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C, 항암제 대세될까…2026년 17조원 성장 전망
엔허투‧트로델비, 임상3상 통해 전이성 유방암 치료 패러다임 변화
입력 2022.12.20 06:00 수정 2022.12.20 06:01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임상3상 및 적응증 확장 단계의 ADC 파이프라인 목록.
 
차세대 항암제 플랫폼으로 꼽히며 전세계 주목을 받는 항체-약물결합체(ADC)가 오는 2026년 17조원에 육박한 13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국가신약개발재단은 최근 ‘신약개발 글로벌 트렌드 분석-ADC 치료제’ 리포트를 통해 엔허투와 트로델비 등 올해 임상 3상시험 결과를 통해 유의미한 임상적 이점을 제시한 ADC치료제에 대해 분석‧조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ADC의 글로벌 시장 규모는 올해 한화 약 8조원에 육박하는 약 58억1000만 달러로, 4년 후인 오는 2026년에는 약 130억 달러를 기록하며 연평균 22%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아스트라제네카-다이이찌산쿄의 엔허투(성분명: 트라스투주맙 데룩스테칸)와 길리어드의 트로델비(성분명: 사시투주맙)가 임상 3상 시험 결과를 통해 표준요법 대비 유의미한 임상적 이점을 제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전이성 유방암의 치료 패러다임 변화 및 새로운 치료 옵션 제공 가능성을 보여줌으로써 ADC 개발에 대한 관심은 점차 커지는 모습이다. 

미국 식품의약품청(FDA)은 지난달 16일 이뮤노젠의 엘라히어(성분명: 미르베툭시맙)를 난소암 치료제로 가속 승인한 바 있다. 이처럼 글로벌 제약사들의 ADC 개발 수요 증가 및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기술 거래 또는 임상시험 수행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ADC 치료제는 2000년 마일로탁(성분명: 겜투주맙오조가마이신)의 첫 품목허가 이후 2011년 애드세트리스(성분명: 브렌툭시맙베도틴)에서 지난달 엘라히어에 이르기까지 현재 총 12개의 ADC 제재가 FDA로부터 항암제로 승인받았다. 최근 승인 품목들은 미충족 수요가 높은 고형암(난소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중심이며 타깃 항원은 다양하다. 

엘라히어는 8년 만에 FDA에서 승인한 난소암 신약으로, 난소암의 90%에서 발현되는 FRα를 타깃으로 하며, 페이로드(세포독성 약물)로는 튜불린 저해제인 DM4를 사용한다. 

또한 ADC 치료제의 딜 수 및 규모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올해에는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딜은 시장성이 큰 고형암 분야, 안전성 측면에서 차별화를 보유한 파이프라인, 새로운 페이로드를 적용하거나 적응증 확장 가능성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올 하반기에는 GSK가 차별화된 작용기전 및 치료효능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르사나 테라퓨틱스와 전임상 단계의 후보물질 ‘XMT-2056’에 대한 공동연구 및 옵션 딜을 체결했다. 이는 ‘XMT-2056'의 공동개발 및 판매독점 옵션권을 선금 1억 달러, 한화로 약 1313억 원, 옵션 행사 시에는 최대 13억6000만 달러, 한화 약 1조7846억 원을 지급하는 전임상 ADC 자산에 대한 최대 규모의 딜로 주목 받은 것이다. 

Clinicaltrials.gov에 등록된 지난해 기준 종양 타깃 ADC 임상연구 82개를 분석한 결과, 80% 이상 연구가 초기임상단계에서 진행되고 있었으며, 80% 이상이 고형암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타깃 유형별로는 HER2 타깃이 20.7%인 17개로 가장 많았으며, 페이로드별로는 튜불린 저해가 58.5%, 공개된 링커 유형별로는 시스테인이 28%로 가장 많았다. 

올해 상반기 기준 글로벌 ADC 연구개발 수는 총 864건이며, 그 중 진행 중인 전임상 연구는 49%인 427건, 임상 연구는 17%인 143건, 의약품 승인은 2%인 13건을 차지하는 것으로 보고됐다.

신약개발사업단 기획팀 진주연 연구원은 “1997년 이후로 ADC 임상시험 수는 증가 추세며, 특히 2010년부터 급증해 올해 상반기에는 91건의 병용요법을 포함해 172건의 연구가 진행 중”이라며 “올해 상반기 FIH(First in human trial)는 33건으로 2~3년전보다 10건 이상으로 증가했다”고 전했다. 이어 “적응증 확장을 포함해 현재 임상3상을 진행 중인 ADC 치료제 파이프라인은 총 16개로 확인된다”고 덧붙였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남들보다 작은 우리 아이, 성장호르몬 치료 괜찮을까?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ADC, 항암제 대세될까…2026년 17조원 성장 전망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ADC, 항암제 대세될까…2026년 17조원 성장 전망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