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언트는 개발 중인 항암제 두 종의 임상 개발이 궤도에 오르면서 잇단 논문 및 학회 발표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항암제 임상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큐리언트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신속 허가(Accelerated Approval)가 가능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세계적 수준의 항암 연구 병원들과 공동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큐리언트는 먼저 아드릭세티닙(Q702)을 고형암 대상 면역항암제로 개발뿐만 아니라, 바이오 마커를 중심으로 환자를 선정할 수 있는 혈액암으로 적응증 확장을 추진한다.
미국 최고의 암센터 중 하나인 엠디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의 연구진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환자 중 1차 치료제의 저항성을 일으키는 환자에서 아드릭세티닙 기능에 주목하여 큐리언트에 협력 임상 연구를 제안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벤클렉스타(VenclextaTM)와 병용 투여를 통한 2차 치료제 진입으로 설정해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미국 최고의 의료 기관 중 하나인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은 아드렉시티닙을 희귀 혈액암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큐리언트와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조직구증(Histiocytosis)이라고 불리는 희귀 혈액암 환자 중 일부는 아드릭세티닙의 타깃인 CSF1R 활성화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돼, 아드릭세티닙 투여 시 좋은 반응을 보일 것으로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큐리언트는 Q901를 미국 국립 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와 소세포성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치료에 대한 협력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아드릭세티닙과 Q901은 새로운 기전의 진정한 First-in-Class 혁신 신약으로 뛰어난 연구 데이터가 뒷받침돼 임상 개발에 진입한 약물"이라며 "탄탄한 과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임상 결과를 내고 있기에 유수의 암 전문 병원들이 관심을 두고 접촉해 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탄탄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실한 기술 이전을 이루어 낼 것” 이라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GC녹십자∙종근당 |
2 | [약업닷컴 분석] 11월 바이오 '3상 10건'…삼바에피스·동아에스티 항암제 개발 도전 |
3 | “첨단바이오 타깃 CDMO 통했다” 이엔셀 국내 최다 수주, IND 승인 |
4 | 스트렙토제제, 효능·효과 입증 실패…결국 퇴출 |
5 | "미래엔 우리가 삼바·셀트" 각양각색 6개 바이오텍 비전 밝혀 |
6 | "첫 눈오는 계절에, 그대를 임명합니다" |
7 | 서울 ‘한방병원’ 통째 빌린 만수르, 15일간 1억5천만원 쓴 사연은 |
8 | 코로나19 빼고도 '글로벌 백신 시장' 51조원…프리미엄 백신 '성장 동력' |
9 | “급 성장 中 온라인 의료서비스, 한국 기업에게도 기회” |
10 | 최근 5년간 ‘의약품’ 기술이전 39건…32조 경제 파급효과 기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큐리언트는 개발 중인 항암제 두 종의 임상 개발이 궤도에 오르면서 잇단 논문 및 학회 발표가 진행되고 있고, 이에 따라 항암제 임상학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29일 밝혔다. 큐리언트는 신약 파이프라인을 신속 허가(Accelerated Approval)가 가능한 적응증을 대상으로 세계적 수준의 항암 연구 병원들과 공동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큐리언트는 먼저 아드릭세티닙(Q702)을 고형암 대상 면역항암제로 개발뿐만 아니라, 바이오 마커를 중심으로 환자를 선정할 수 있는 혈액암으로 적응증 확장을 추진한다.
미국 최고의 암센터 중 하나인 엠디앤더슨 암센터(MD Anderson Cancer Center)의 연구진은 급성 골수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 AML) 환자 중 1차 치료제의 저항성을 일으키는 환자에서 아드릭세티닙 기능에 주목하여 큐리언트에 협력 임상 연구를 제안했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 환자에서 벤클렉스타(VenclextaTM)와 병용 투여를 통한 2차 치료제 진입으로 설정해 개발이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미국 최고의 의료 기관 중 하나인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은 아드렉시티닙을 희귀 혈액암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큐리언트와의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조직구증(Histiocytosis)이라고 불리는 희귀 혈액암 환자 중 일부는 아드릭세티닙의 타깃인 CSF1R 활성화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확인돼, 아드릭세티닙 투여 시 좋은 반응을 보일 것으로 기대가 크기 때문이다.
큐리언트는 Q901를 미국 국립 암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와 소세포성 폐암(Small Cell Lung Cancer) 치료에 대한 협력 연구개발을 시작했다.
큐리언트 관계자는 “아드릭세티닙과 Q901은 새로운 기전의 진정한 First-in-Class 혁신 신약으로 뛰어난 연구 데이터가 뒷받침돼 임상 개발에 진입한 약물"이라며 "탄탄한 과학적 배경을 바탕으로 임상 결과를 내고 있기에 유수의 암 전문 병원들이 관심을 두고 접촉해 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탄탄한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확실한 기술 이전을 이루어 낼 것” 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