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월 연구개발비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LG 생활건강이었다. 1148억원을 지출했다. 전년동기에 비해 0.6% 증가했으나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에 그쳤다.
2위는 아모레퍼시픽그룹으로 906억원을 사용했다. 전년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7% 수준이다. 억원을 기록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88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2.1%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6.4%다.
4위는 코스맥스로 556억원을 지출했다. 비용인식이 51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4.6%다.
5위는 메디톡스로 300억원을 사용했다. 자산인식이 113억원 증가했고 비용인식이 소액 늘어나면서 전년동기 대비 61.3%(114억원)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0%다.
6위 휴젤은 179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지출했다. 전년동기 23.3% 감소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9.1%다.
7위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비용인식이 91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312.9% 폭증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4.7%다.
8위는 애경산업으로 118억원을 사용했다. 세부내역은 공시하지 않았다. 전년대비 13억원(12.3%)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2.7%다.
9위는 코스메카코리아가 차지했다. 105억원을 지출했다. 비용인식이 16억원 증가하면서 저년동기 대비 18.5% 늘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3.6%다.
10위는 콜마비엔에이치로 83억원을 기록했다. 비용인식이 18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28.2% 늘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다.
1~9월 집계된 연구개발비가 전년동기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다. 전년동기 대비 312.9%나 증가했다. 비용인식이 증가한 결과이며 연구개발비 규모는 120억원이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4.7%다.
2위는 코리아코스팩으로 전년동기 대비 210.9% 증가한 3억원을 사용했다. 세부내역은 공시하지 않았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6.0%다.
3위는 네이처리퍼블릭으로 전년동기 대비 131.7% 늘었다. 비용인식이 6억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0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0%다.
4위는 프로스테믹스로 전년동기 대비 89.8% 증가했다. 비용인식이 6억원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2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6.1%다.
5위는 라파스다. 비용인식이 12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62.0%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2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8.1%다.
6위는 메티톡스로 전년동기 대비 61.3%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00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0%다.
7위는 코디로 전년동기 대비 52.5%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21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5.0%다.
8위는 케어젠으로 전년동기 대비 50.8%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47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9.4%다.
9위는 제테마로 전년동기 대비 47.9%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52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6.4%다.
10위는 씨티케이로 전년동기 대비 47.0%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5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0%다.
△ 매출액 대비 비중 상위 10개사
1~9월 연구개발비의 매출액 대비 비중(이하 비중)이 가장 큰 기업에도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이름을 올렸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4.7%를 기록했다.
2위는 메디톡스로 비중은 21.0% 였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00억원이었다.
3위는 라파스로 비중은 18.1%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2억원.
4위는 제테마로 비중은 16.4%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52억원.
5위는 울트라브리로 비중은 9.6%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1억원.
6~10위는 케어젠(9.4%/47억원=비중/연구개발비), 휴젤(9.1%/179억원), 코스나인(8.1%/5억원), 현대바이오랜드(7.8%/ 62억원), 한국콜마(6.4%/882억원) 순이다.
△ 매출액 대비 비중 전년동기 상승률 상위 10개사
1~9월 연구개발비의 매출액 대비 비중이 전년동기와 비교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다.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은 151.6%p.
2위는 메디톡스(8.2%p). 3위는 코리아코스팩(4.4%p). 4위는 프로스테믹스와 라피스(3.6%p)다.
6위는 케어젠(2.3%p), 7위는 코디와 위노바(1.5%p), 9위는 엔에프씨(1.4%p), 10위 케이엠제약(1.2%p)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리보세라닙 FDA 승인 미궁 속으로…"CMC 문제 여전" |
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년 연속 순이익 1000억대 '충격 적자' |
3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획득 |
4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5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6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7 | HLB파나진, 분자진단 매출 100억원 '임박' 전년比 17% 상승 |
8 | “또 보완?” HLB, 리보세라닙 FDA 제동…반복된 실책에 쏟아지는 의문 |
9 | 바이넥스, 수익성 지표 하락세…2024년 매출 1301억원 전년比 16% 감소 |
10 | 알테오젠,미국 '메드이뮨'사와 총 8,700억원 규모 라이선스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1~9월 연구개발비 규모가 가장 큰 기업은 LG 생활건강이었다. 1148억원을 지출했다. 전년동기에 비해 0.6% 증가했으나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에 그쳤다.
