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28조 9503억원 규모"역대 최고"
식약처, 바이오의약품 생산 및 수출 실적 역대 최고치, 시장규모는 축소
입력 2023.08.01 11:43 수정 2023.08.01 14:3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 2022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28 9,503억원으로 전년(25 4,906 )대비 13.6%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최근 5년간 의약품 생산실적을 살펴보면2018 21 1054억원 2019 22 3132억원 2020 24 5662억원 2021 25 4906억원 2022 28 9503억원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의약품 생산실적은 지난해 국내 제조업 생산실적  차지하는 비율은 5.25% 수준이나 최근 5년간 연평균 8.2% 성장해 전체 제조업 연평균 성장률(2.2%) 4배에 달하는 가파른 성장세를 보였다.

또한 의약품 시장규모도 17.6% 증가한 29 8,595억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의약품 시장규모의 경우 2021 25 3932억원에서 2022 29 8595억원으로 4조원가량 증가했다.

다만 의약외품 시장규모의 경우 마스크 생산이  폭으로 감소(25.5%) 2021 대비 6.7% 감소했으나방역용품(마스크·외용소독제) 제외한 시장규모는 2021 대비 6.8% 성장했다.

전체 의약외품 시장규모는 2021 2 4322억원에서 2022 2 2687억원으로 소폭 감소했다방역용품 이외 의약외품 시장규모의 경우 2021 1 3883억원에서 2022 1 4832억원으로 증가했다.

식약처는 2022 의약품과 의약외품 시장의 주요 특징으로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실적 역대 최고 △코로나19 백신·치료제가 생산·수입실적 상위 차지 △완제의약품·전문의약품의 높은 생산비중 유지 △의약외품 상위 5품목 순위 유지 등을 꼽았다.

◇바이오의약품 생산·수출실적 역대 최대

2022 바이오의약품 생산실적은 2021(4 7,398억원대비 14.2% 증가한 5 4,127억원으로 처음으로 5조원 대에 진입했으며최근 5년간 연평균 20%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생산실적을 살펴보면 2018 2 6113억원 2019 2 5377억원 2020 3 9300억원 2021 4 7398억원 2022 5 4127억원으로 2019 이후 꾸준히 증가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출액은 27 8,593만달러(3 6,000억원) 2021(15 8,738만달러, 1 8,169억원대비 75.5%  폭으로 증가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수출실적을 살펴보면, 2018 15 5925 달러 2019 12 8318 달러 2020 20 1907 달러 2021 15 8738 달러 2022 27 8593 달러다.

식약처는 수출액 증가에 대해 전통적인 효자품목인 바이오시밀러(유전자재조합의약품) 전년 대비 증가했고특히 전문 위탁생산업체가 코로나19 백신을  세계에 공급하여 생산수출액 증가를 견인한 것으로 풀이했다.

바이오시밀러 수출실적을 살펴보면 2021 9 8163 달러에서 2022 14 6869 달러로 49.6% 증가했으며백신 수출실적의 경우 2021 1 9851 달러에서 2022 9 663 달러로 356.7% 급성장했다.

다만, 2022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5 1,663억원으로 2021(7 111억원대비 26.3% 감소해 최근 5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식약처는 이는 2021 급증했던 코로나19 백신 수입 감소를 주요 요인으로 분석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시장규모를 살펴보면 코로나19 백신 수입 감소에도 불구하고 백신이 2021년에 이어 2년째 유전자재조합을 제치고 시장규모 1 자리를 지켰다.

제제별 시장규모 순위를 살펴보면 △백신 2 3,224억원(전년 대비 39%△유전자재조합의약품 1 6,355억원(전년 대비 22.6%△독소·항독소 2,353억원(전년 대비 20.2%△혈액제제 4,503억원(전년 대비 3.3%순이었다.

지난해 바이오의약품 수입액은 25 9,528만달러(3 3,536억원)으로 2021(35 7,175만달러, 4 883억원대비 27.3% 감소했다식약처는 코로나19 유행이 감소하고 국내 생산 확대로 백신의 수입실적이 크게 감소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제제별 수입실적 순위를 살펴보면△유전자재조합의약품 13 6,710만달러(전년 대비 0.1%△백신 11 3,732 달러(전년 대비 46.8%△혈장분획제제 3,782 달러(전년 대비 12.9%△세포·유전자치료제 3,041 달러(전년 대비 9987.7%△독소·항독소 2,263 달러(전년 대비 7.3%순이었다.

