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씨엠생명과학 "바이오 코리아서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발표"
글로벌 빅파마 및 주요 제약바이오기업과 파트너링 미팅 진행…라이선싱 등 전략적 제휴 모색
입력 2022.05.11 19:30 수정 2022.05.11 20:2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세포치료제 연구개발 전문 기업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이 11일부터 13일까지 개최되는 바이오 코리아 2022(BIO KOREA 2022 International Convention)에 참가해 자사의 원천기술인 층분리배양법 및 현재 임상시험 중인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에 대해 소개한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의 층분리배양법은 기존 줄기세포 분리 방식에 비해 고순도·고효능의 줄기세포를 추출할 수 있는 독자적 원천 기술로, 2037년까지 특허로 보호받는 회사의 핵심 경쟁력이다. 이렇게 얻어진 줄기세포는 순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질환특이적 마커로 선별 후 치료제로 개발할 수 있어 적응증별 맞춤형 치료제 개발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기술력으로,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급성 췌장염 치료제,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제 등의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현재 모두 국내 임상 2상을 진행하고 있다. 현재 모든 임상이 순조롭게 진행 중이며, 이 가운데 아토피피부염과 급성 췌장염은 연내에, 나머지 1건은 내년 초에 연이어 임상을 마무리한다는 계획이다. 

만성이식편대숙주질환과 급성 췌장염은 희귀질환으로 분류돼, 이미 조건부 품목허가를 획득해 임상 2상 후에 시장 진입을 추진할 수 있을 것으로 회사는 내다보고 있다. 또한 아토피피부염의 경우 전 세계 환자 수가 약 1억 3천만명, 국내에만 100만 명 이상으로 보고되고 있는 블록버스터급 치료제 시장으로, 글로벌 시장은 약 8.5조원 규모로 형성돼있다.

이번 행사의 비즈니스 포럼 중 바이오라이브를 통해 회사는 ‘난치성 질환 치료를 위한 중간엽줄기세포의 기초연구 및 치료적용’이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또한, 주요 제약바이오회사들과의 파트너링 미팅도 진행한다. 글로벌 빅파마와의 미팅도 예정돼 있어 자사 파이프라인의 라이선싱 및 사업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할 좋은 기회로 회사는 평가하고 있다.

에스씨엠생명과학은 제약사들과의 미팅을 통해 후속 임상, 라이선싱, 인허가 및 사업화, 신규 파이프라인 발굴 등에 대한 전략적 제휴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한다는 복안이다.

에스씨엠생명과학 연구사업혁신개발본부 김석조 본부장(상무)은 “이번 행사를 통해 당사의 원천기술인 층분리배양법의 우수성과 각 줄기세포 치료제 파이프라인의 시장성 및 잠재력을 홍보하고, 여러 비즈니스 파트너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바탕으로 회사 사업의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이기일 차관, 32년 정든 복지부 떠났다…“감사했다, 의료계‧정부 같이 가야”
김남주바이오 "증상 완화 넘어 근본 개선"…약국 맞춤 건기식 솔루션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스씨엠생명과학 "바이오 코리아서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발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에스씨엠생명과학 "바이오 코리아서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발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