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렌진(대표 안재형)이 지난 8월 23일(미국 현지 기준) ‘항 메소텔린 scFv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셀렌진은 2021년 9월 국내 특허 등록 이후 호주, 중국, 일본, 캐나다에 이어 다섯 번째 해외 특허를 승인받게 됐다.
이번 미국 특허 등록 결정은 기존 메소텔린을 타깃하는 scFv 기술 대비 셀렌진이 보유한 미니 항체 기술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셀렌진은 국내·외 CAR-T 치료제 개발 기업들 가운데 그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게 됐다.
CAR-T 치료제는 혈액암 대상으로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이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다. 최근 프리시던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AR-T 치료제 시장은 2022년 기준 38억2000만불(5조800억원)로,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29.8%씩 성장해 2032년에는 885억2000만불(117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7년 최초 FDA 승인을 받은 노바티스의 ‘킴리아’를 비롯해 길리어드 사이언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 존슨앤존슨 등의 글로벌 제약사에서 현재까지 총 6종류의 제품이 출시됐지만 아직까지 고형암 대상의 CAR-T 치료제는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바 없으며 메소텔린 등의 항원을 대상으로 개발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메소텔린은 췌장암, 난소암 등의 고형암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이지만 낮은 항암 효능 등으로 신약 개발에 활용이 어려웠다. 셀렌진의 기술은 더욱 큰 의미를 지니는 이유다. 셀렌진에 따르면 메소텔린 미니 항체를 탑재한 CAR-T 치료제는 췌장암 동물시험에서 1회 투여로 한 달 이내 시험 동물 모두에서 종양이 사라지는 효과를 보이기도 했다.
셀렌진 관계자는 “이번 특허 등록에 기반하여 미충족 수요가 높은 암종인 췌장암과 난소암을 대상으로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라며 “2030년 연매출 1조 원 이상의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2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3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4 | '기분 탓'이라 넘기기엔 너무 위험…양극성장애, 평균 진단까지 6년 |
5 | K-뷰티 북미 공략 본격화… 'CPNA 2025' 한국 190여개사 참가 |
6 | KEY NOTES for MANAGEMENT: 2025년 06월 |
7 | "개인의 돌봄 부담, 사회가 함께 나눠야"…전국민 장기요양보험 확대 목소리 |
8 | 화장품은 프랑스를 대표하는 산업이다! 쎄파띠~ |
9 | J&J서 분사 ‘켄뷰’ 매각 전주곡? CEO 전격교체 |
10 | "VC·AC 주목해주세요" 유망 스타트업 투자유치 플랫폼 '빅웨이브'에 총집합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셀렌진(대표 안재형)이 지난 8월 23일(미국 현지 기준) ‘항 메소텔린 scFv를 포함하는 키메릭 항원 수용체 및 이의 용도’에 대한 미국 특허 등록이 결정됐다고 18일 밝혔다. 셀렌진은 2021년 9월 국내 특허 등록 이후 호주, 중국, 일본, 캐나다에 이어 다섯 번째 해외 특허를 승인받게 됐다.
이번 미국 특허 등록 결정은 기존 메소텔린을 타깃하는 scFv 기술 대비 셀렌진이 보유한 미니 항체 기술의 우월성을 입증하는 것으로, 이를 통해 셀렌진은 국내·외 CAR-T 치료제 개발 기업들 가운데 그 독보적인 기술력을 인정받게 됐다.
CAR-T 치료제는 혈액암 대상으로 높은 치료 효과를 보이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다. 최근 프리시던스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CAR-T 치료제 시장은 2022년 기준 38억2000만불(5조800억원)로,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29.8%씩 성장해 2032년에는 885억2000만불(117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17년 최초 FDA 승인을 받은 노바티스의 ‘킴리아’를 비롯해 길리어드 사이언스, 브리스톨마이어스스큅(BMS), 존슨앤존슨 등의 글로벌 제약사에서 현재까지 총 6종류의 제품이 출시됐지만 아직까지 고형암 대상의 CAR-T 치료제는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바 없으며 메소텔린 등의 항원을 대상으로 개발이 진행 중인 상황이다.
메소텔린은 췌장암, 난소암 등의 고형암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이지만 낮은 항암 효능 등으로 신약 개발에 활용이 어려웠다. 셀렌진의 기술은 더욱 큰 의미를 지니는 이유다. 셀렌진에 따르면 메소텔린 미니 항체를 탑재한 CAR-T 치료제는 췌장암 동물시험에서 1회 투여로 한 달 이내 시험 동물 모두에서 종양이 사라지는 효과를 보이기도 했다.
셀렌진 관계자는 “이번 특허 등록에 기반하여 미충족 수요가 높은 암종인 췌장암과 난소암을 대상으로 상용화에 나설 계획”이라며 “2030년 연매출 1조 원 이상의 신약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