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더블유바이텍, 子 ‘큐러블’ 백신 개발·RNA CMO 사업 집중 계획 발표
큐러블, 舊 에스엔피제네틱스 사명 변경
입력 2023.01.26 10:3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지더블유바이텍 자회사 에스엔피제네틱스에서 사명을 변경한 큐러블은 2023년 코비힐 백신, RNA CMO 사업 투자를 통해 신성장사업 본격화에 나서겠다는 청사진을 26일 밝혔다.

큐러블은 지난 20일 코비힐 국내 사업권자인 파마바이오테크글로벌(이하 PBTG)의 지분 8.5%를 85억원을 투자해 취득함으로써 백신 국산화 과정에서의 중요한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

PBTG는 러시아 추마코프 연구소의 코비힐 백신에 대한 서브 라이선스 권리를 갖고 있으며 기술이전, 개발, 생산, 제품등록 및 판매 등에 대한 총괄적 권리를 보유한 한러합작법인 형태의 사업주체다. 특히 지난해 국내 특허법인에 의뢰한 PBTG의 사업가치는 약 4700억원으로 평가됐다.

큐러블은 현재 러시아 사백신 기술이전이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성공적 생산과 해외수출이 현실화되는 시점에 충분한 이익 실현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큐러블 관계자는 ”추마코프 연구소와 함께 진행 중인 사백신의 기술 이전이 순항 중이고, 기술 이전 이후 제품생산에서 발생할 수익에 대한 확실한 권리를 확보하게 됐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번 지분 투자로 사백신 생산 역량 확보는 물론 주력 사업모델인 CMO 분야의 고도화에도 많은 시너지를 줄 것으로 예상된다“라고 덧붙였다.

큐러블은 오는 30일로 예정된 국내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 폐지로 백신의 수요와 필요성이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세계 각국이 자비 부담 연 1~2회 백신 접종 수준으로 방역 시스템을 전환하는 점에도 주목하고 있다. 

큐러블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마스크 착용 의무가 폐지되고 있고, 각국 정부가 코로나19를 독감化 하는 시스템 전환을 서두르고 있다”라며 “최근 美 FDA에서는 성인 연 1회, 어린이와 노약자 연 2회 백신 접종 수준으로 코로나19 방역 시스템을 전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며 "어떤 변이가 유행할지 여름에 평가한 뒤 그에 맞는 백신을 가을에 접종한다는 구상이다”라고 밝혔다.

이어 “세계적으로 연 1~2회의 백신 접종이 정착되면 콜드체인(영하 70도) 없이도 유통할 수 있고, 가격이 낮은 사백신의 수요가 상당해질 것”이라며 ”mRNA 위주인 글로벌 코로나19 백신 시장이 사백신까지 대폭 확장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지더블유바이텍, 子 ‘큐러블’ 백신 개발·RNA CMO 사업 집중 계획 발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지더블유바이텍, 子 ‘큐러블’ 백신 개발·RNA CMO 사업 집중 계획 발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