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스다임(대표 김성재)이 최근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준성)과 백신 개발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서 양측은 백신 개발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비임상시험 및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과 더불어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및 승인을 목표로 상호 협력에 나선다.
구체적 협력 내용은 올해 말 비임상시험의약품 생산 및 검증을 진행하고, 내년에는 비임상(GLP) 동물모델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착수해 식품의약안전처(MFDS)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신청을 목표로 한다.
2021년도에 설립된 백스다임은 백신 신속개발 원천기술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코로나19 백신을 포함한 개량형 백신 및 신종 전염병에 대한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된 이 날 협약식에는 이화여대 측에서 산학협력단 이준성 단장, 장준 약학과 교수, 곽혜선 약학대학 대학장, 이혁진 약학대학 학과장, 우현애 연구처부처장 등이 참석했고, 백스다임에서는 김성재 대표이사, 김승후 부사장, 이하나 부사장, 박기남 이사, 사공민 연구팀장 등 양측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준성 단장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은 우수한 교수진들이 오랜 전통과 경험을 바탕으로 뛰어난 연구 실적을 내고 있다. ‘Ewha Frontier 10-10사업’의 일환으로 약학대학을 선도분야로 선정하여 지원 중에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백신 신속개발 원천기술을 가진 백스다임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글로벌 건강에 기여하는 사회 공헌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백스다임 김성재 대표는 “미래 유행 가능한 신ㆍ변종 바이러스 대응 신속 백신 개발을 위해 국내 대학, 임상시험수탁기관, 생산기관, 글로벌 네트워크 및 정부 기관을 연계할 초석이 마련됐다. 앞으로 국내 자체 백신 개발 및 생산을 통해 대한민국의 백신 주권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백스다임과 이화여대는 지난 4월 2023년도 1차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VITAL-Korea)의 ‘미래대응ㆍ미해결분야 범용인플루엔자’ 분야의 지원 과제로 선정된 ‘T 세포 기반의 범용인플루엔자백신 비임상 시험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백스다임은 2023년도 보건복지부의 미래 팬데믹 신·변종 감염병 대비 백신 개발 관련 두 건의 비임상 과제에 선정되는 등 최근 43억원 상당의 국책 연구 과제를 수주한 화제의 스타트업이다. 현재 진행 중인 국책과제들을 통하여 인체용 백신 신속 개발 플랫폼을 완성하고 차후 팬데믹 시 유전자 재조합 백신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개발할 예정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래엔 우리가 삼바·셀트" 각양각색 6개 바이오텍 비전 밝혀 |
2 | 스트렙토제제, 효능·효과 입증 실패…결국 퇴출 |
3 | 新ㆍ舊 비만 치료제 1년 장기 지속복용 19% 뿐 |
4 | 콜마비앤에이치 3분기 매출 1394억, 전기 比 11.1%↓ |
5 | "성과기반 약학교육, 쉽지 않지만 가야 하는 길" |
6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젠큐릭스와 '종양 오가노이드' 유전체 분석·연구개발 계약 |
7 | '파격의 품격' 박호영 회장 "체급, 세대 아우르는 진짜 통합 보여줄 것" |
8 | SK바이오팜, 2024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단행 |
9 | 파멥신, 황반변성 신약후보 'PMC-403' 국과 과제 선정…임상시험 탄력 |
10 | 알리코제약, 무역의 날 60주년 ‘2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백스다임(대표 김성재)이 최근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단장 이준성)과 백신 개발을 위한 업무협력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서 양측은 백신 개발을 위한 정보를 교환하고, 비임상시험 및 임상시험용의약품 생산과 더불어 임상시험계획(IND) 제출 및 승인을 목표로 상호 협력에 나선다.
구체적 협력 내용은 올해 말 비임상시험의약품 생산 및 검증을 진행하고, 내년에는 비임상(GLP) 동물모델 안전성 및 유효성 평가를 착수해 식품의약안전처(MFDS)로부터 임상시험계획(IND) 승인 신청을 목표로 한다.
2021년도에 설립된 백스다임은 백신 신속개발 원천기술 보유한 스타트업이다. 코로나19 백신을 포함한 개량형 백신 및 신종 전염병에 대한 백신을 신속하게 개발하기 위한 원천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 진행된 이 날 협약식에는 이화여대 측에서 산학협력단 이준성 단장, 장준 약학과 교수, 곽혜선 약학대학 대학장, 이혁진 약학대학 학과장, 우현애 연구처부처장 등이 참석했고, 백스다임에서는 김성재 대표이사, 김승후 부사장, 이하나 부사장, 박기남 이사, 사공민 연구팀장 등 양측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 자리에서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준성 단장은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은 우수한 교수진들이 오랜 전통과 경험을 바탕으로 뛰어난 연구 실적을 내고 있다. ‘Ewha Frontier 10-10사업’의 일환으로 약학대학을 선도분야로 선정하여 지원 중에 있다. 이번 업무협약으로 백신 신속개발 원천기술을 가진 백스다임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발돋움하고 글로벌 건강에 기여하는 사회 공헌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백스다임 김성재 대표는 “미래 유행 가능한 신ㆍ변종 바이러스 대응 신속 백신 개발을 위해 국내 대학, 임상시험수탁기관, 생산기관, 글로벌 네트워크 및 정부 기관을 연계할 초석이 마련됐다. 앞으로 국내 자체 백신 개발 및 생산을 통해 대한민국의 백신 주권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을 목표로 세계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백스다임과 이화여대는 지난 4월 2023년도 1차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VITAL-Korea)의 ‘미래대응ㆍ미해결분야 범용인플루엔자’ 분야의 지원 과제로 선정된 ‘T 세포 기반의 범용인플루엔자백신 비임상 시험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백스다임은 2023년도 보건복지부의 미래 팬데믹 신·변종 감염병 대비 백신 개발 관련 두 건의 비임상 과제에 선정되는 등 최근 43억원 상당의 국책 연구 과제를 수주한 화제의 스타트업이다. 현재 진행 중인 국책과제들을 통하여 인체용 백신 신속 개발 플랫폼을 완성하고 차후 팬데믹 시 유전자 재조합 백신을 안전하고 신속하게 개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