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수앱지스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업 중인 경북대 연구팀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기전 논문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알츠하이머병 마우스 모델에서 ASM(acid sphingomyelinase,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나제)을 타깃으로 한 면역치료의 예방 효과’를 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수앱지스와 경북대는 2019년 알츠하이머병 공동연구를 시작한 이후, 연구성과 논문 게재, 주요학회 발표 및 치료제 개발을 병행해왔다. 경북대 연구팀은 이미 2018년에 셀(Cell)의 자매지 ‘뉴런(Neuron)’에 ‘노화 및 노화 관련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ASM의 역할 및 치료 타깃으로서의 가능성’을 소개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는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 피인용 지수)’가 17.7로, 생물학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국제학술지다.
이수앱지스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 마우스의 혈장 내 ASM을 과발현시키면 Th17(T helper 17, T 도움 17) 세포의 분화가 증가했다. Th17의 과도한 활성화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Aβ)의 축적과 신경염증을 촉발시켰다. 이에 항체로 혈장 내 ASM을 저해하자, Th17의 병원성 분화를 억제하여 관련 증상들의 표출이 예방되는 것이 확인됐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배재성 교수는 “이수앱지스와 협업을 통해 ‘ISU203’ 항체를 활용한 연구에서도 이번 논문과 유사한 결과가 나와서 고무적”이라며 “앞으로도 이수앱지스와의 긴밀한 공동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정복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혈장 ASM의 활성 증가는 심장 질환, 당뇨병, 패혈증 및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서도 발견된다”면서 “향후 연구 진전에 따라 적응증 확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수앱지스는 지난해 경북대와 알츠하이머병 항체신약 ‘ISU203’에 대한 독점적 권리 및 판매권을 확보할 수 있는 ‘전용실시권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 측은 “경북대가 신약 기술의 진전과 상용화에 따른 마일스톤을 여전히 확보하고 있어, 계약 체결 이후로도 당사와 다양한 방식의 공동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유럽 파트너사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실사 1차 결과 확인" |
2 | 티움바이오 "중기부 초격차 기업 글로벌 성공 사례 기대" |
3 | 네오이뮨텍, 美 SITC서 연구 실적 2건 발표…"파트너십 확대 나선다" |
4 | [약업닷컴 분석] 9월 바이오 3상 6건 승인…'언맷 메디컬 니즈' 정조준 |
5 | 셀트리온, 美서 ‘유플라이마 80·20mg' 용량 추가 승인 |
6 | 대웅제약 "자가면역질환 치료 관련 특허 6개 등록" |
7 | 조사[弔辭] 고 강신호 회장님 영전에 올립니다 |
8 |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 심포지엄 성료 |
9 | 엔케이맥스 "엔케이젠바이오텍, 美 나스닥 상장 성공" |
10 | 로슈, 알쯔하이머ㆍ헌팅턴병 신약 개발ㆍ발매 제휴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이수앱지스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개발을 위해 협업 중인 경북대 연구팀의 알츠하이머병 치료 기전 논문이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됐다고 4일 밝혔다.
해당 논문은 ‘알츠하이머병 마우스 모델에서 ASM(acid sphingomyelinase, 산성 스핑고마이엘리나제)을 타깃으로 한 면역치료의 예방 효과’를 확인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수앱지스와 경북대는 2019년 알츠하이머병 공동연구를 시작한 이후, 연구성과 논문 게재, 주요학회 발표 및 치료제 개발을 병행해왔다. 경북대 연구팀은 이미 2018년에 셀(Cell)의 자매지 ‘뉴런(Neuron)’에 ‘노화 및 노화 관련 신경퇴행성 질환에서 ASM의 역할 및 치료 타깃으로서의 가능성’을 소개한 논문을 발표한 바 있다.
이번 논문은 국제학술지 네이처(Nature)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실렸다.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는 ‘임팩트 팩터(Impact Factor, 피인용 지수)’가 17.7로, 생물학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국제학술지다.
이수앱지스에 따르면 알츠하이머병 마우스의 혈장 내 ASM을 과발현시키면 Th17(T helper 17, T 도움 17) 세포의 분화가 증가했다. Th17의 과도한 활성화는 알츠하이머병의 원인물질로 알려진 아밀로이드베타(Aβ)의 축적과 신경염증을 촉발시켰다. 이에 항체로 혈장 내 ASM을 저해하자, Th17의 병원성 분화를 억제하여 관련 증상들의 표출이 예방되는 것이 확인됐다.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배재성 교수는 “이수앱지스와 협업을 통해 ‘ISU203’ 항체를 활용한 연구에서도 이번 논문과 유사한 결과가 나와서 고무적”이라며 “앞으로도 이수앱지스와의 긴밀한 공동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병 정복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혈장 ASM의 활성 증가는 심장 질환, 당뇨병, 패혈증 및 전신 염증 반응 증후군과 같은 다양한 질병에서도 발견된다”면서 “향후 연구 진전에 따라 적응증 확장도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수앱지스는 지난해 경북대와 알츠하이머병 항체신약 ‘ISU203’에 대한 독점적 권리 및 판매권을 확보할 수 있는 ‘전용실시권 계약’을 체결했다.
회사 측은 “경북대가 신약 기술의 진전과 상용화에 따른 마일스톤을 여전히 확보하고 있어, 계약 체결 이후로도 당사와 다양한 방식의 공동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