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바이오협회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 창립총회 및 발족식을 13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한국바이오협회와 RX코리아가 주최하는 국제 바이오 컨벤션인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OPLUS-INTERPHEX KOREA) 2023’(이하 BIX) 행사와 연계해 개최했다.
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올해 초부터 여러 기업과 충분히 사전 준비를 이어온 만큼, 앞으로 협의회를 중심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의 발전을 도모하고 이슈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부회장은 "기업들의 수요와 애로사항을 취합해 긴밀한 협업과 역량의 결집을 통해 민-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산업계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협의회 초대 회장을 맡은 CJ바이오사이언스 천종식 대표이사는 “앞으로 본 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물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약으로서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협력과 상생을 위한 교류를 이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신약 개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하고자 한국바이오협회 산하로 발족했다. 창립 회원사는 총 27개사다. 행사에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기업을 비롯해 유관기관 및 기업 관계자 등 총 100여 명이 참석하며 마이크로바이옴의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13일 오전에 개최한 창립총회에서는 협회 이승규 부회장이 임시의장을 맡아 협의회 운영규정(안)을 심의하고, 회장사, 운영위원사 등 초대 임원사를 선임했다. 초대 회장사에는 CJ바이오사이언스가 선임됐으며, 이후 CJ바이오사이언스의 천종식 대표이사가 회장으로서 정식 의장을 맡아 협의회의 주요 추진사업을 논의했다.
발족식에 이어진 발표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R&D 정책’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에서 발표했고, ‘마이크로바이옴분야의 리더가 되기 위한 제언’에 대해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허준렬 교수가 발표했다. 패널토론에서는 CJ바이오사이언스, 지놈앤컴퍼니, 고바이오랩, 이뮤노바이옴, 에이치이엠파마가 참여해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발전에 필요한 세부 방안에 관해 토론했다
한편 마이크로바이옴은 국내외에서 바이오산업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의약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화가 가능해지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는 약 130조 원에 이르며 2027년까지 연평균약 55%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코아스템켐온, 루게릭병 신약후보 ‘뉴로나타-알’ 3상 바이오마커 추가 결과 발표 |
2 | 파미셀, 수익성 지표 꾸준히 '우상향'…전년 순이익 63억원 |
3 | 파마리서치바이오,지난해 영업익 매출액 '3/1' 육박 |
4 | 네오켄바이오, 의료용 대마 스타트업 분야 글로벌 9위-아태지역 2위 선정 |
5 | 코오롱생명과학, 지난해 순손실 931억원…수익성 회복 '당면 과제' |
6 | 휴마시스 “ 허위사실 유포 등 법적 대응” |
7 | 다임바이오,120억 규모 시리즈A 투자유치..“항암제•뇌질환 치료제 개발 속도” |
8 | 대원제약, '2025 대한민국 채용박람회‘서 인재 모집 |
9 | 동화약품-다케다, 덱실란트‧란스톤LFDT 국내 독점유통 계약 체결 |
10 | 앱클론,'HLX22' 미국 FDA 3상 진행 중 희귀의약품 지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국바이오협회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 창립총회 및 발족식을 13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 행사는 한국바이오협회와 RX코리아가 주최하는 국제 바이오 컨벤션인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 코리아(BIOPLUS-INTERPHEX KOREA) 2023’(이하 BIX) 행사와 연계해 개최했다.
협회 이승규 부회장은 “올해 초부터 여러 기업과 충분히 사전 준비를 이어온 만큼, 앞으로 협의회를 중심으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의 발전을 도모하고 이슈를 해결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이 부회장은 "기업들의 수요와 애로사항을 취합해 긴밀한 협업과 역량의 결집을 통해 민-관 협력을 활성화하기 위한 산업계 콘트롤타워 역할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협의회 초대 회장을 맡은 CJ바이오사이언스 천종식 대표이사는 “앞으로 본 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는 것은 물론,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신약으로서 굳건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협력과 상생을 위한 교류를 이어 나가겠다”고 전했다.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기업협의회(이하 ‘협의회’)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신약 개발 활성화를 중점 추진하고자 한국바이오협회 산하로 발족했다. 창립 회원사는 총 27개사다. 행사에는 마이크로바이옴 신약개발 기업을 비롯해 유관기관 및 기업 관계자 등 총 100여 명이 참석하며 마이크로바이옴의 높은 관심을 증명했다.
13일 오전에 개최한 창립총회에서는 협회 이승규 부회장이 임시의장을 맡아 협의회 운영규정(안)을 심의하고, 회장사, 운영위원사 등 초대 임원사를 선임했다. 초대 회장사에는 CJ바이오사이언스가 선임됐으며, 이후 CJ바이오사이언스의 천종식 대표이사가 회장으로서 정식 의장을 맡아 협의회의 주요 추진사업을 논의했다.
발족식에 이어진 발표에서는 ‘마이크로바이옴 R&D 정책’을 주제로 한국연구재단에서 발표했고, ‘마이크로바이옴분야의 리더가 되기 위한 제언’에 대해 하버드대학교 의과대학 허준렬 교수가 발표했다. 패널토론에서는 CJ바이오사이언스, 지놈앤컴퍼니, 고바이오랩, 이뮤노바이옴, 에이치이엠파마가 참여해 국내 마이크로바이옴 발전에 필요한 세부 방안에 관해 토론했다
한편 마이크로바이옴은 국내외에서 바이오산업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으며 의약품,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산업화가 가능해지면서 국내 관련 기업들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규모는 약 130조 원에 이르며 2027년까지 연평균약 55%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