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마바이오테크글로벌, 추마코프 ‘코비힐’ 기술이전팀과 '기술이전' 진행 중
입력 2022.12.19 21:0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사진=파마바이오테크글로벌

코비힐 주관사 한·러 합작법인 파마바이오테크글로벌(이하 ‘PBTG’)은 추마코프 연구소 연구진이 지난달 두 차례에 걸쳐 국내에 입국해 기술 이전을 진행했다고 지난 16일 밝혔다.

방한한 기술이전팀에는 추마코프 연구소 부소장급 인사를 비롯해 백신 기술 전문 인력 등이 대거 포함됐다. 해당 팀은 경북 안동에 있는 코비힐 백신 생산 기지로 이동해 양국 실험 기자재 등 차이를 비교하는 갭분석을 완료했다.

또 국내 연구진과 함께 사백신(불활화백신) 생산의 토대가 되는 베로세포(Vero cell) 배양 실험까지 모두 진행했다. 배양에 쓰인 베로세포는 아프리카 그린 원숭이 신장에서 추출해 백신 개발 등에 사용하는 것으로 추마코프 측이 국제보건기구(WHO)로부터 분양받아 한국에 공급했다.

PBTG 관계자는 “약 1개월 전 추마코프 기술이전팀이 입국한 것은 사실이며 양국 연구진에 의해 모든 것이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며 “그 외는 보안 사항으로 구체적 내용을 추후 기자 회견 등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내·외 많은 관심에도 기술이전팀의 입국 사실이 뒤늦게 알려진 이유는 국제적인 기술이전 보안 이슈 때문이다. 이에 PBTG 측은 입국 사실을 확인해줄 수 없다는 원론적인 입장을 반복해 왔지만 1개월여 만에 입국 사실을 인정하게 됐다.

이 회사는 코비힐 백신 생산 돌입과 동시에 전 세계에서 통용되는 글로벌 안내서를 만들고 아직 사전 구매 의향서가 도착하지 않은 국가의 보건당국을 대상으로 대대적인 백신 공급 제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술 이전이 본격화되면서 코비힐 백신 생산 방식은 물론 글로벌 유통과 보급에도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형 백신 ‘코비힐’은 지난 5월 ‘코로나 백신의 제조 위·수탁을 위한 4자 계약’ 체결로 시작됐다. 한·러 합작기업 PBTG가 사업을 주관하고 원료 공급과 글로벌 유통을 코스닥 상장사인 지더블유바이텍이 맡았다. 에스엔피제네틱스은 기자재 공급 및 생산 지원을 안동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는 위탁 생산을 각각 담당하게 됐다.

한편 코비힐은 차세대 불활성 백신 기술 이전을 통해 국내에서 생산되는 한국형 코로나 19 백신의 이름으로 전 세계를 대상으로 판매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레츠고 U.P-바이오시밀러 7] “도입만으로도 약가 인하·치료 접근성 확대 등 파급효과”
비만 넘어 심혈관계 질환까지 잡은 치료제 ‘위고비’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파마바이오테크글로벌, 추마코프 ‘코비힐’ 기술이전팀과 '기술이전' 진행 중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파마바이오테크글로벌, 추마코프 ‘코비힐’ 기술이전팀과 '기술이전' 진행 중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