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는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하거나 다양한 세포들을 재조합해 만든 오가노이드를 연구하는 오가노이드TF팀을 신설했다고 6일 밝혔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하거나 다양한 세포들을 재조합해 만든 인체 장기유사체를 말한다. 최근 동물대체시험 기술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사 장기’ 혹은 ‘미니 장기’라고도 불리며, 신약개발과 인공장기 개발에 활용된다.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신약개발 과정 중의 동물실험 의무화 규정을 84년만에 폐기했고, 국내에서도 동물대체시험법 제정이 추진되는 만큼 신약개발에서 인간 줄기세포 활용과 오가노이드 제작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인간 줄기세포 유래의 고기능성 오가노이드를 제작해 이를 약물스크리닝과 독성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신약개발이 더욱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사람에게 적용되어야 할 신약 후보 물질 중 90%는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보였음에도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최종 임상시험에서 실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국제적 추세에 발맞춰 오가노이드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오가노이드TF팀을 구성했다. 이미 작년 9월 최신 장비와 시설을 갖춘 줄기세포-오가노이드 연구실을 개소하여 만능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제작·고도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오가노이드TF팀에서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의 다양한 오가노이드(심장 오가노이드: 오배준 박사, 간 오가노이드: 왕시형 박사, 종양 오가노이드: 이희진 박사, 혈관화 오가노이드: 권양우 박사 등)를 기반으로 약물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진행한다. 또한 환자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유전자 편집을 통해 희귀난치성질환 표적의 신약 후보 물질 도출 연구(김영규 박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새롭게 창설된 오가노이드TF팀은 현재 4개의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수주하여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더불어 올해 4월부터 시작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줄기세포 관련 운영지원과제에 선정되어(연구책임자: 오지선 박사) 향후 5년간 23억원 규모의 과제로 본격적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계속해서 유럽과 미국에 제약시장을 내줘야 한다”며 “인간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는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필수적 자원”이라 예상했다. 이어 그는 “케이메디허브는 성공적 신약개발을 위해 시대적 흐름에 빠르게 대처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I가 심사하는 시대 온다"…식약처, 의약품 평가 디지털 전환 가속 |
2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
3 | 경동제약, '테고프라잔' 결정형 등재특허 대법원 최종 승소 |
4 | ‘전담조직’ 승부수 띄운 제약바이오…전문 역량 앞세워 '경쟁 우위' 선다 |
5 | 심평원, 약제 급여기준·신약평가 개선 속도…공단 약평위 참여 확대엔 선 그어 |
6 | 대웅제약 ‘노즈가드 스프레이’, 코 점막 보호로 호흡기 바이러스 침입 차단 |
7 | 현대ADM·현대바이오, 사람 유래 췌장암 오가노이드서 암치료 실패 원인 규명 |
8 | '저가 화장품', 유통가 다크호스로 떠올라 |
9 | 심평원, 고가약 성과평가 체계화…"근거 불확실성 관리·제도 완성 집중" |
10 |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인터펙스 위크 도쿄서 CDMO 파트너십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사장 양진영)는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하거나 다양한 세포들을 재조합해 만든 오가노이드를 연구하는 오가노이드TF팀을 신설했다고 6일 밝혔다.
오가노이드는 줄기세포를 3차원으로 배양하거나 다양한 세포들을 재조합해 만든 인체 장기유사체를 말한다. 최근 동물대체시험 기술 중 하나로 각광받고 있다. 통상적으로 ‘유사 장기’ 혹은 ‘미니 장기’라고도 불리며, 신약개발과 인공장기 개발에 활용된다.
올해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신약개발 과정 중의 동물실험 의무화 규정을 84년만에 폐기했고, 국내에서도 동물대체시험법 제정이 추진되는 만큼 신약개발에서 인간 줄기세포 활용과 오가노이드 제작 기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인간 줄기세포 유래의 고기능성 오가노이드를 제작해 이를 약물스크리닝과 독성 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신약개발이 더욱 경제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로 사람에게 적용되어야 할 신약 후보 물질 중 90%는 동물실험에서 효과를 보였음에도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최종 임상시험에서 실패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케이메디허브 신약개발지원센터는 국제적 추세에 발맞춰 오가노이드 연구를 강화하기 위해 오가노이드TF팀을 구성했다. 이미 작년 9월 최신 장비와 시설을 갖춘 줄기세포-오가노이드 연구실을 개소하여 만능줄기세포 유래 오가노이드 제작·고도화 연구의 기반을 마련한 바 있다.
오가노이드TF팀에서는 인간 줄기세포 유래의 다양한 오가노이드(심장 오가노이드: 오배준 박사, 간 오가노이드: 왕시형 박사, 종양 오가노이드: 이희진 박사, 혈관화 오가노이드: 권양우 박사 등)를 기반으로 약물의 유효성 및 안전성 평가를 진행한다. 또한 환자 유래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유전자 편집을 통해 희귀난치성질환 표적의 신약 후보 물질 도출 연구(김영규 박사)도 진행할 예정이다.
새롭게 창설된 오가노이드TF팀은 현재 4개의 국가연구개발과제를 수주하여 기초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더불어 올해 4월부터 시작되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줄기세포 관련 운영지원과제에 선정되어(연구책임자: 오지선 박사) 향후 5년간 23억원 규모의 과제로 본격적 연구개발을 수행할 예정이다.
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동물대체시험법 개발에서 주도권을 잡지 못하면 계속해서 유럽과 미국에 제약시장을 내줘야 한다”며 “인간줄기세포와 오가노이드는 차세대 신약개발 플랫폼으로 필수적 자원”이라 예상했다. 이어 그는 “케이메디허브는 성공적 신약개발을 위해 시대적 흐름에 빠르게 대처하며 대한민국의 미래를 준비해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