2위는 아모레퍼시픽그룹으로 906억원을 사용했다. 전년동기 대비 1.7%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7% 수준이다. 억원을 기록했다. 3위는 한국콜마로 88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동기 대비 2.1%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6.4%다.
4위는 코스맥스로 556억원을 지출했다. 비용인식이 51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10.1%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4.6%다.
5위는 메디톡스로 300억원을 사용했다. 자산인식이 113억원 증가했고 비용인식이 소액 늘어나면서 전년동기 대비 61.3%(114억원) 증가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0%다.
6위 휴젤은 179억원을 연구개발비로 지출했다. 전년동기 23.3% 감소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9.1%다.
7위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비용인식이 91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312.9% 폭증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4.7%다.
8위는 애경산업으로 118억원을 사용했다. 세부내역은 공시하지 않았다. 전년대비 13억원(12.3%) 증가했으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2.7%다.
9위는 코스메카코리아가 차지했다. 105억원을 지출했다. 비용인식이 16억원 증가하면서 저년동기 대비 18.5% 늘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3.6%다.
10위는 콜마비엔에이치로 83억원을 기록했다. 비용인식이 18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28.2% 늘었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다.
1~9월 집계된 연구개발비가 전년동기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다. 전년동기 대비 312.9%나 증가했다. 비용인식이 증가한 결과이며 연구개발비 규모는 120억원이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4.7%다.
2위는 코리아코스팩으로 전년동기 대비 210.9% 증가한 3억원을 사용했다. 세부내역은 공시하지 않았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6.0%다.
3위는 네이처리퍼블릭으로 전년동기 대비 131.7% 늘었다. 비용인식이 6억원 증가한 영향이 컸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0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0%다.
4위는 프로스테믹스로 전년동기 대비 89.8% 증가했다. 비용인식이 6억원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2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6.1%다.
5위는 라파스다. 비용인식이 12억원 증가하면서 전년동기 대비 62.0%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2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8.1%다.
6위는 메티톡스로 전년동기 대비 61.3%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00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21.0%다.
7위는 코디로 전년동기 대비 52.5%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21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5.0%다.
8위는 케어젠으로 전년동기 대비 50.8%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47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9.4%다.
9위는 제테마로 전년동기 대비 47.9% 증가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52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6.4%다.
10위는 씨티케이로 전년동기 대비 47.0% 늘었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5억원이며 매출액 대비 비중은 1.0%다.
△ 매출액 대비 비중 상위 10개사
1~9월 연구개발비의 매출액 대비 비중(이하 비중)이 가장 큰 기업에도 현대바이오사이언스가 이름을 올렸다. 매출액 대비 비중은 194.7%를 기록했다.
2위는 메디톡스로 비중은 21.0% 였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00억원이었다.
3위는 라파스로 비중은 18.1%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32억원.
4위는 제테마로 비중은 16.4%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52억원.
5위는 울트라브리로 비중은 9.6%다, 연구개발비 규모는 11억원.
6~10위는 케어젠(9.4%/47억원=비중/연구개발비), 휴젤(9.1%/179억원), 코스나인(8.1%/5억원), 현대바이오랜드(7.8%/ 62억원), 한국콜마(6.4%/882억원) 순이다.
△ 매출액 대비 비중 전년동기 상승률 상위 10개사
1~9월 연구개발비의 매출액 대비 비중이 전년동기와 비교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현대바이오사이언스다. 전년동기 대비 증가율은 151.6%p.
2위는 메디톡스(8.2%p). 3위는 코리아코스팩(4.4%p). 4위는 프로스테믹스와 라피스(3.6%p)다.
6위는 케어젠(2.3%p), 7위는 코디와 위노바(1.5%p), 9위는 엔에프씨(1.4%p), 10위 케이엠제약(1.2%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