를 위해 기존에 이식만 허용됐던 제대혈 치료를 첨단재생의료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제대혈 관리 및 연구에 관한 법률개정안이 발의돼 신약개발도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1회 주사투약으로 중장기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아토피 치료제퓨어스템-에이디주는 내년 상반기 임상 3상 결과를 발표를 앞두고 있다또 세계 최초 근본적 치료제를 목표로 하는 골관절염 치료제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 임상 1상 결과 역시 2024 1분기를 시작으로 저용량군부터 순차적으로 공개 예정이다

회사 관계자는퓨어스템-오에이 키트주는 초기 임상임에도 MRI 기반 영상의학적 평가가 진행돼 연골 및 연하골부위 재생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조기 기술수출 전략을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줄기세포의 의학적 시술을 재생의료 치료로 규정하는 내용을 담은 첨단재생의료 및 첨단바이오의약품 안전·지원법(첨생법규제완화 개정 추진도 주목된다고 회사는 전했다현재 국내는 중증희귀·난치질환자의 임상연구로만 재생의료가 제한되고 있어많은 국내환자가 줄기세포 치료에 제약이 없는 일본으로 해외 원정 치료를 떠나는 상황이다.

이와 함께 강스템바이오텍은 줄기세포 치료를 위한 GMP센터 기반 신사업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회사는 지난 11월 일본 후생노동성 산하의 PMDA(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로부터 특정세포가공물 제조인정 신청에 관한 시설조사를 받았으며특별한 보완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전했다

이번 실사로 일본으로부터 해외 줄기세포 제조시설 제조 인정을 받아 공식적으로 일본 의료기관에 줄기세포를 배양해 공급할 계획이다승인 후 일본 의료기관으로부터 지방 조직을 제공받아 국내 줄기세포 GMP센터에서 지방 줄기세포를 분리·배양한 뒤 품질시험을 진행다시 일본 의료기관에 공급하는 형식이다. 

강스템바이오텍 관계자는 “2024년은 국내 제약바이오산업 육성강화 기조 및 글로벌 정세에 힘입어 신속한 신약개발과 기술수출은 물론 신사업까지 기대되는 상황이라며아토피골관절염 치료제의 성공적인 임상 결과 확보와 GMP센터 기반 신사업 개시로 그간의 연구개발 성과를 달성하는 결실의 해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강스템바이오텍 "2024년 K-제약바이오 육성강화 기조 맞춰 신약개발, 기술수출 주력"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강스템바이오텍 "2024년 K-제약바이오 육성강화 기조 맞춰 신약개발, 기술수출 주력"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