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치료제 개발기업 파멥신은 면역항암제 ‘PMC-309’의 호주 임상 1a/b상 시험 신청서(IND)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 HRECs)에 제출했다고 21일 공시했다.
파멥신은 지난해 12월 미국 머크(MSD)로부터 VISTA 표적 면역항암제 ‘PMC-309’의 임상에 필요한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를 무상공급 받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임상에서 키트루다 병용 임상도 진행한다.
이번 임상 1a/b상은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PMC-309 단독요법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으로 최대내성용량(MTD), 예비 2상 권장 용량(RP2D)등을 확인한다. 임상 1b상에서는 예비 2상 권장 용량(RP2D)에서 PMC-309 단독요법 및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할 계획이며, 호주 3개 기관에서 최대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기관, 오픈라벨 임상으로 진행된다.
PMC-309는 면역억제세포에 있는 VISTA에만 결합하는 특이성을 가진 IgG1 단일클론 항체치료제다. 파멥신에 따르면 종양미세환경(TME) 내 다양한 PH 조건에 상관없는 우수한 결합력과 적응면역(T 세포 활성화)에만 작용하는 기존 약물과 달리 선천면역(단핵구활성화, M1 대식세포 증식)과 적응면역을 모두 활성화하는 차별화된 기전을 가진다. 이에 기존 면역항암제의 언맷니즈(Unmet Needs)를 충족하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로서 잠재된 가능성이 크다.
파멥신 이원섭 연구소장은 “최근 VISTA 타깃 면역항암제 개발회사들의 임상진입 및 빅파마와 공동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면서 “이는 면역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VISTA의 가치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이라 생각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소장은 “내성이나 낮은 반응률로 여전히 고통받는 항암환자들을 위해 혁신 신약(First in Class)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3분기 누적 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GC녹십자∙종근당 |
2 | [약업닷컴 분석] 11월 바이오 '3상 10건'…삼바에피스·동아에스티 항암제 개발 도전 |
3 | “첨단바이오 타깃 CDMO 통했다” 이엔셀 국내 최다 수주, IND 승인 |
4 | 스트렙토제제, 효능·효과 입증 실패…결국 퇴출 |
5 | "미래엔 우리가 삼바·셀트" 각양각색 6개 바이오텍 비전 밝혀 |
6 | "첫 눈오는 계절에, 그대를 임명합니다" |
7 | 서울 ‘한방병원’ 통째 빌린 만수르, 15일간 1억5천만원 쓴 사연은 |
8 | 코로나19 빼고도 '글로벌 백신 시장' 51조원…프리미엄 백신 '성장 동력' |
9 | “급 성장 中 온라인 의료서비스, 한국 기업에게도 기회” |
10 | 최근 5년간 ‘의약품’ 기술이전 39건…32조 경제 파급효과 기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항체치료제 개발기업 파멥신은 면역항암제 ‘PMC-309’의 호주 임상 1a/b상 시험 신청서(IND)를 호주 인체연구윤리위원회(Human Research Ethics Committee, HRECs)에 제출했다고 21일 공시했다.
파멥신은 지난해 12월 미국 머크(MSD)로부터 VISTA 표적 면역항암제 ‘PMC-309’의 임상에 필요한 키트루다(KEYTRUDA, 성분명: 펨브롤리주맙)를 무상공급 받는 계약을 체결했으며 이번 임상에서 키트루다 병용 임상도 진행한다.
이번 임상 1a/b상은 진행성 또는 전이성 고형암 환자를 대상으로 PMC-309 단독요법과 키트루다 병용요법으로 최대내성용량(MTD), 예비 2상 권장 용량(RP2D)등을 확인한다. 임상 1b상에서는 예비 2상 권장 용량(RP2D)에서 PMC-309 단독요법 및 키트루다 병용요법의 안전성, 내약성 등을 평가할 계획이며, 호주 3개 기관에서 최대 6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다기관, 오픈라벨 임상으로 진행된다.
PMC-309는 면역억제세포에 있는 VISTA에만 결합하는 특이성을 가진 IgG1 단일클론 항체치료제다. 파멥신에 따르면 종양미세환경(TME) 내 다양한 PH 조건에 상관없는 우수한 결합력과 적응면역(T 세포 활성화)에만 작용하는 기존 약물과 달리 선천면역(단핵구활성화, M1 대식세포 증식)과 적응면역을 모두 활성화하는 차별화된 기전을 가진다. 이에 기존 면역항암제의 언맷니즈(Unmet Needs)를 충족하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로서 잠재된 가능성이 크다.
파멥신 이원섭 연구소장은 “최근 VISTA 타깃 면역항암제 개발회사들의 임상진입 및 빅파마와 공동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면서 “이는 면역항암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VISTA의 가치가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이라 생각돼 기쁘다”고 말했다. 이어 이 연구소장은 “내성이나 낮은 반응률로 여전히 고통받는 항암환자들을 위해 혁신 신약(First in Class) 개발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