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론바이오(대표 윤경원)는 탄저(Anthrax) 예방치료제로 개발 중인 바이오신약 BAL200의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를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체계로 구축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BAL200은 바이오테러 등에 악용될 수 있는 ‘탄저’에 대한 대비 수단 제공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개량형 엔도리신 (itLysin)’ 바이오신약이다. 인트론바이오는 BAL200이 미국은 물론, 유럽, 중동 등 여러 국가에서 국가비축물자 (National Stockpile)로 비축 구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AL200은 GLP 독성시험과 실제 탄저균 대상의 유효성 입증 시험 자료를 확보 완료했고, 현재 이를 토대로 기술수출이 추진 중이다. 인트론바이오는 BAL200의 기술가치 제고를 위해 전문 CRO 컨설팅을 진행, 이번 국제적 표준에 부합하는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인트론바이오에 따르면 탄저 대응 기존 약물에는 탄저균 처치 항생제인 노출후예방제 (Post-exposure prophylaxis; PEP), 탄저 감염 예방 백신, 탄저균 분비 독소 (Toxin)를 무력화시키는 항독소제 등이 있다. 그러나 백신은 그 효과가 낮다는 문제가 있고, 항독소제는 탄저균 자체를 없앨 수 없어 근본적 치료 효과가 없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노출후예방제는 내성균에 대하여 효과가 떨어지고 투약 중에 내성균 발생도 흔하게 일어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현재 유일한 탄저균 처치 수단으로 알려진 노출후예방제의 심각한 기술적 문제는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창조된 내성균에는 전혀 효과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인트론바이오 강상현 연구소장은 “BAL200은 탄저균 자체를 매우 빠르게 박멸시킬 수 있으며, 내성균에도 유효하게 작용하고, 인공적으로 창조된 내성균에도 작용할 수 있는 신약 물질인데, 이는 단백질이나 핵산을 타깃하는 기존 항생제들과는 달리, BAL200은 펩티도글리칸 (Peptidoglycan)을 타깃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강 연구소장은 “펩티도글리칸은 세균의 필수적인 핵심구조로서 유전자 정보로 직접 암호화되지 않아, 세균이 BAL200의 효능을 회피하는 내성을 가지도록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인트론바이오 윤경원 대표는 “BAL200은 기존 약물 대비 특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탄저 예방치료제는 전 세계 국가 차원의 국방 기관들에게는 중요한 관심사"라며 "이와 관련한 국방 사업을 추진하는 적합한 파트너를 이번 BIO USA 참가를 통해 직접 만나게 됐고, BAL200에 대한 협력 논의를 이미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표는 “국가 안보를 위한 혁신적 신기술 개발을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협력해 추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국내 연구진,메지온 '유데나필' 통한 폰탄 환자 치료 가능성 제시 |
3 | 지난해 3분기 제약바이오 90개사 유보율 코스피 1866.82%, 코스닥 2559.15% |
4 | 쇼피 2024년 매출 1위 K-뷰티가 휩쓸어 |
5 | “비만치료제 미래는 초장기 지속형 GLP-1다” |
6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7 | 파멥신, 아벤티와 노인성근감소증 신약개발에 힘 합친다 |
8 | 인투셀, 오름테라퓨틱, 동국생명과학까지 "바이오 상장 한파 뚫고 봄바람" |
9 | 16개 시도약사회, 무안공항서 '봉사약국' 운영...의약품 지원도 |
10 | GLP-1 쌍끌이 노보‧릴리 후속주자 줄을 서시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인트론바이오(대표 윤경원)는 탄저(Anthrax) 예방치료제로 개발 중인 바이오신약 BAL200의 임상시험용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를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체계로 구축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BAL200은 바이오테러 등에 악용될 수 있는 ‘탄저’에 대한 대비 수단 제공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는 ‘개량형 엔도리신 (itLysin)’ 바이오신약이다. 인트론바이오는 BAL200이 미국은 물론, 유럽, 중동 등 여러 국가에서 국가비축물자 (National Stockpile)로 비축 구매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BAL200은 GLP 독성시험과 실제 탄저균 대상의 유효성 입증 시험 자료를 확보 완료했고, 현재 이를 토대로 기술수출이 추진 중이다. 인트론바이오는 BAL200의 기술가치 제고를 위해 전문 CRO 컨설팅을 진행, 이번 국제적 표준에 부합하는 임상시험용의약품의 제조 및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인트론바이오에 따르면 탄저 대응 기존 약물에는 탄저균 처치 항생제인 노출후예방제 (Post-exposure prophylaxis; PEP), 탄저 감염 예방 백신, 탄저균 분비 독소 (Toxin)를 무력화시키는 항독소제 등이 있다. 그러나 백신은 그 효과가 낮다는 문제가 있고, 항독소제는 탄저균 자체를 없앨 수 없어 근본적 치료 효과가 없다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노출후예방제는 내성균에 대하여 효과가 떨어지고 투약 중에 내성균 발생도 흔하게 일어난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현재 유일한 탄저균 처치 수단으로 알려진 노출후예방제의 심각한 기술적 문제는 실험실에서 인공적으로 창조된 내성균에는 전혀 효과적이지 않다는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인트론바이오 강상현 연구소장은 “BAL200은 탄저균 자체를 매우 빠르게 박멸시킬 수 있으며, 내성균에도 유효하게 작용하고, 인공적으로 창조된 내성균에도 작용할 수 있는 신약 물질인데, 이는 단백질이나 핵산을 타깃하는 기존 항생제들과는 달리, BAL200은 펩티도글리칸 (Peptidoglycan)을 타깃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강 연구소장은 “펩티도글리칸은 세균의 필수적인 핵심구조로서 유전자 정보로 직접 암호화되지 않아, 세균이 BAL200의 효능을 회피하는 내성을 가지도록 변형되기 어렵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인트론바이오 윤경원 대표는 “BAL200은 기존 약물 대비 특장점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탄저 예방치료제는 전 세계 국가 차원의 국방 기관들에게는 중요한 관심사"라며 "이와 관련한 국방 사업을 추진하는 적합한 파트너를 이번 BIO USA 참가를 통해 직접 만나게 됐고, BAL200에 대한 협력 논의를 이미 시작했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표는 “국가 안보를 위한 혁신적 신기술 개발을 글로벌 파트너와 함께 협력해 추진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