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매출 발생 CDMO 사업 순항 중
기술보증기금과 이크레더블로부터 각각 A, A 등급 받아 기술특례상장 요건 충족
입력 2023.08.04 09:48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세포·유전자치료제 위탁개발생산(CDMO) 및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개발 기업 이엔셀이 코스닥 상장 준비에 나섰다.

이엔셀은 지난 27일 한국거래소에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했다. 총 상장 예정 주식수는 934만8404주로, 이 중 공모 예정 주식수는 156만6800주다. 이엔셀 최대주주는 장종욱 대표로 지분율은 22%다. 주관사는 NH투자증권이다.

이엔셀은 2018년 3월 삼성서울병원·성균관대학교 교수인 장종욱 대표가 창업한 기업이다. 이엔셀은 현재 기술특례상장을 노리고 있으며, 지난 6월 기술보증기금과 이크레더블로부터 각각 A, A 등급을 받으며 요건을 충족시켰다. 특히 외부 자금에 의존해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다른 바이오 기업과 달리 자체 개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CDMO사업을 통해 이미 수익을 내 주목받고 있다. 투자 업계 관계자는 이엔셀이 사업성과 기술력에서 유망하다고 평가했다.

이엔셀은 지난해 74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 100억원 이상의 매출이 예상되고 있어 하반기 바이오 기대주로 꼽히고 있다. CDMO 주요 고객사는 얀센, 노바티스 등 글로벌 제약사 및 바이오 벤처기업들이다. 전년도 당기순손실은 455억원이다.

이엔셀 관계자는 “전년도 당기순손실의 대부분은 국제회계기준 상 부채로 인식되는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평가손실에 의한 것"이라며 "지난 7월 상환전환우선주를 모두 보통주로 전환해 자본으로 계산했으며, 이에 따라 대규모 평가손실 및 거래소에서 강조하는 재무건전성 이슈를 모두 해결했다”고 말했다. 

이엔셀은 신약개발사업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원천기술인 ENCT (ENCell Technology) 방법으로 분리 배양한 초기 계대(P3) 중간엽 줄기세포치료제인 ‘EN001’을 듀센 근디스트로피(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적응증으로 지난 6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 1b/2상 임상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 또한 샤르코-마리-투스병(Charcot-Marie-Tooth Disease, CMT) 적응증으로도 1b/2상 임상시험계획 승인을 앞두고 있다. 듀센 근디스트로피 및 샤르코-마리-투스병 모두 희귀질환으로 임상 2상이 종료되면 조건부 허가를 통하여 시판할 수 있다.

한편 이엔셀은 거래소 심사일정에 따라 연내 또는 내년 초까지 코스닥 상장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설립 이후 600억원 이상의 투자를 유치한 만큼 이엔셀의 코스닥 상장 절차 통과와 성공적인 기업공개(IPO)가 기대된다는 게 업계 의견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인터뷰] “반항하라, 그리고 너만의 길을 걸어라”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이엔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매출 발생 CDMO 사업 순항 중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이엔셀, 코스닥 상장 예비심사 청구…매출 발생 CDMO 사업 순항 중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