첨단바이오의약품인 세포·유전자치료제의 경우 고가의 CAR-T 치료제(1 투여 28만달러) 수입으로 인해 전년 대비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백신치료제생산・수입실적 상위 차지

2022년 완제의약품 생산실적 1, 2위는 코로나19 백신인 모더나코리아 ‘스파이크박스주’‘스파이크박스2주’가 차지했으며수입실적 또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가 1위부터 4위까지 차지했다.

생산순위(품목)을 살펴보면△모더나코리아 스파이크박스주’, ‘스파이크박스2’ △셀트리온 램시마주’ △한독 플라빅스정’ 순이었으며수입순위(품목) 경우 △한국화이자 코미나티주’ △길리어드사이언스코리아 베클루리주정맥주사용 동결건조분말’ △한국화이자 코미나티2’ △모더나코리아 모더나스파이크박스2’ 순이었다.

일반의약품 중 ‘진해거담제’‘해열·진통·소염제’ 순으로 생산액 증가율이 높았는데이는 지난해 코로나19와 감기가 동시에 유행하여 증상 완화를 위한 의약품 수요가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분석된다진해거담제의 경우 2021년 1046억원에서 2022년 2449억원으로 134.2% 증가했으며해열・진통・소염제는 2021년 3395억원에서 2022년 5046억원으로 48.6% 증가했다.

◇ 완제의약품・전문의약품 높은 생산비중 유지

지난해 완제의약품 생산액은 25 5712억원으로 전년대비(22 4451억원) 13.9% 증가했고최근 5년간 연평균 8.4%의 성장율을 보였으며전체 의약품 생산액(28 9503억원중 비중은 88.3%였다.

완제의약품 비중 변화는 2018 87.9% 2019 88.9% 2020 85.6% 2021 88.1% 2022 88.3% 나타났다.

원료의약품 생산액은 3 3792억원으로 전년대비(3 455억원) 11.0% 증가했다생산액 순위는 △셀트리온의 램시마원액’ △셀트리온의 트룩시마원액’ △셀트리온의 허쥬마원액’ 순이었다.

전문의약품은 21 9864억원을 생산해 전년 대비(19 3759억 원) 13.5% 증가하였고완제의약품 중 전문의약품 비중은 86.0%로 나타났다전문의약품 비중 변화는 2018 84.0% 2019 83.7% 2020 84.9% 2021 86.3% 2022 86% 나타났다.

의약외품 TOP5 유지

2022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2 1394억원으로 2021(2 3368억원)보다 8.4% 감소했다식약처는 2022 마스크외용소독제  방역용품 생산실적이 감소한 영향으로 분석했다방역용품 생산실적은 2021 1 623억원에서 2022 7980억원으로 24.9% 감소했다.

다만방역물품 이외의 의약외품 생산실적은 2021 1 2720억원에서 2022 1 3413억원으로 5.4% 성장했다.

지난해 의약외품 생산업체 수는 1113개소로 전년 1324개소보다 15.9% 감소했고, 2022 생산품목 수는 5909개로 전년 6,384개보다 7.4% 감소했습니다.

2022 의약외품 생산액 상위 5 품목군은 마스크 7,075억원(33.1%), 치약제 3725억원 (17.4%), 자양강장변질제 3174억원(14.8%), 생리용품 2748억원(12.8%), 반창고  1587억원(7.4%) 순으로 전년도 생산금액 상위 5 품목과 동일한 순위를 유지했다.

또한 생산액 상위 5 품목군의 생산금액은 1 8309억원으로 전체 의약외품 생산액 2 1394억원의 85.6% 차지했다.

업체별 생산액 상위에서 동아제약이 2021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엘지생활건강유한킴벌리아모레퍼시픽엘지유니참이 뒤를 이었으며이들 업체가 전체 의약외품 생산액의 35.5% 차지했다.

품목별로는 박카스디액이 2021년에 이어 1위를 차지했고박카스에프액까스활액 순이었다.

식약처는 이번 2022 의약품 생산·수출·수입실적 자료가 국내 의약품 산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업계의 제품 연구·개발과 정부 정책 수립  의약품 산업 발전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앞으로도 과학적 규제 서비스와 규제혁신에 기반해 소비자가 믿고 사용할  있도록 의약품 품질 신뢰성을 제고하고글로벌 수준의 품질 확보를 위한 제조품질관리 체계 고도화 바탕으로 우수한 의약품·의약외품이 해외에 진출할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 전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비아트리스의 길, 한국에서 다시 시작된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28조 9503억원 규모"역대 최고"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지난해 국내 의약품 생산 28조 9503억원 규모"역대 최고"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