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릭스, NASH 치료제 효력시험서 '표적 유전자 발현 억제' 확인
OLX702A 후보물질 투여한 원숭이 간 수치 정상화 데이터 확보
입력 2022.04.07 09:22 수정 2022.04.07 09:2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올릭스가 자사 NASH 치료제 후보물질 프로그램 OLX702A을 대상으로 진행한 비임상 원숭이 실험에서 표적 유전자의 발현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올릭스는 GalNAc-asiRNA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NASH(비알코올성지방간염) 치료제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으며, CRO(임상시험수탁기관)와 원숭이를 대상으로 OLX702A의 비임상 효력시험을 진행 중이다.

회사는 OLX702A 후보물질을 투여한 원숭이에서 타겟하는 mRNA 유전자의 발현이 억제되는 효능을 확인함과 동시에, 높은 ALT 및 AST 수치를 가진 개체에서 해당 수치가 정상 범위로 감소하는 효력 데이터를 확보했다고 전했다. 

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는 주로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세포 손상 시 민감하게 반응하여 혈중 농도가 증가하는 간 기능 검사의 핵심 마커다. AST(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 역시 간세포를 비롯한 심장, 근육 등에 분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 수치가 증가하며, 특히 급성 간염에서 급격한 증가 양상을 보인다.

NASH는 알코올 섭취와 관계없이 간에 축적된 지방으로 인해 간 조직에 염증이 생겨 발병한다. NASH는 간 경변과 간암까지 악화될 수 있지만 염증과 섬유화 등 복잡한 병인에 대처하기 어려워 아직까지 승인된 표준치료제가 전 세계적으로 부재한 실정이다. 업계에 따르면 2021년 기준 글로벌 NASH 치료제 시장규모는 약 4조 5천억 원 수준이며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NASH 발병률에 따라 2026년에는 약 8조 원을 웃도는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올릭스 이동기 대표이사는 “OLX702A는 당사의 B형 간염 치료제(OLX703A)와 함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의 개발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는 프로그램이다. 올릭스가 보유한 GalNAc 플랫폼이 갖춘 시장 경쟁력을 바탕으로 급성장하는 NASH 치료제 시장을 석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전했다.

한편 이동기 대표이사는 대한내분비학회에서 주최하는 심포지엄에 초청연사로 참가해 이번 OLX702A 원숭이 실험 데이터를 공개하고, 'RNA 간섭 기술을 이용한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다.

대한내분비학회는 1982년 당뇨병 및 갑상선 질환 환자 등 내분비 환자 증가에 따른 관심도 증가에 따라 체계적인 내분비학의 연구 및 토의를 위해 설립된 학회다. 이번 차 심포지엄은 온/오프라인 하이브리드로 진행될 예정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올릭스, NASH 치료제 효력시험서 '표적 유전자 발현 억제' 확인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올릭스, NASH 치료제 효력시험서 '표적 유전자 발현 억제' 확인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