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라티스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IPO 준비에 본격 돌입한다고 3일 밝혔다. 큐라티스는 백신 및 면역 질환 전문 기업이다.
큐라티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350만주다. 주당 공모 희망가는 6500원에서 8000원이다. 큐라티스는 이번 공모를 통해 약 280억원(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다.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5월 2일부터 3일까지 일반청약을 받는다. 큐라티스는 5월 중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신증권과 신영증권이 공동대표 주관사를 맡았다.
지난 2016년 설립된 큐라티스는 면역 관련 백신 개발 전문 회사로,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현재 회사의 주력 기술 제품은 성인 및 청소년용 결핵 백신 QTP101과 차세대 mRNA(메신저리보핵산) 코로나19 백신 QTP104이다.
결핵 백신 QTP101는 BCG로 형성된 생체의 면역 반응을 증강시키는 백신이다. BCG를 접종한 성인 및 청소년을 접종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는 면역증강제인 GLA-SE와 조합을 통해 효능이 극대화되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QTP101은 지난 2020년 국내 성인용 임상 2a상 및 청소년용 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해당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글로벌 2b/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또한 QTP104는 지난 2021년 mRNA 코로나19 백신 중 국내 최초로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보건복지부, 식약처 등 국내 보건당국과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기초접종 1상 임상을 마무리 중이다. 회사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주기적인 재접종, 그리고 이를 위한 백신의 안정적 수급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연구 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회사는 자체 개발 결핵 항원을 이용한 결핵 백신 QTP102와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주혈흡충증 백신 QTP105 등을 잠재적 파이프라인으로 확보하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회사는 백신 개발 완료 전 선제로 생산 시설 확보에 나섰다. 지난 2020년 오송 바이오플랜트를 준공하고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들을 대상으로 CMO 및 CDMO 사업을 운영 중이다. 오송 바이오플랜트는 지난해 1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으로부터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을 획득하고 선진 자동화 공장 수준의 품질 관리 및 액상·동결건조 형태의 무균주사제 완제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정받은 바 있다.
큐라티스 측은 “코스닥 상장을 통해 주력 기술제품인 QTP101 및 QTP104 상업화와 CMO 및 CDMO 사업 확대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잠재적 신규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도 지속해 성장하는 큐라티스가 되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유럽 파트너사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실사 1차 결과 확인" |
2 | 티움바이오 "중기부 초격차 기업 글로벌 성공 사례 기대" |
3 | 네오이뮨텍, 美 SITC서 연구 실적 2건 발표…"파트너십 확대 나선다" |
4 | 셀트리온, 美서 ‘유플라이마 80·20mg' 용량 추가 승인 |
5 | 대웅제약 "자가면역질환 치료 관련 특허 6개 등록" |
6 | [약업닷컴 분석] 9월 바이오 3상 6건 승인…'언맷 메디컬 니즈' 정조준 |
7 | 조사[弔辭] 고 강신호 회장님 영전에 올립니다 |
8 | 화이자, 폐렴구균 백신 심포지엄 성료 |
9 | 엔케이맥스 "엔케이젠바이오텍, 美 나스닥 상장 성공" |
10 | 한독, Sobi와 희귀질환 비즈니스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큐라티스는 증권신고서를 제출하고 코스닥 상장을 위한 IPO 준비에 본격 돌입한다고 3일 밝혔다. 큐라티스는 백신 및 면역 질환 전문 기업이다.
큐라티스의 총 공모주식수는 350만주다. 주당 공모 희망가는 6500원에서 8000원이다. 큐라티스는 이번 공모를 통해 약 280억원(희망 공모가 밴드 상단 기준)을 조달할 예정이다.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기관투자자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하고, 5월 2일부터 3일까지 일반청약을 받는다. 큐라티스는 5월 중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대신증권과 신영증권이 공동대표 주관사를 맡았다.
지난 2016년 설립된 큐라티스는 면역 관련 백신 개발 전문 회사로, CMO(위탁생산) 및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을 함께 영위하고 있다. 현재 회사의 주력 기술 제품은 성인 및 청소년용 결핵 백신 QTP101과 차세대 mRNA(메신저리보핵산) 코로나19 백신 QTP104이다.
결핵 백신 QTP101는 BCG로 형성된 생체의 면역 반응을 증강시키는 백신이다. BCG를 접종한 성인 및 청소년을 접종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는 면역증강제인 GLA-SE와 조합을 통해 효능이 극대화되도록 설계된 점이 특징이다. QTP101은 지난 2020년 국내 성인용 임상 2a상 및 청소년용 임상 1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해당 임상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지난해 7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글로벌 2b/3상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
또한 QTP104는 지난 2021년 mRNA 코로나19 백신 중 국내 최초로 식약처로부터 임상 1상 시험 계획을 승인받았다. 현재 코로나19 치료제·백신 개발 범정부지원위원회, 보건복지부, 식약처 등 국내 보건당국과 긴밀한 협조를 바탕으로 기초접종 1상 임상을 마무리 중이다. 회사는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른 주기적인 재접종, 그리고 이를 위한 백신의 안정적 수급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연구 개발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이외에도 회사는 자체 개발 결핵 항원을 이용한 결핵 백신 QTP102와 미국에서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주혈흡충증 백신 QTP105 등을 잠재적 파이프라인으로 확보하고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회사는 백신 개발 완료 전 선제로 생산 시설 확보에 나섰다. 지난 2020년 오송 바이오플랜트를 준공하고 바이오 신약개발 기업들을 대상으로 CMO 및 CDMO 사업을 운영 중이다. 오송 바이오플랜트는 지난해 1월에 식품의약품안전처으로부터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인증을 획득하고 선진 자동화 공장 수준의 품질 관리 및 액상·동결건조 형태의 무균주사제 완제의약품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을 인정받은 바 있다.
큐라티스 측은 “코스닥 상장을 통해 주력 기술제품인 QTP101 및 QTP104 상업화와 CMO 및 CDMO 사업 확대에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며 "잠재적 신규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연구개발 투자도 지속해 성장하는 큐라티스가 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