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트론바이오(대표 윤경원)는 신약파트에서 수행 중인 파지리아러스(PHAGERIARUS)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췌장암 장기 생존자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는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Prophage 및 (non-) ORF-Jamphage를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인트론바이오의 파지리아러스 개발 프로젝트는 면역조절제(Immune regulator, 이하 IR)로 활용될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 유래 단백질을 확보하는 목적이다. 이를 통해 인트론바이오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박테리오파지 기반 면역제제(Phage-based Immunotherapeutics)를 개발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박테리오파지가 세균의 생존,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체내 면역 조절 기능까지 담당할 것”이라며 “인트론바이오는 질환 연관 마이크로바이옴과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 및 기능 분석과 더불어 다양한 IR candidates을 지속 확보하고 있고, 부가적으로는 박테리오파지 유래 단백질의 IR 관련 MOA (Mode of Action) 또한 규명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인트론바이오는 IR candidates 확보 대상 박테리오파지로 용균(lytic) 박테리오파지를 활용, 유전체 내 ORF(Open Reading Frame, 이하 ORF)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체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 세균들이 용원(lysogenic; Prophage/Jamphage) 박테리오파지를 내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찾아냈고, 이러한 용원 박테리오파지가 체내 면역 반응 유도에서 실질적인 중요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해 Prophage/Jamphage로부터 유래한 유전자원을 지속해서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인트론바이오가 타깃하는 주요 암종은 대장암 및 췌장암이다. 특히 췌장암 판정 후 5년 이하 단기 생존자(중앙값: 1.6년, short-term survivors, STS) 그룹 대비 10년 이상 장기 생존자(long-term survivors, LTS) 그룹에서 해당 장기에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이 높은 빈도로 서식 및 존재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알칼리할로바실러스 클라우시이 (Alkalihalobacillus clausii)가 대표적인 마이크로바이옴으로 밝혀졌으며, 인트론바이오는 이들 균주를 확보하고 게놈 분석을 통해 Prophage 및 Jamphage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이, 이들 균주가 췌장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인트론바이오는 특히 이들 균주에 존재하는 Prophage 및 (non-) ORF-Jamphage가 실질적으로 면역을 조절하는 IR 기능을 발휘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이번 분석 결과에 따르면 총 7개의 균주에서 Prophage 4종, ORF-Jamphage 3종, Non-ORF-Jamphage 12종이 확인되고, 총 531개의 ORFs로 구성돼 있음을 최종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이들 Prophage와 (non-) ORF-Jamphage 유래 ORFs이 IR candidates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이렇게 확보된 마이크로바이옴은 일정 기전을 통해 췌장암의 발병과 재발을 줄이고 환자의 면역 을 증진시켜 장기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균주 기능에 실질적인 작용은 Prophage 및 Jamphage가 담당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후속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BD사업부 손지수 본부장은 “현재 파지리아러스 후보 물질로서의 성능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수의 면역조절 후보물질을 확보 중이며, 유병률과 난치율을 고려해 우선 대장암과 췌장암을 주요 암종으로 선택하여 진행하고 있지만, 점차 퇴행성 뇌질환 (알츠하이머 및 파킨슨) 등 신경계 질환 연관 마이크로바이옴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인트론바이오의 박테리오파지 기반 신약은 ‘First-in-Concept’ 신약으로써 여러 면역 연관 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에 다양한 질환의 환자들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확보하여 이들에 대한 Prophage 및 Jamphage를 분석, 확보 후 기능을 규명하는 파지리아러스 개발 프로젝트를 보다 활발하게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트론바이오 윤경원 대표는 “기존 대부분의 박테리오파지 연구개발이 세균성 감염 질환에만 초점을 맞추어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해 왔다면, 인트론바이오는 이를 넘어서서, 박테리오파지를 항바이러스 신약개발과 면역질환 관련 신약개발까지로 그 활용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First-in-Class’ 및 ‘First-in-Concept’ 신약개발 성과로 나타나게 될 것이며, 이와 관련한 해외 기업들과의 협업 및 기술 네트워크 구축에 심혈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3 | '펙수클루'로 엮인 대웅제약·종근당, 4분기 실적 엇갈려 |
4 | 릴리, ‘젭바운드’ 덕분 실적이 바운스 바운스♬ |
5 | 익산병원, '제이엘케이' 뇌졸중 AI 솔루션 도입…"선진 의료시스템 구축" |
6 | 혁신형 제약기업 ‘리베이트 500만원’ 결격기준 수정…내달 행정예고 |
7 | [뷰티누리×트렌디어] 효능주의 소비자 선택은 '스킨 부스터' |
8 | 한국병원약사회, 28대 집행부 첫 상임이사회 개최 |
9 | 소비자들, 혼란 극복 위해 '게으름'의 미학 찾는다 |
10 | 2023년 건강보험 약품비 26조원, 전년比 8.5%↑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인트론바이오(대표 윤경원)는 신약파트에서 수행 중인 파지리아러스(PHAGERIARUS)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췌장암 장기 생존자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는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Prophage 및 (non-) ORF-Jamphage를 규명했다고 30일 밝혔다.
