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메카코리아의 미국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국내 매출 비중이 가장 크지만, 조만간 미국 실적이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 및 동남아시아 매출도 상승하고 있어, 향후 견고한 성장이 예측됐다.
코스메카코리아는 2023년 1분기 매출은 1159억원을 기록, 전년비 30.3%(269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엉입익은 1410.9%(86억원) 증가한 93억원, 순이익은 6251.7%(72억원) 오른 74억원이었다.
먼저,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국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24억원) 늘어난 471억원이었다. 전체 매출 대비 국내의 비중은 41%로, 여전히 가장 높았지만 지난해 1분기 대비 10%p나 하락했다.
1분기 깜짝 실적은 특히 미국에서의 매출이 훌쩍 신장된 영향이 컸다. 1분기 코스메카코리아의 미국 매출은 443억원으로 전년비 53%(153억원) 늘었다. 전체 매출 대비 비중도 6%p 오른 38%로, 국내에 이어 두번째를 차지했다.
중국 매출은 전년비 23%(25억원) 늘어난 134억원이었다. 매출 비중은 1%p 떨어져 12%를 차지했다. 최근 중국의 애국 마케팅이 국내 업체들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1분기에는 리오프닝의 영향으로 매출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유럽 매출도 많이 늘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유럽에서 5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76%(24억원) 증가한 결과로 상승폭이 컸다. 전기에 비해서도 124%(31억원) 늘어났다. 매출 비중은 1%p 오른 5%였다.
또한 1분기 동남아시아에서는 154%(12억원)이 늘어난 1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비중은 1%p 늘어난 2%였다. 아직 비중이 크진 않지만 꾸준히 동남아시아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만 하다.
그외 기타 지역에서 33억원이 늘어나 36억원을 기록, 모든 지역에서 고르게 매출이 상승해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2 | 2023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 |
3 | 여전히 대세 'CAR-T'㊦ 큐로셀이 끌고 유틸렉스가 밀고 |
4 | 나이벡 "제제기술 발달…펩타이드 신약 성공 가능성 증가" |
5 | 노보 노디스크, 2대 1 비율 주식분할 단행 결정 |
6 | 메디톡스, 2Q 매출 518억원…국내서 80% |
7 | 또 하나의 '서울 바이오 클러스터' 탄생…문정동 바이오헬스 기업 총출동 |
8 | 여전히 대세 'CAR-T'㊤ 글로벌 임상 900건 육박…고형암 도전 확대 |
9 | 백내장 보험금 지급 분쟁..."입원보험금 지급하라" 환자 최종 '승소' |
10 | "창동상계 신경제지구, 전국 클러스터 콘트롤타워 가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코스메카코리아의 미국 실적이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다. 아직까지는 국내 매출 비중이 가장 크지만, 조만간 미국 실적이 뛰어넘을 것으로 보인다. 유럽 및 동남아시아 매출도 상승하고 있어, 향후 견고한 성장이 예측됐다.
코스메카코리아는 2023년 1분기 매출은 1159억원을 기록, 전년비 30.3%(269억원)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영엉입익은 1410.9%(86억원) 증가한 93억원, 순이익은 6251.7%(72억원) 오른 74억원이었다.
먼저,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국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24억원) 늘어난 471억원이었다. 전체 매출 대비 국내의 비중은 41%로, 여전히 가장 높았지만 지난해 1분기 대비 10%p나 하락했다.
1분기 깜짝 실적은 특히 미국에서의 매출이 훌쩍 신장된 영향이 컸다. 1분기 코스메카코리아의 미국 매출은 443억원으로 전년비 53%(153억원) 늘었다. 전체 매출 대비 비중도 6%p 오른 38%로, 국내에 이어 두번째를 차지했다.
중국 매출은 전년비 23%(25억원) 늘어난 134억원이었다. 매출 비중은 1%p 떨어져 12%를 차지했다. 최근 중국의 애국 마케팅이 국내 업체들의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1분기에는 리오프닝의 영향으로 매출이 상승했다.
같은 기간 유럽 매출도 많이 늘었다. 코스메카코리아는 유럽에서 56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76%(24억원) 증가한 결과로 상승폭이 컸다. 전기에 비해서도 124%(31억원) 늘어났다. 매출 비중은 1%p 오른 5%였다.
또한 1분기 동남아시아에서는 154%(12억원)이 늘어난 19억원의 매출을 기록했고 비중은 1%p 늘어난 2%였다. 아직 비중이 크진 않지만 꾸준히 동남아시아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점도 눈여겨볼 만 하다.
그외 기타 지역에서 33억원이 늘어나 36억원을 기록, 모든 지역에서 고르게 매출이 상승해 2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이 올라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