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회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콘퍼런스 개최
오는 7일 코엑스서 ‘협업의 열쇠로 선진 규제과학의 지평을 열다’ 주제로
입력 2022.11.02 21:0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는 오는 11월 7일 서울 코엑스에서 ‘협업의 열쇠로 선진 규제과학의 지평을 열다(Collaboration Key to Advancing Regulatory Science & Practice)”를 주제로 ‘2022 NIFDS-RSCP Conference(제2회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2022 NIFDS-RSCP Conference는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첨단바이오융복합연구과와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 아주첨단의료바이오연구원 및 첨단의료제품인허가실증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행사로, 융복합 의료제품에 대한 최신 동향 공유 및 국내·외 산·학·연 전문가 간 협력방안 논의 등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촉진을 위한 과학기술 교류의 장이다.

이번 제2차 콘퍼런스는 총 2개 세션으로 나눠 진행되는데, 첫 번째 세션에서는 ‘융복합 의료제품 규제정책 발전방향’을 주제로 미국 서던캘리포니아 대학(USC)의 Daryl L. Davies 교수의 기조강연인 △Managing Science and Regulatory Science for Combination Products로 시작된다.

이후 △Global Combination Products Landscape and Harmonization Opportunities(Susan Neadle, Principal Consultant & President, Combination Products Consulting Services LLC) △How can Collaborative Research Support and Shape Regulatory Policies and System Strengthening?(Magda Bujar, Senior Manager, Centre for Innovation in Regulatory Science, Ltd) △융복합 의료제품에 대한 신속허가 제도의 적용과 현행 법·제도의 개선 필요성(오승한 교수, 아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 대한 발표가 이어질 예정이다.

또한 두 번째 세션에서는 ’융복합 의료제품 기술개발 동향 및 사업화 전략’을 주제로 △융복합 의료제품의 해외 규제 동향과 사례 공유(김영 대표이사, 사이넥스) △신규 약물전달시스템의 국제 규제동향(이마세 부사장, 인벤티지랩) △마이크로니들패치 기술동향과 규제대응(양승윤 교수, 부산대학교 바이오소재학과) △제조기술 융합을 통한 융복합 의료제품 사업화 사례 및 전망(박수진 대표, 오티아이코리아) △융복합 의료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거래 전략과 기회(이강오 대표, 에스엔비아)에 대한 발표가 진행되며 ‘기술사업화와 규제 정책의 조화’를 주제로 패널 토의가 이어진다.

발표 이후에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인공지능과 스마트팜’에 대해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조만수 교수의 특별강연도 마련돼 있다.
이번 콘퍼런스 개회식은 이상래 아주대 의과대학 교수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손수정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의료제품연구부 부장, 김선용 학교법인 대우학원 상임이사, 김상인 아주대 산학협력단장의 축사와 함께 김수동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장의 환영사가 이어진다.

한편 이번 콘퍼런스는 서울 코엑스 3층 E5홀에서 융복합 의료제품에 관심 있는 150인 이상을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며, 참여를 희망하는 관람객은 KOREA LIFE SCIENCE WEEK 2022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11월 7일부터 8일까지 1층 B1홀 전시장에서는 융복합 의료제품 공동홍보관을 운영할 예정이며, 홍보 부스에서 융복합 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가 발간한 해외 가이드라인 번역집, 동향보고서, 자료집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융복합의료제품 촉진지원센터는 “이번 제2회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콘퍼런스를 통해 융복합 의료제품에 대한 국내외 최신 동향 공유는 물론, 이해관계자 간 원활한 협업을 바탕으로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확산 및 산업 발전을 이루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제2회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콘퍼런스 개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제2회 융복합 의료제품 안전기술 콘퍼런스 개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