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엔셀, 폴리플러스와 '유전자치료제 개발·바이러스 벡터' 생산 MOU
전략적 파트너십 통해 바이러스벡터 CMO 사업 가속화
입력 2022.09.05 11:43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이엔셀(대표 장종욱)은 지난 8월 30일 하남 이엔셀 GMP제2공장에서 Polyplus Transfection PTE Ltd(이하 폴리플러스)와 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바이러스 벡터 생산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는 MOU를 체결했다고 지난 2일 밝혔다. 
 
폴리플러스는 세포 내 핵산(nucleic acid) 전달 솔루션 개발 전문 회사로, 프랑스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최근 플라스미드 벡터 디자인 및 세포·유전자치료제 생산 분야로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다. 

이엔셀은 폴리플러스로부터 유전자치료제 개발 및 바이러스벡터 대량 생산 기술의 안정화를 위한 기술지원과 원활한 원자재 공급을 통해 바이러스벡터 CMO 사업을 가속화한다는 계획이다.

이엔셀 관계자는 “폴리플러스와의 협업을 통해 바이러스벡터 생산의 국산화를 실현하고, 한국 바이오텍들의 유전자치료제 기술개발 가속화에 기여하고 싶다”라며, 고객들의 비임상 및 임상 시료 생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엔셀은 2018년 장종욱 삼성서울병원 교수가 교원 겸직으로 창업한 기업으로 14개 고객사의 임상시험용의약품을 위탁생산하고 있으며, 차세대 줄기세포치료제, 항암 면역세포치료제와 같은 첨단 바이오 의약품을 개발 중이다.

현재 경기도 하남시 GMP 제2공장 음압시설에서 임상시험용 CAR-T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최근 바이러스벡터 전용 GMP 제3공장을 완공해 AAV 제품생산을 시작하고 있다. 현재 이엔셀은 임상등급의 세포와 바이러스를 동시에 생산하는 국내 유일의 CMO회사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행복한 팜 스터디③] "복약상담 팁-건기식까지 총 망라"
"미국 FDA 승인, 과학만으론 부족하다…인허가 전략이 성공과 실패 좌우"
[행복한 팜 스터디②] "약국 경영과 상담 A부터 Z까지" 21일부터 선착순 접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이엔셀, 폴리플러스와 '유전자치료제 개발·바이러스 벡터' 생산 MOU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이엔셀, 폴리플러스와 '유전자치료제 개발·바이러스 벡터' 생산 MOU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