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탈지노믹스는 미국에서 임상을 진행 중인 세계 최초(first-in-class) 혈액암 신약후보 룩셉티닙이 SCI급 국제학술지 ‘PLUS ONE(플러스원)’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얀센의 이브루티닙과 비교해 룩셉티닙이 림프종 세포에서 anti-IgM(면역글로불린M)에 의한 BCR (B-세포수용체) 활성화 초기에 나타나는 하위 기전의 조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진행됐다.
참고로 인산화 효소의 과발현이나 기능 상실, 기능 추가 등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암을 유발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룩셉티닙은 anti-IgM에 의해 유도되는 BTK(브루톤 티로신 인산화효소, B림프구 분화에 필수적인 역할)의 Y551, Y223위치한 인산화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전달 경로 상위에 있는 인산화효소(키나아제)의 인산화 역시 감소시켰다.
실제로 룩셉티닙은 anti-IgM에 의한 LYN, SYK(BTK보다 상위 기전의 효소 종류)의 인산화를 이브루티닙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했다.
룩셉티닙은 BTK활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SYK(혈액세포에 널리 존재하는 비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의 Y525/Y526 위치해 있고, BLNK(BTK와 B-세포 연결 단백질)의 Y96위치한 인산화를 감소시켰으며, 더 상위 기전인 LYN(증식, 분화 등 세포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 매개체)의 Y397 위치한 인산화 역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룩셉티닙이 LYN의 Y937 위치의 자가인산화를 표적하여 BCR 활성화로부터 유도되는 하위 신호 전달경로를 억제하는 효과가 이브루티닙 대비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이번 결과를 통해 룩세티닙이 세부적으로 어떻게 암을 억제하는지보다 명확한 기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확장과 변화, 경계를 넘어" 제20회 경기약사학술대회 개막 |
2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3 | 아미코젠,차세대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비임상 착수..글로벌 SC 제형 주도가속 |
4 | 자누비아 약가 차액 두고 종근당·MSD 공방…피해는 유통업계 몫? |
5 | “지금 손에 들고 있는 커피와 빵, ‘당독소’ 주범입니다” |
6 | 수술 돌발상황도 AI가 스스로 대처…"의사 없는 로봇 수술 시대 임박" |
7 | 프롬바이오,지방유래 줄기세포 기반 탈모치료제 비임상서 발모 효과 입증 |
8 | 하반기 ‘바이오베터’ 후보물질 개발 착수…산‧학‧연 컨소시엄 9월까지 선정 |
9 | 미국 환자 1,300만 PTSD 치료제 FDA ‘혁신 치료제’ 지정 |
10 | "골다공증·혈관석회화, '칼슘·비타민D'로 부족…'비타민K2'까지 챙겨야 할 때"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크리스탈지노믹스는 미국에서 임상을 진행 중인 세계 최초(first-in-class) 혈액암 신약후보 룩셉티닙이 SCI급 국제학술지 ‘PLUS ONE(플러스원)’에 등재됐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얀센의 이브루티닙과 비교해 룩셉티닙이 림프종 세포에서 anti-IgM(면역글로불린M)에 의한 BCR (B-세포수용체) 활성화 초기에 나타나는 하위 기전의 조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진행됐다.
참고로 인산화 효소의 과발현이나 기능 상실, 기능 추가 등 돌연변이가 일어나면 암을 유발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룩셉티닙은 anti-IgM에 의해 유도되는 BTK(브루톤 티로신 인산화효소, B림프구 분화에 필수적인 역할)의 Y551, Y223위치한 인산화를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신호전달 경로 상위에 있는 인산화효소(키나아제)의 인산화 역시 감소시켰다.
실제로 룩셉티닙은 anti-IgM에 의한 LYN, SYK(BTK보다 상위 기전의 효소 종류)의 인산화를 이브루티닙보다 더 효과적으로 감소시킴을 확인했다.
룩셉티닙은 BTK활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SYK(혈액세포에 널리 존재하는 비수용체 티로신 인산화효소)의 Y525/Y526 위치해 있고, BLNK(BTK와 B-세포 연결 단백질)의 Y96위치한 인산화를 감소시켰으며, 더 상위 기전인 LYN(증식, 분화 등 세포과정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호 매개체)의 Y397 위치한 인산화 역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룩셉티닙이 LYN의 Y937 위치의 자가인산화를 표적하여 BCR 활성화로부터 유도되는 하위 신호 전달경로를 억제하는 효과가 이브루티닙 대비 더 우수함을 보여준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이번 결과를 통해 룩세티닙이 세부적으로 어떻게 암을 억제하는지보다 명확한 기전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