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씨엠생명과학, "美 코이뮨, 새로운 CAR-T 연구 결과 논문 발표"
OrexiCAR 기술 통해 개선된 CAR-T 세포로 향상된 항종양 활성 능력 확인
입력 2023.02.06 15:30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의 미국 관계사 코이뮨(CoImmune, Inc.)이 암 질환 단백질 CD47과 대식세포 SIRPα 간의 체크포인트 차단제를 분비하는 OrexiCAR 기술로 기존 CAR-T의 면역세포에 의한 항종양 활성을 개선하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6일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혈액학 분야에서 가장 많이 인용되는 간행물인 Blood(impact factor: 25.48) 저널에 게재됐다.

에스씨엠생명과학에 따르면 CD47은 다양한 암의 발병 및 진행에 큰 영향을 미치는 종양 항원으로, CD47과 SIRPα의 상호작용은 암세포를 분해하는 대식세포에 'do not eat me(날 먹지마)' 신호를 유발해 식균작용을 회피한다. OrexiCAR 기술의 핵심은 SIRPα와 높은 친화도를 갖는 CV1 단백질을 발현하는 CAR-T 세포를 통해 CD47-SIRPα의 상호작용을 막음으로써 종양의 면역회피를 억제하고 항종양 능력을 활성화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Memorial Sloan Kettering Cancer Center(MSK 암센터)의 Sloan Kettering Institute 실험 치료 센터 데이비드 셰인버그(David Scheinberg)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OrexiCAR 기술을 코이뮨의 CAR-T 세포에 접목해 진행됐다. 

실험 결과, ‘기존 CAR-T 세포’와 ‘B세포를 제거하는 면역억제제 리툭시맙(rituximab)’ 병용 치료 모델에서는 25%의 림프종 종양 퇴행을 보인 반면, ‘OrexiCAR-T 세포’와 ‘리툭시맙’으로 병용 치료한 마우스 모델 80%에서 종양 생착 후 86일 경과 후 새로운 독성 없이 림프종 종양 퇴행, 마우스 생존율 증대 등의 효능이 관찰됐다.

코이뮨 대표이사 찰스 니콜렛(Charles Nicolette)은 “기존 CAR-T 치료법은 조혈암(hematopoietic cancer)에서 높은 반응률이 보고됐으나, CD47의 과발현을 비롯한 여러 종양도피(tumor escape) 매커니즘으로 고형암에서는 재발 위험, 상대적 효능 미달 등이 한계로 지적됐다”면서 “코이뮨은 MSK와 협력해 새로운 CAR-T 기술을 당사 CAR-CIK 플랫폼에 적용함으로써 암세포를 유발하는 종양의 면역세포 억제를 제어해 종양도피를 완화시켰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다양한 암을 광범위하게 표적할 수 있는 접근 방식으로 종양 면역 치료를 발전시킬 수 있는 높은 잠재력을 확인했으며, 특히 CAR-T의 고형암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스씨엠생명과학, "美 코이뮨, 새로운 CAR-T 연구 결과 논문 발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스씨엠생명과학, "美 코이뮨, 새로운 CAR-T 연구 결과 논문 발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