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테오젠, 신약 개발·상업 가속 위한 LG화학·동아 출신 '인재 영입'
ADC SC제형 및 피하주사용 희귀의약품 개발 핵심 인재 유치, 글로벌 파마 도약 초석 기대
입력 2023.11.21 09:47 수정 2023.11.21 09:5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알테오젠 본사 전경.©알테오젠

알테오젠은 임상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파이프라인의 상업화 및 후속 파이프라인의 개발을 가속화를 위해 경험과 역량이 풍부한 3명의 과학자를 영입했다고 21일 밝혔다. 

알테오젠의 파이프라인이 각각 다른 분야를 다루고 있고, 연구개발도 다양한 단계에 걸쳐있어 이에 대응할 수 있는 경험과 후속 파이프라인 개발을 위한 전문성과 통찰력 등을 세심하게 고려했다는 것이 회사의 설명이다.  

김범준 상무는 연세대학교 생화학과 출신으로 △LG화학 연구원 △바이오버드 수석연구원 △프로테옴텍 연구소장 및 △폴리텍대학 광명융합기술원 교수를 거쳐왔다. 단백질 정제, 분석과 체외진단 마커/ 제품 개발의 강점이 있다. 현재 CTD 검증 등 상업화를 앞둔 약물을 분석하고 있으며, 단백질 신약 개발에서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김연철 상무는 고려대학교 화학공학과 출신으로 △LG화학 △와이바이오로직스 등에서 세포주 및 공정개발, CTD 작성 등을 담당하며 초기개발부터 상업화 단계를 위한 준비까지 다양한 경험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경력을 바탕으로 알테오젠에서는 CTD 작성과 신규 파이프라인을 위한 탐색 등을 담당하고 있다.

박범수 전무는 서강대학교 생물학과 출신이다. △동아제약 연구원 △동아ST 바이오텍연구소장을 역임했다. 항체를 포함한 단백질 연구에 대한 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다. 초기 연구부터 의약품 허가까지 모든 단계에서 경험을 기반으로 알테오젠의 전략과제를 허가 단계로 이끄는 역할을 하고 있다.

알테오젠 박순재 대표이사는 “회사가 당면한 과제 해결과 장기적인 관점에서 진행할 후속 파이프라인인 ADC SC제형, 피하제형용 희귀의약품 개발을 위하여 연구 및 개발 각 단계에서 풍부한 경험과 역량을 가진 인재를 초빙했다”라며 “이러한 핵심인재 유치는 지속적인 기술수출과 자체 제품을 기반으로, 지속해서 혁신하는 글로벌 파마로 알테오젠이 도약하기 위한 중요한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알테오젠은 하이브로자임(Hybrozyme™)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두 개 품목의 SC제형 치료제가 품목허가를 위한 임상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글로벌 임상 3상이 마무리 단계에 있는 Eylea®바이오시밀러 ALT-L9, 중국 내 파트너사가 임상 3상을 마친 Herceptin®바이오시밀러 ALT-L2 등 다양한 품목이 2025년을 전후로 상업화가 될 것으로 예상 중이다. 회사는 이러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마무리를 위한 지원과 지속적인 기업성장을 위한 신규 파이프라인 개발에 이번 인재 영입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국가검진으로 문 연 C형간염 완치 시대…개원가, 주치의 역할 나선다
면역항암제, 폐암 치료 성적 높이는 신호탄 되나?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알테오젠, 신약 개발·상업 가속 위한 LG화학·동아 출신 '인재 영입'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알테오젠, 신약 개발·상업 가속 위한 LG화학·동아 출신 '인재 영입'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