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은 최첨단 유전체 분석 시스템 ‘레비오(PacBio Revio)’를 아시아 최초로 국내 도입했다고 4일 밝혔다.
마크로젠은 지난 3일 서울시 금천구에 있는 지놈센터에 레비오 설치를 마쳤다. 마크로젠은 올해 상반기 레드바이오(의료, 헬스케어·제약) 분야와 그린바이오(농축산업·식품)를 양대 축으로 삼아 서비스 포트폴리오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레비오는 시퀀싱 솔루션 업체 팩바이오(Pacific Biosciences of California, Inc., PacBio)의 대용량 롱리드 (Long read) 분석 장비다. 수만 개 이상 염기쌍을 연속으로 길게 읽을 수 있는 롱리드 시퀀싱은 DNA의 구조적 변이를 감지하여 정밀한 분석이 가능한다. 희귀 질환, 난치병 질환 극복뿐 아니라 아직 전장유전체가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동식물의 유전체 분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3세대 분석 기술이다.
레비오는 이러한 롱리드 시퀀싱의 장점에 대용량, 빠른 속도까지 갖춘 분석 시스템이다. 데이터 처리량을 기존 장비 대비 15배 늘려 연간 최대 1천 300명의 전장유전체를 처리할 수 있다.
마크로젠의 레비오 도입은 이러한 전장유전체 분석의 양적, 질적 향상을 통해 암 정복을 비롯한 다수의 난치성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이 발표된 상황에서 유전체 분석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국내 바이오 분야 성장에 파급력 높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마크로젠 김창훈 대표는 “마크로젠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유전체 분석 기술 도입을 통해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레드바이오 분야 변화를 이끌고 있을 뿐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옴 중심의 메타지놈을 통한 그린바이오 분야까지 신규 고객 수요를 공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마크로젠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천연기념물 수달의 한강 일대 서식 현황을 확인한 바와 같이 동식물 유전체 분석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사업 등 ESG 경영 실천도 이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팩바이오 사장 겸 CEO인 크리스티안 헨리(Christian Henry)는 “글로벌 탑 티어 유전체 기업 마크로젠과 9년 이상 함께 성과를 만들어오고 있는 만큼 마크로젠이 아시아 최초로 레비오 시스템을 도입해 기쁘다"면서 “팩바이오는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주도하기 위해 마크로젠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크로젠은 사람의 장과 피부, 구강 등에서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기반한 메타지놈(metagenome, 생물 다양성 확인용 군집유전체 분석)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 2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 방법 및 분석장치’에 관한 국내 특허를 취득한 데 이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신상품을 개발하는 등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그룹 진양곤 회장,미국 CMC 실사 마치고 계열사 지분 매입 |
2 | 제2회 전문약사 자격시험, 합격률 84.2% |
3 | '펙수클루'로 엮인 대웅제약·종근당, 4분기 실적 엇갈려 |
4 | 릴리, ‘젭바운드’ 덕분 실적이 바운스 바운스♬ |
5 | 익산병원, '제이엘케이' 뇌졸중 AI 솔루션 도입…"선진 의료시스템 구축" |
6 | 혁신형 제약기업 ‘리베이트 500만원’ 결격기준 수정…내달 행정예고 |
7 | [뷰티누리×트렌디어] 효능주의 소비자 선택은 '스킨 부스터' |
8 | 한국병원약사회, 28대 집행부 첫 상임이사회 개최 |
9 | 소비자들, 혼란 극복 위해 '게으름'의 미학 찾는다 |
10 | 2023년 건강보험 약품비 26조원, 전년比 8.5%↑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정밀의학 생명공학기업 마크로젠(대표 김창훈)은 최첨단 유전체 분석 시스템 ‘레비오(PacBio Revio)’를 아시아 최초로 국내 도입했다고 4일 밝혔다.
마크로젠은 지난 3일 서울시 금천구에 있는 지놈센터에 레비오 설치를 마쳤다. 마크로젠은 올해 상반기 레드바이오(의료, 헬스케어·제약) 분야와 그린바이오(농축산업·식품)를 양대 축으로 삼아 서비스 포트폴리오 확대에 나설 예정이다.
레비오는 시퀀싱 솔루션 업체 팩바이오(Pacific Biosciences of California, Inc., PacBio)의 대용량 롱리드 (Long read) 분석 장비다. 수만 개 이상 염기쌍을 연속으로 길게 읽을 수 있는 롱리드 시퀀싱은 DNA의 구조적 변이를 감지하여 정밀한 분석이 가능한다. 희귀 질환, 난치병 질환 극복뿐 아니라 아직 전장유전체가 밝혀지지 않은 다양한 동식물의 유전체 분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3세대 분석 기술이다.
레비오는 이러한 롱리드 시퀀싱의 장점에 대용량, 빠른 속도까지 갖춘 분석 시스템이다. 데이터 처리량을 기존 장비 대비 15배 늘려 연간 최대 1천 300명의 전장유전체를 처리할 수 있다.
마크로젠의 레비오 도입은 이러한 전장유전체 분석의 양적, 질적 향상을 통해 암 정복을 비롯한 다수의 난치성 질환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특히 최근 정부의 바이오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이 발표된 상황에서 유전체 분석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국내 바이오 분야 성장에 파급력 높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마크로젠 김창훈 대표는 “마크로젠은 기존의 한계를 뛰어넘는 유전체 분석 기술 도입을 통해 희귀,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레드바이오 분야 변화를 이끌고 있을 뿐 아니라, 마이크로바이옴 중심의 메타지놈을 통한 그린바이오 분야까지 신규 고객 수요를 공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최근 마크로젠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천연기념물 수달의 한강 일대 서식 현황을 확인한 바와 같이 동식물 유전체 분석에도 광범위하게 활용될 수 있으며, 멸종위기 야생동물 복원사업 등 ESG 경영 실천도 이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팩바이오 사장 겸 CEO인 크리스티안 헨리(Christian Henry)는 “글로벌 탑 티어 유전체 기업 마크로젠과 9년 이상 함께 성과를 만들어오고 있는 만큼 마크로젠이 아시아 최초로 레비오 시스템을 도입해 기쁘다"면서 “팩바이오는 새로운 과학적 발견을 주도하기 위해 마크로젠과 지속적으로 협력을 심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마크로젠은 사람의 장과 피부, 구강 등에서 수집할 수 있는 마이크로바이옴에 기반한 메타지놈(metagenome, 생물 다양성 확인용 군집유전체 분석)에 대한 투자를 계속하고 있다.
지난 2월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건강정보 제공 방법 및 분석장치’에 관한 국내 특허를 취득한 데 이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에 대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신상품을 개발하는 등 마이크로바이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