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화장품기업 평균 타사품 유통매출 331억, 전년비 11.7%↑
한국콜마·클리오·청담글로벌·콜마비앤에이치 順
입력 2023.05.19 06:00 수정 2023.05.19 06:0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업신문이 화장품 관련 기업 65개사(코스피 13, 코스닥 44, 코넥스 1, 외감 7)의 경영실적을 분석한 결과 2022년 타사 상품 유통 매출은 평균 331억원으로 나타났다. 전년(296억원) 보다 11.7% 증가했다.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평균 비중은 9.5%로 전년 대비 1.3%p 상승했다. 



△ 2022년 타사 상품 유통 매출 상위 10개사


지난해 타사 상품 유통 매출(이하 유통 매출)이 가장 큰 기업은 한국콜마로 331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대비 7.4% 증가한 금액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7.8%다. 

2위는 클리오로 2629억원이었다. 지배기업의 매출이 436억원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19.5% 늘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96.5%다.     

3위는 청담글로벌로 2087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47%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96.5%다. 

4위 콜마비앤에이치는 1685억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9.3%였다. 5위는 실리콘투가 차지했다.  전년 대비 26% 증가한 1650억원 규모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99.9%이다. 

6~10위는 네이처리퍼블릭(1434억/99%=매출규모/매출액 대비 비중), 아이패밀리에스씨(813억/95.3%), 한국화장품(660억/100%), 에이블씨엔씨(600억/24.2%), 대봉엘에스(557억/59.6%)다.



위노바는 재작년엔 유통 매출이 없었으나 작년 신규발생했다. 유통 매출 규모는 1000만원으로 전체 매출 대비 비중은 0.2%다. 

디와이디, 미원상사, 씨앤씨인터내셔널, 원텍, 진코스테그 케어젠, 클래시스는 유통 매출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디와이디의 경우 재작년 140억원의 유통 매출이 있었으나 작년에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 밖에 LG생활건강, 승일, 아모레퍼시픽그룹, 원익, 제로투세븐, 코리아나화장품, 토니모리, 현대바이오랜드는 유통 매출을 공시하지 않았다. 

△ 전년동기 대비 유통 매출 증가율 상위 10개사


지난해 유통 매출이 전년 대비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코리아코스팩이다. 전년대비 1134.2%나 급증했다. 세부내역은 공시하지 않았다. 유통 매출은 4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5.4%다.

2위는 라파스로 전년 대비 1059.1% 증가했다. 전년 대비 21억원 늘었다. 유통 매출 규모는 23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9.6%다. 

3위는 TS트릴리온으로 전년 대비 780.7% 늘었다. 내수시장에서 억원 증가 영향으로 억원의 유통 매출을 기록했다.   

4위는 전년 대비 366.6% 증가한 본느다. 종속기업에서 120억원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99억원 증가한 126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0.7%다.

5위는 글로본으로 전년 대비 344.2% 증가했다. 유통 매출액은 151억원으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81.7%이다.

6~10위는 코디(275.1%p), 휴젤(171.3%p), 제테마(93.7%p), 울트라브이(88.1%p), 선진뷰티사이언스(50.5%p) 순으로 집계됐다.   

△ 유통 매출 비중 상위 10개사   


일부 업체는 매출의 대부분이 유통 매출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화장품 전체 매출은 타사 상품 유통에서 발생했다. 한국화장품의 지난해 유통 매출은 660억원이다. 

2~3위인 실리콘투와 네이처리퍼블릭은 매출의 99%를 유통 매출이 차지했다. 4~5위는 청담글로벌, 클리오로 매출액 대비 비중은 각각 96.5%다. 6~10위에는 아이패밀리에스씨(95.3%), 글로본(81.7%), 대봉엘에스(59.6%), 메디앙스(55.9%), 선진뷰티사이언스(52.9%) 순으로 랭크됐다.

△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비중 증가 상위 10개 기업

지난해 매출액 대비 유통 매출 비중이 가장 급격히 상승한 기업은 TS트릴리온이다. 재작년 4.6%에서 32.3%로 늘어나 27.7%p 상승했디. 

2위는 글로본으로 65.7%%에서 81.7%로 16.1%p 늘었다. 3위는 본느로 재작년 유통 매출은 5%였으나 올해는 매출액 대비 20.7% 발생했다.

4위는 대봉엘에스로 재작년 50.1%에서 59.6%로 9.6%p 상승했다. 5위는 라파스로 전년 50.1%에서 59.6%로 9.6%p 증가했다. 6~10위는 코디(6.7%p),선진뷰티사이언스(6.5%p), 코리아코스팩(5%p), 휴젤(3%p), 메디앙스(2.7%p)가 차지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분석] 화장품기업 평균 타사품 유통매출 331억, 전년비 11.7%↑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분석] 화장품기업 평균 타사품 유통매출 331억, 전년비 11.7%↑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