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재태)은 다음달 1일까지 2023년 제3차‘신의료기술평가 길라잡이 서비스’ 신청자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신의료기술평가 길라잡이 서비스’는 안전하고 우수한 의료기술이 의료현장에 조기에 진입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의료기기 개발업체‧의료기관‧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보건의료연구원이 무료로 제공하는 전주기 맞춤형 자문 서비스다.
지원 우선 대상은 △개발단계의 국내 유망 의료기술 △공익적‧사회적 가치가 있는 의료기술 △혁신‧첨단 의료기술이며, 분기별 15건 내외로 선정해 최대 6개월 동안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제3차 ‘신의료기술평가 길라잡이 서비스’는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누리집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접수 마감일은 다음달 1일이다.
길라잡이 서비스 대상으로 선정되면 보건의료연구원이 제공하는 △신의료기술평가 종합 자문 △임상시험계획서 자문 △문헌검색 지원 서비스(교육, 문헌검색 대행) △기타 자문(임상시험계획서 작성 방법 교육 등)을 무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산하에 설치된 의료전문가 인력풀을 활용한 임상시험계획서 자문도 가능하다.
지난달에는 길라잡이 서비스 연계 맞춤형 교육을 신설해 임상시험계획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청인들의 애로사항을 반영한 임상시험계획서 작성 방법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 해당 교육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교육 주제를 발굴해 개발업체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신의료기술평가를 받고자 하는 업체‧기관 또는 의료인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선정 대상 통보는 다음달 18일에 신청인에게 개별 통지되고 자문 일정은 신청인과 협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길라잡이 서비스 지원을 통해 혁신의료기술로 시장진입에 성공한 제조업체의 한 관계자는 “평가 경험이 전무한 스타트업이지만, 종합 자문을 통한 제도별 맞춤형 컨설팅이 혁신의료기술을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재태 원장은 “올해로 시행 3년차에 접어드는 길라잡이 서비스는 기존 절차안내 수준의 대응을 벗어나 대외 전문 컨설팅 역할을 해왔다. 올해부터는 IRB 교육 등을 강화해 업계가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더욱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 중에 있다”며 “보의연이 연구력을 가진 전문기관으로 의료기술의 발전을 견인하는 선도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신임원장으로서 새로운 의료기술을 위한 전주기적 컨설팅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래엔 우리가 삼바·셀트" 각양각색 6개 바이오텍 비전 밝혀 |
2 | 스트렙토제제, 효능·효과 입증 실패…결국 퇴출 |
3 | 新ㆍ舊 비만 치료제 1년 장기 지속복용 19% 뿐 |
4 | 콜마비앤에이치 3분기 매출 1394억, 전기 比 11.1%↓ |
5 | "성과기반 약학교육, 쉽지 않지만 가야 하는 길" |
6 | SK바이오팜, 2024년 조직개편 및 임원인사 단행 |
7 | '파격의 품격' 박호영 회장 "체급, 세대 아우르는 진짜 통합 보여줄 것" |
8 | 알리코제약, 무역의 날 60주년 ‘2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
9 | 애브비, 화이자가 설립한 CNS 전문 제약사 인수 |
10 | 2023 제약산업 광고대상 동아제약 '박카스' 선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보건의료연구원(원장 이재태)은 다음달 1일까지 2023년 제3차‘신의료기술평가 길라잡이 서비스’ 신청자를 모집한다고 21일 밝혔다.
‘신의료기술평가 길라잡이 서비스’는 안전하고 우수한 의료기술이 의료현장에 조기에 진입해 사용될 수 있도록, 의료기기 개발업체‧의료기관‧연구기관 등을 대상으로 보건의료연구원이 무료로 제공하는 전주기 맞춤형 자문 서비스다.
지원 우선 대상은 △개발단계의 국내 유망 의료기술 △공익적‧사회적 가치가 있는 의료기술 △혁신‧첨단 의료기술이며, 분기별 15건 내외로 선정해 최대 6개월 동안 자문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제3차 ‘신의료기술평가 길라잡이 서비스’는 신의료기술평가사업본부 누리집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접수 마감일은 다음달 1일이다.
길라잡이 서비스 대상으로 선정되면 보건의료연구원이 제공하는 △신의료기술평가 종합 자문 △임상시험계획서 자문 △문헌검색 지원 서비스(교육, 문헌검색 대행) △기타 자문(임상시험계획서 작성 방법 교육 등)을 무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신의료기술평가위원회 산하에 설치된 의료전문가 인력풀을 활용한 임상시험계획서 자문도 가능하다.
지난달에는 길라잡이 서비스 연계 맞춤형 교육을 신설해 임상시험계획서 작성에 어려움을 겪는 신청인들의 애로사항을 반영한 임상시험계획서 작성 방법 교육을 성황리에 마쳤다. 해당 교육뿐만 아니라 향후 다양한 교육 주제를 발굴해 개발업체들의 어려움을 해소하는데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신의료기술평가를 받고자 하는 업체‧기관 또는 의료인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으며, 선정 대상 통보는 다음달 18일에 신청인에게 개별 통지되고 자문 일정은 신청인과 협의를 통해 확정할 예정이다.
길라잡이 서비스 지원을 통해 혁신의료기술로 시장진입에 성공한 제조업체의 한 관계자는 “평가 경험이 전무한 스타트업이지만, 종합 자문을 통한 제도별 맞춤형 컨설팅이 혁신의료기술을 준비하는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이재태 원장은 “올해로 시행 3년차에 접어드는 길라잡이 서비스는 기존 절차안내 수준의 대응을 벗어나 대외 전문 컨설팅 역할을 해왔다. 올해부터는 IRB 교육 등을 강화해 업계가 임상적 근거를 마련하는데 더욱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비스 고도화를 추진 중에 있다”며 “보의연이 연구력을 가진 전문기관으로 의료기술의 발전을 견인하는 선도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신임원장으로서 새로운 의료기술을 위한 전주기적 컨설팅에 적극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