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약제학회(회장 원권연)는 오는 15일 The-K 호텔 서울 본관 2층 가야금홀에서 ‘미래의약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 활용 전략’을 주제로 2023 제제기술워크숍을 개최한다.
약제학회가 주최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워크숍은 원권연 회장의 개회사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의 축사로 시작될 예정이다.
3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될 이번 제제기술워크숍에서는 이주상 교수 (성균관대학교 의학과/인공지능학과), 김주은 교수 (국민대학교 바이오의약학과), 심정길 수석(한국알테어), 정경호 본부장(에임메드), 박윤정 교수/CTO(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나이벡), 김동환 센터장 (대웅테라퓨틱스), 김정태 대표이사(한국다이이찌산쿄), 박경미 부사장/CDO((주)지노앤컴퍼니), 추성남 연구소장(대화제약(주))으로 구성된 연자진이, △session I에서는 인공지능/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정밀의학 및 신약개발 연구, AI기술 기반 의약품제형설계 및 제조공정 플랫폼 소개, 시뮬레이션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한 제제기술 디지털 트윈, △session II에서는 국내1호 디지털 치료제 솜즈(Somzz)의 의료기술 혁신, 탑스커버리(TOPscovery) 기반 펩타이드 약물 발굴 및 전달 플랫폼, 펩타이드/단백질 약물전달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의약품 개발 현황 및 전략, △session III에서는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현황과 로드맵: 면역항암치료 사례, 경구용 항암제 제형 개발 전략: 파클리탁셀 및 이리노테칸 적용 사례를 주제로 발표한다.
원권연 회장은 “신약개발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높은 규제적 요구사항 및 과학적 복잡성 등으로 인해 성공률이 낮은 특성이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약물전달 기술의 융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의약품 산업과 환자 치료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약제학회에서도 디지털 치료제 등 변화하는 기술을 파악하고, 융복합으로 나아가기 위한 변화를 준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자 한다”고 강조하며, "이에, 본 제제기술 워크숍에서는 ‘본 워크숍을 통해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을 활용한 미래의약 개발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관련 실무자, 연구자, 교수, 포스닥 및 대학원생들께서 많이 참여할 수 있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GC녹십자∙종근당 |
2 | 코로나19 빼고도 '글로벌 백신 시장' 51조원…프리미엄 백신 '성장 동력' |
3 | 서울 ‘한방병원’ 통째 빌린 만수르, 15일간 1억5천만원 쓴 사연은 |
4 | 한미약품, 3분기 매출액 3646억원…전년比 7%↑ |
5 | '네 살은 내가 책임진다!' 글로벌 제약사, 비만 치료제 시장서 격돌 |
6 | 심평원, 2022년 '전문심사 고도화'로 국민의료비 3485억원 절감 |
7 | 파마리서치, 3Q 누적 매출 1910억원...전년동기比 35.4%↑ |
8 | 알테오젠, ‘테르가제’ 히알루로니다제 품목허가 내년 초 전망 |
9 | 일성신약, 3Q 누적 매출 560억원...전년동기比 27.1%↑ |
10 | “미래 혁신 산업 내게 맡겨라” 융복합미래비전포럼 창립대회 성료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약제학회(회장 원권연)는 오는 15일 The-K 호텔 서울 본관 2층 가야금홀에서 ‘미래의약 개발을 위한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 활용 전략’을 주제로 2023 제제기술워크숍을 개최한다.
약제학회가 주최하고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워크숍은 원권연 회장의 개회사와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노연홍 회장의 축사로 시작될 예정이다.
3개의 세션으로 나누어 진행될 이번 제제기술워크숍에서는 이주상 교수 (성균관대학교 의학과/인공지능학과), 김주은 교수 (국민대학교 바이오의약학과), 심정길 수석(한국알테어), 정경호 본부장(에임메드), 박윤정 교수/CTO(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나이벡), 김동환 센터장 (대웅테라퓨틱스), 김정태 대표이사(한국다이이찌산쿄), 박경미 부사장/CDO((주)지노앤컴퍼니), 추성남 연구소장(대화제약(주))으로 구성된 연자진이, △session I에서는 인공지능/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정밀의학 및 신약개발 연구, AI기술 기반 의약품제형설계 및 제조공정 플랫폼 소개, 시뮬레이션과 인공지능의 융합을 통한 제제기술 디지털 트윈, △session II에서는 국내1호 디지털 치료제 솜즈(Somzz)의 의료기술 혁신, 탑스커버리(TOPscovery) 기반 펩타이드 약물 발굴 및 전달 플랫폼, 펩타이드/단백질 약물전달을 위한 마이크로니들 패치 의약품 개발 현황 및 전략, △session III에서는 항암치료의 패러다임 전환: 항체약물접합체(ADC) 엔허투,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현황과 로드맵: 면역항암치료 사례, 경구용 항암제 제형 개발 전략: 파클리탁셀 및 이리노테칸 적용 사례를 주제로 발표한다.
원권연 회장은 “신약개발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높은 규제적 요구사항 및 과학적 복잡성 등으로 인해 성공률이 낮은 특성이 있다"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공지능과 약물전달 기술의 융합이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는 의약품 산업과 환자 치료 분야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약제학회에서도 디지털 치료제 등 변화하는 기술을 파악하고, 융복합으로 나아가기 위한 변화를 준비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고 자 한다”고 강조하며, "이에, 본 제제기술 워크숍에서는 ‘본 워크숍을 통해 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연구자들이 인공지능 및 약물전달 기술을 활용한 미래의약 개발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성공적인 전략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하며 관련 실무자, 연구자, 교수, 포스닥 및 대학원생들께서 많이 참여할 수 있기를 부탁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