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티큐브, 美 JP모건서 빅팜과 전략적 논의 구체화
'넬마스토바트’ 빠른 상업화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주력
입력 2023.01.13 11:0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에스티큐브는 JP모건 헬스케어 콘퍼런스에 참석해 다수의 글로벌 빅팜들과 전략적 파트너십에 대한 미팅을 진행했다고 13일 밝혔다. 넬마스토바트의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상업화 추진이 주요 골자다.

특히 이번 콘퍼런스에서는 지난해 11월 ‘SITC(미국면역항암학회) 2022’에서 포스터 발표한 데이터 이외에 새로운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업화 논의를 진행했다. 중간용량과 고용량 단계에서 다양한 암종의 유효성 확인에 관한 데이터다.

회사 측에 따르면 임상 1상에서의 가장 중요한 체크 포인트는 약물에 대한 안전성 확인 및 적정 용량을 결정하는 것이다. 넬마스토바트는 현재 글로벌 임상 1상 마무리 단계다. 약물 투여 6단계 중 마지막 용량(15mg/kg)의 용량제한독성반응(Dose-Limiting Toxicity, DLT)을 확인하기 위한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넬마스토바트의 마지막 용량 투여 환자의 DLT 확인은 1월 말에 예정돼 있다. 사실상 이로써 임상 1상의 안전성 확인이 종료된다는 것을 뜻한다. 나아가 에스티큐브는 일부 유효성을 추가로 확인하기 위한 임상 설계에 따라 마지막 용량의 보충 코호트 투약을 진행할 계획이다. 따라서 공식적인 중간 결과는 이후 임상시험수탁기관(CRO)을 통해 발표하게 된다.

정현진 에스티큐브 대표는 “현재 마지막 용량의 안전성 검증 단계에서도 큰 문제 없이 임상 1상이 잘 마무리될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이어 “지난해 SITC에서 발표했던 저용량 환자군은 현재도 수개월째 그 효과가 유지되고 있고, 이번에 새롭게 진행한 중간 용량 단계에서는 기존 항암화학요법이나 면역항암제 치료에 저항성을 보이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일부 적응증에서도 유효성이 확인되고 있다”며 “앞으로 고용량 환자군에서도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정 대표는 “신약 개발에는 항상 기대와 우려가 공존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당사는 각 임상 절차를 충실히 이행하며, 임상의 결과만큼 속도 역시 중요한 요소라고 판단해 그 어느 때보다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현재 글로벌 빅팜들과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있는 만큼 넬마스토바트의 가치를 최대한 이끌어 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스티큐브, 美 JP모건서 빅팜과 전략적 논의 구체화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스티큐브, 美 JP모건서 빅팜과 전략적 논의 구체화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