인트론바이오의 파지리아러스 개발 프로젝트는 면역조절제(Immune regulator, 이하 IR)로 활용될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 유래 단백질을 확보하는 목적이다. 이를 통해 인트론바이오는 암을 포함한 다양한 면역 질환을 치료하는 박테리오파지 기반 면역제제(Phage-based Immunotherapeutics)를 개발할 계획이다.
회사 관계자는 “박테리오파지가 세균의 생존, 성장에 필수적인 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체내 면역 조절 기능까지 담당할 것”이라며 “인트론바이오는 질환 연관 마이크로바이옴과 박테리오파지의 유전체 및 기능 분석과 더불어 다양한 IR candidates을 지속 확보하고 있고, 부가적으로는 박테리오파지 유래 단백질의 IR 관련 MOA (Mode of Action) 또한 규명해 나가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인트론바이오는 IR candidates 확보 대상 박테리오파지로 용균(lytic) 박테리오파지를 활용, 유전체 내 ORF(Open Reading Frame, 이하 ORF)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진행해 왔다. 이를 통해 체내에 서식하고 있는 대부분 세균들이 용원(lysogenic; Prophage/Jamphage) 박테리오파지를 내재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찾아냈고, 이러한 용원 박테리오파지가 체내 면역 반응 유도에서 실질적인 중요 역할을 할 것이라 예상해 Prophage/Jamphage로부터 유래한 유전자원을 지속해서 확보해 나가고 있다.
인트론바이오가 타깃하는 주요 암종은 대장암 및 췌장암이다. 특히 췌장암 판정 후 5년 이하 단기 생존자(중앙값: 1.6년, short-term survivors, STS) 그룹 대비 10년 이상 장기 생존자(long-term survivors, LTS) 그룹에서 해당 장기에 특정 마이크로바이옴이 높은 빈도로 서식 및 존재하는 것이 보고되고 있다. 알칼리할로바실러스 클라우시이 (Alkalihalobacillus clausii)가 대표적인 마이크로바이옴으로 밝혀졌으며, 인트론바이오는 이들 균주를 확보하고 게놈 분석을 통해 Prophage 및 Jamphage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다.
앞서 보고된 바와 같이, 이들 균주가 췌장암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인트론바이오는 특히 이들 균주에 존재하는 Prophage 및 (non-) ORF-Jamphage가 실질적으로 면역을 조절하는 IR 기능을 발휘할 것이라 예상하고 있다. 이번 분석 결과에 따르면 총 7개의 균주에서 Prophage 4종, ORF-Jamphage 3종, Non-ORF-Jamphage 12종이 확인되고, 총 531개의 ORFs로 구성돼 있음을 최종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이들 Prophage와 (non-) ORF-Jamphage 유래 ORFs이 IR candidates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이렇게 확보된 마이크로바이옴은 일정 기전을 통해 췌장암의 발병과 재발을 줄이고 환자의 면역 을 증진시켜 장기 생존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이러한 균주 기능에 실질적인 작용은 Prophage 및 Jamphage가 담당하는 것으로 예상하고 후속 개발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BD사업부 손지수 본부장은 “현재 파지리아러스 후보 물질로서의 성능과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수의 면역조절 후보물질을 확보 중이며, 유병률과 난치율을 고려해 우선 대장암과 췌장암을 주요 암종으로 선택하여 진행하고 있지만, 점차 퇴행성 뇌질환 (알츠하이머 및 파킨슨) 등 신경계 질환 연관 마이크로바이옴까지 그 영역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인트론바이오의 박테리오파지 기반 신약은 ‘First-in-Concept’ 신약으로써 여러 면역 연관 질환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기에 다양한 질환의 환자들에서 특징적으로 발견되는 마이크로바이옴을 확보하여 이들에 대한 Prophage 및 Jamphage를 분석, 확보 후 기능을 규명하는 파지리아러스 개발 프로젝트를 보다 활발하게 수행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인트론바이오 윤경원 대표는 “기존 대부분의 박테리오파지 연구개발이 세균성 감염 질환에만 초점을 맞추어 박테리오파지를 활용해 왔다면, 인트론바이오는 이를 넘어서서, 박테리오파지를 항바이러스 신약개발과 면역질환 관련 신약개발까지로 그 활용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First-in-Class’ 및 ‘First-in-Concept’ 신약개발 성과로 나타나게 될 것이며, 이와 관련한 해외 기업들과의 협업 및 기술 네트워크 구축에 심혈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