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노스메드가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전시회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가해 KM-819의 개발현황을 공유한다고 2일 전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카이노스메드는 자회사인 FAScinate와 함께 글로벌파마와 연구기관을 비롯해 여러 기관과 미팅을 하고,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 중인 파킨슨질환과 다계통위축증 임상 2상에 대해 설명하고 공동개발 등 차후 개발 계획에 대해 의논할 예정이다.
최근 파킨슨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던 유수의 기업들이 좋지 않은 결과들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파킨슨 치료제 기술 확보에 대한 해외 기업들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노스메드에 따르면 KM-819는 △신경세포 내 FAF1의 비정상적 활성 및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의 비정상적 축적을 제거하여 도파민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근본적 치료제인 first-in-class 약물이기 때문에 그동안의 약물들과는 다른 새로운 기전이라는 점과 △파킨슨병 대상으로 미국 임상2상을 수행, 다계통 위축증 대상으로 한국 임상2상을 현재 수행하고 있는점 △특히 파킨슨병 대상의 미국 임상2상은 미국 자회사인 FAScinate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로슈의 웨어러블 디지털 바이오마커 측정 디바이스를 접목한 프로토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수 글로벌사 및 해외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노스메드 관계자는 “핵심 파이프라인 KM-819 관련 파킨슨질환과 다계통위축증 임상 2상 둘 다 현재 순항 중”이라며 “카이노스메드는 FAScinate 자회사와 함께 이번 바이오USA에서 임상 결과가 나오기 전 KM-819의 물질과 경쟁력, 치료약물로서의 기전, 가능성을 공유해 협력 논의를 진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이노스메드는 지난 5월 8-10일 동안 일본 도쿄에서 열린 IDDST 콘퍼런스에서 참여하여, KM-819 의 전임상 및 임상 개발의 현황에 대해 발표하며 국제적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호응과 관심을 받았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2 | GLP-1의 양면성…체중 감량부터 인지장애 감소...관절염·소화기 위험은↑ |
3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4 | "임상 강국 향한 도전, 한국판 '분산형 임상시험'이 온다" |
5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6 | 치료제 열풍에 관심 커지는 ‘비만법’, 미국도 비만치료제 급여 적용 검토 |
7 | 삼성바이오에피스 김경아 대표 "역대 최대 실적 이어갈 것"…매출 1조5377억원 달성 |
8 | '트럼프 관세' 속도조절에 화장품업계 '일시적' 안도 |
9 | 미국 '틱톡 금지' 유예...급한 불 껐지만 이용자 혼란 |
10 | 젠바디, 브라질 공공기관과 에이즈/매독 동시 진단키트 공급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카이노스메드가 세계 최대 바이오제약 전시회 ‘2023 바이오 인터내셔널 컨벤션(BIO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가해 KM-819의 개발현황을 공유한다고 2일 전했다.
이번 콘퍼런스에서 카이노스메드는 자회사인 FAScinate와 함께 글로벌파마와 연구기관을 비롯해 여러 기관과 미팅을 하고, 현재 미국과 한국에서 진행 중인 파킨슨질환과 다계통위축증 임상 2상에 대해 설명하고 공동개발 등 차후 개발 계획에 대해 의논할 예정이다.
최근 파킨슨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던 유수의 기업들이 좋지 않은 결과들을 잇달아 발표하면서 파킨슨 치료제 기술 확보에 대한 해외 기업들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카이노스메드에 따르면 KM-819는 △신경세포 내 FAF1의 비정상적 활성 및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의 비정상적 축적을 제거하여 도파민 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근본적 치료제인 first-in-class 약물이기 때문에 그동안의 약물들과는 다른 새로운 기전이라는 점과 △파킨슨병 대상으로 미국 임상2상을 수행, 다계통 위축증 대상으로 한국 임상2상을 현재 수행하고 있는점 △특히 파킨슨병 대상의 미국 임상2상은 미국 자회사인 FAScinate가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로슈의 웨어러블 디지털 바이오마커 측정 디바이스를 접목한 프로토콜을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수 글로벌사 및 해외 기업들의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이노스메드 관계자는 “핵심 파이프라인 KM-819 관련 파킨슨질환과 다계통위축증 임상 2상 둘 다 현재 순항 중”이라며 “카이노스메드는 FAScinate 자회사와 함께 이번 바이오USA에서 임상 결과가 나오기 전 KM-819의 물질과 경쟁력, 치료약물로서의 기전, 가능성을 공유해 협력 논의를 진전시킬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카이노스메드는 지난 5월 8-10일 동안 일본 도쿄에서 열린 IDDST 콘퍼런스에서 참여하여, KM-819 의 전임상 및 임상 개발의 현황에 대해 발표하며 국제적 전문가들로부터 많은 호응과 관심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