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미셀, 효력 향상 '항암면역치료백신 개발법' 국제 학술지 게재
수지상세포 효율적 배양으로 항암효과 개선 기대
입력 2023.01.27 10:3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T세포에서의 사이토카인 IL-12와 IFN-γ의 수치 비교 결과.(자료=파미셀)

파미셀(김현수 대표)은 수지상세포를 활용한 신규 항암면역치료백신의 효율적 배양 방법을 확인했다고 지난 26일 밝혔다.

파미셀의 WT1 항원을 결합하고 졸레드론산염(zoledronate)을 유효성분으로 배양한 항암면역치료백신에 대한 논문이 SCI 국제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분자과학 국제저널)’에 게재됐다.

논문에 따르면 파미셀은 대부분의 고형암에서 발견되는 항원인 WT1을 수지상세포에 결합한 ‘Cellgram-DC-WT1(CDW)’을 개발했으며, 해당 물질의 배양을 위해 졸레드론산염을 활용했다.

그 결과 졸레드론산염을 활용해 수지상세포를 배양했을 때 기존 배양법보다 CD141+(gash) 비율이 20% 높았으며, CD86(공자극 마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불순물이 생기지 않아 고품질의 수지상세포 제조가 가능함을 확인했으며, 배양에 걸리는 시간도 상대적으로 감소했다.

이 외에도 T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한 면역 반응을 확인했다. 일반 T세포와 CDW를 통해 분화를 유도한 T세포를 비교한 결과 CDW와 결합한 T세포에서 세포 면역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IL-12와 IFN-γ의 수치가 최대 2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했다.

파미셀 관계자는 “고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수지상세포 배양 물질과 배양법을 확인했으며, 국내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라며 "해당 기술을 임상 연구에 적용하고, 수지상세포 치료제 개발과 제조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형암에서 공통으로 발현하는 종양 항원인 WT1 항원을 활용하면 대부분의 암 치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적응증이 다양해지므로 경쟁력 있는 치료제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파미셀, 효력 향상 '항암면역치료백신 개발법' 국제 학술지 게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파미셀, 효력 향상 '항암면역치료백신 개발법' 국제 학술지 게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