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진료 플랫폼' 진료 취소 연이어...가이드라인 부재 속 의료 현장 '혼선'
약사회, 자체 플랫폼 가입 독려...닥터나우 "국민도 의사도 모두 불편한 상황"
입력 2023.06.02 06:00 수정 2023.06.02 09:17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대한약사회 최광훈 회장(오른쪽)이 1일 서울시 강남구에서 약국을 운영하는 이준영 약사에게  ‘공적 처방전달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한약사회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이 1일 시작됐지만 '재진 중심', '약 배송 제한' 등 원칙 외엔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이 없어 의료 현장에서 혼란이 이어지는 가운데 복지부는 오는 8월까지 계도기간을 부여했다. 비대면 진료 중개 플랫폼 업체는 어려움을 겪고 있고, 지난 30일 저녁 공적 처방전달 시스템 가동을 시작한 약사회는 회원 약사들의 가입을 독려하고 나섰다.

대한약사회 “공적처방전달시스템 가입 독려”

대한약사회 최광훈 회장은 비대면 시범사업 첫날, 서울 소재 회원약국 5곳을 방문해 공적처방전달시스템 가입을 독려했다.

최 회장은 비대면 진료 플랫폼 가입 약국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알려진 강남구를 시작으로 강동구, 송파구, 서초구, 마포구에 있는 약국을 찾았다. 그는 이 자리에서 “사기업 플랫폼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선 약사회 시스템을 중심으로 회원들이 연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적처방전달시스템에 대해 최 회장은 “2022년 12월부터 디지털위원회를 통해 준비해온 결과가 이번에 공개됐다”며 “비대면 진료에 대응하기 위해 사전에 준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공적처방전달시스템과 사기업 플랫폼의 경쟁에 대한 회원들의 우려에 대해선 최 회장은 “회원들의 연대를 통해 풀어내야 할 사안”이라며 거듭 연대 를 강조했다.

최 회장은 “이 문제는 약사회가 탈퇴나 가입을 독려하기보다는  회원 연대로 풀어야 할 사안”이라며 “플랫폼 업체들이 공적처방전달시스템 가입 문의도 이어지고 있고, 그 결과 모든 약국 관련 내용이 약사회 시스템 안으로 들어오게 될테니 믿고 맡겨달라”고 답했다.

한편, 일부 회원들은 공적처방전달시스템 가입 오류 문제로 어려움을 호소해 최 회장은 시스템 수정 및 개선 작업에 즉각 돌입했다고 밝혔다.

대한약사회는 2일엔 최 회장이 직접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화성시, 수원시 약국을 방문해 공적처방전달시스템 가입 독려를 이어갈 예정이라고 알렸다.

닥터나우 “의료 현장과 국민의 불편함 커”

'재진 위주'와 '약 배달 제한'을 원칙으로 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 시행으로  중개 플랫폼 업계는 사업 운영이 어려운 위기에 내몰렸다. 

플랫폼 업계는 재진 여부와 예외적 초진 대상자의 개인정보를 확인해 비대면 진료 대상자를 가려내야 한다. 여기에 동일 병원에서 동일 의사에게 30일 이내 진료받는다 하더라도 질병 코드가 동일해야만 재진이다. 

닥터나우 전신영 홍보이사는 "진료 후 비대면 진료 가능 여부가 결정 나기 때문에 시스템 상 진료 신청을 거부할 권한도 정보도 아무 것도 없는 상황"이라며 "국민이 진료 신청을 해도 의사 진료 후 거절되는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고 전했다.

전 이사는 "이대로라면 플랫폼이 죽을 수밖에 없고 비대면 진료 역시 자연 소멸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례로, 남성 전문 건강관리 플랫폼인 '썰즈'는 지난 30일부로 사업을 종료했다. 썰즈는 "정부 지침에 의해 6월부터 비대면 진료 및 약 배송 서비스 제공이 더 이상 불가능해짐에 따라 썰즈 또한 비대면 진료 서비스를 종료하게 됐다"고 밝혔다.

플랫폼 업계는 또 약사회의 공적 플랫폼과의 연동에 관련해선 들은 이야기나 협의한 사항이 '전혀' 없다고 했다. 
전 이사는 "해당 사업에 대해 알지도 못하는데 참여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며 "플랫폼 업체로서 지금까지 환자의 비대면 진료 후 약 수령까지의 과정을 케어해 왔는데, 공적 플랫폼 하에선 환자의 불편을 감내만 하고 과정을 직접 들여다 볼 순 없다"고 지적했다. 전 이사는 이용자의 편리성을 높이는 서비스가 중요한 게 플랫폼인데, 약사회 플랫폼은 약사 편리성이 우선"이라며 "과연 약사회 플랫폼이 많은 사람이 편리하게 쓰는 효용성을 만족시킬 수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무엇보다 닥터나우 측은 시범사업 이후 국민 이용률은 변함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진료 신청은 큰 변동 없이 지속이 유입되고 있지만 거절 당하는 사례가 많은 것. 
전 이사는 "오늘(1일)만 해도 의사의 진료 취소 사례가 절반 이상"이라며 "의사가 진료는 원하지만, 동일 질병이 애매한 상황 등에서 불법 행위로 여겨질까 부담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의사들의 불만도 속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진료를 하고 싶은 의사도, 몸이 아파 진료가 필요한 국민도 모두 난감한 상황의 불편함이 빚어지고 있다는 것.

전 이사는 "지금 당장 아픈데 어제까지 가능했던 비대면 진료를 이용하지 못하는 국민의 마음은 어떻겠느냐"며 "어떤 리뷰에는 ‘서럽다’는 표현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전 이사는 "플랫폼계는 이런 불편함을 예견했고 그래서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 달라고 정부에 간곡히 얘기했던 것"이라며 답답한 상황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 '비대면 진료 플랫폼' 진료 취소 연이어...가이드라인 부재 속 의료 현장 '혼선'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 '비대면 진료 플랫폼' 진료 취소 연이어...가이드라인 부재 속 의료 현장 '혼선'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