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나리아바이오(대표 나한익)는 난소암 신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오레고보맙 글로벌 3상에서 환자모집을 마감했다고 30일 밝혔다.
오레보보맙 글로벌 3상은 앤젤레스 세코드(Angeles Secord) 미국 듀크대학 암 연구소 박사를 책임자로 16개국 161개 사이트에서 진행 중이다. 이번 글로벌 임상 3상은 보조항암요법과 선행항암요법 두 개의 코호트로 나눠 진행되는데, 선행항암요법 코호트의 환자 모집은 지난 3월에 마감했고 이번에 보조항암요법 환자 모집을 마감하는 것이다.
나한익 대표는 “2020년 10월 환자모집을 시작해 2년 8개월 만에 환자모집을 마감하게 됐다"면서 “코로나의 영향으로 일부 국가에서 임상 사이트를 열지 못했고 이를 만회 하기 위해 30개 임상 사이트를 추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16개 국가 160여 개 사이트를 관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며, 5개국에 나뉘어 근무하는 임상팀이 24시간 실시간 대응 시스템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환자 모집이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보조항암요법 코호트는 총 372명의 환자를 1대 1로 무작위 배정하는데 무진행생존기간을 30개월 늘린 임상 2상과 동일한 임상 프로토콜로 진행된다. 보조항암요법 코호트는 117명의 무진행생존기간(PFS)가 끝났을 때 중간결과를 보고, 232명의 PFS가 끝났을 때 최종결과를 보게 되는데 빠르면 2분기 중에 중간분석을 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재발환자가 예상보다 적어 3분기 이후로 지연될 것으로 회사는 판단하고 있다.
무진행생존기간을 1차 유효성 평가 지표로 사용하는 항암제 임상에서 임상환자의 재발이 늦어져 중간분석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것은 우려할 사항이 아니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R&D 톱5 셀트리온 삼바∙대웅제약∙GC녹십자∙한미약품 |
2 | CAR-T 한계 극복 'CAR-NK'는 어디까지 왔나 |
3 | 2023 상반기 상품매출 톱5, 코스피 유한양행∙광동제약∙종근당∙GC녹십자∙제일약품 順 |
4 | 2023 상반기 해외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유한양행∙GC녹십자 |
5 | 엔케이맥스, 美자회사 글로벌 콘퍼런스서 'SNK' 비전·경쟁력 발표 |
6 |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훈풍…"지난해 기록 넘어설 것” |
7 | [HIV 특집] 현장 목소리, "질병보다 무서운 '오해와 편견'" |
8 | 이수그룹 김상범 회장, 경영 현장 직접 챙긴다…“생산일정 밀착 관리“ |
9 | 병원 처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국정감사 핫 이슈될까? |
10 | 마크로젠, 유전자 검사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젠톡’ B2B 제휴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카나리아바이오(대표 나한익)는 난소암 신규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오레고보맙 글로벌 3상에서 환자모집을 마감했다고 30일 밝혔다.
오레보보맙 글로벌 3상은 앤젤레스 세코드(Angeles Secord) 미국 듀크대학 암 연구소 박사를 책임자로 16개국 161개 사이트에서 진행 중이다. 이번 글로벌 임상 3상은 보조항암요법과 선행항암요법 두 개의 코호트로 나눠 진행되는데, 선행항암요법 코호트의 환자 모집은 지난 3월에 마감했고 이번에 보조항암요법 환자 모집을 마감하는 것이다.
나한익 대표는 “2020년 10월 환자모집을 시작해 2년 8개월 만에 환자모집을 마감하게 됐다"면서 “코로나의 영향으로 일부 국가에서 임상 사이트를 열지 못했고 이를 만회 하기 위해 30개 임상 사이트를 추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16개 국가 160여 개 사이트를 관리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라며, 5개국에 나뉘어 근무하는 임상팀이 24시간 실시간 대응 시스템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환자 모집이 마무리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보조항암요법 코호트는 총 372명의 환자를 1대 1로 무작위 배정하는데 무진행생존기간을 30개월 늘린 임상 2상과 동일한 임상 프로토콜로 진행된다. 보조항암요법 코호트는 117명의 무진행생존기간(PFS)가 끝났을 때 중간결과를 보고, 232명의 PFS가 끝났을 때 최종결과를 보게 되는데 빠르면 2분기 중에 중간분석을 할 것으로 예상했지만, 재발환자가 예상보다 적어 3분기 이후로 지연될 것으로 회사는 판단하고 있다.
무진행생존기간을 1차 유효성 평가 지표로 사용하는 항암제 임상에서 임상환자의 재발이 늦어져 중간분석이 예상보다 늦어지는 것은 우려할 사항이 아니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079126632489312&mediaCodeNo=257&OutLnkChk=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