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멥신, 황반변성 신약후보 1상 최저용량서 안전성 확보
안전성 평가 위원회(SRC) 투약용량 증량 결정…2단계 투약용량 진입
입력 2023.11.09 11:3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항체치료제 개발 전문기업 파멥신은 황반변성 치료 신약 후보물질(PMC-403) 임상 1상이 최저용량 안전성을 확보하고 2단계 투여 용량으로 증량했다고 9일 밝혔다. 이는 최근 개최된 안전성평가위원회(SRC)에서 참석자 만장일치로 결정된 사항이다.

현재 진행 중인 임상 1상에서는 기존 치료제에 불완전하게 반응하는 최대 36명의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PMC-403'의 안전성과 내약성 등을 평가한다. 단회 투여 첫 번째 용량 환자군 모두에서 첫 1달 동안 용량제한독성(DLT)이 없고, 최대교정시력(BCVA) 개선이 확인됨에 따라 SRC 참석자 전원이 2단계 투약 용량으로 증량해 진행하는 것에 동의했다. 임상 1상 첫 번째 투여용량은 최저 용량인 0.7mg이었다. 본 임상 1상은 안전성과 내약성 이외에도 최대교정시력의 변화 등의 유효성 평가 변수를 2차 지표로 평가한다.

'PMC-403'은 기존 표준 치료제인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억제제와는 달리 TIE2에 결합하여 혈관정상화를 유도하는 황반변성 신약 후보물질이다. TIE2는 비정상신생혈관생성, 내피세포와 주변세포 간 부착(Junction) 등을 정상화한다.

파멥신 유진산 대표는 “임상은 진행과정 중에 변수가 많아 확언할 수 없지만, 이번 최저용량 투약군 모두에게서 확인된 시력개선 효능으로 PMC-403이 노인성 안과질환에 새로운 치료옵션으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면서 “PMC-403의 혈관안정화 기전은 안과 질환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혈관질환의 치료에도 가능성을 보이고 있어 적응증 확대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황반변성은 망막의 노화로 인한 실명질환으로, 시신경 조직인 황반의 비정상적인 혈관이 원인이다. 전 세계 인구 고령화로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표준 치료제인 혈관내피성장인자(VEGF) 억제제로는 최적의 치료가 보장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기존 치료제들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기전의 치료제에 대한 기대 수요가 높다.

한편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마켓리서치퓨처(MRF)는 글로벌 황반변성 치료제 시장 규모는 2021년 96억 달러에서 2027년 153억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파멥신, 황반변성 신약후보 1상 최저용량서 안전성 확보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파멥신, 황반변성 신약후보 1상 최저용량서 안전성 확보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