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원생명과학, '흡인작용 피내 접종 플랫폼' Science Advances 게재
접종 시 투여 부위 손상 최소화…DNA 백신의 세포내 전달과 항원 발현 우수하게 유도
입력 2021.11.08 10:18 수정 2021.11.08 10:18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진원생명과학은 지난 5일 DNA 백신의 흡인작용 피내접종기 GeneDerm의 플랫폼 개발 연구결과가 국제적으로 저명하고 피인용 횟수가 많은 사이언스의 자매지 Science Advances(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고 8일 밝혔다. 

진원생명과학 관계자는 “해당 논문의 제목은 ‘Novel suction-based in vivo cutaneous DNA transfection platform’으로 미국 Rutgers(럿거스) 공대 연구팀과 공동으로 플랫폼 개발을 수행했고, 현재 임상 1/2a상 연구를 수행 중인 코로나19 DNA백신(GLS-5310)에 적용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논문에 따르면 “접종 시 투여 부위에 손상을 주지 않는 해당 기술은 DNA 백신의 세포 내 전달과 항원 발현을 우수하게 유도할 뿐만 아니라 GLS-5310의 면역반응을 높은 수준으로 유도했다”라고 한다.

또한 회사 측 관계자는 “해당 접종 플랫폼을 이용한 GLS-5310의 햄스터 공격감염연구결과 코로나19 바이러스 야생형뿐만 아니라 베타변이에 대해서도 폐 감염을 완벽히 예방했다”고 밝히며 “백신 접종 후 형성된 항체도 ACE2-RBD 결합시험으로 확인해보니 야생형뿐만 아니라 델타변이도 억제되는 것이 확인됐으며 이미 발표한 GLS-5310의 임상 1상 면역원성 중간평가 1차 결과에서도 GeneDerm 플랫폼을 이용한 백신 접종이 강력하고 높은 항체면역반응과 T세포면역반응을 유도했다”고 말했다.

진원생명과학 박영근 대표이사는 “최고의 과학 학술지에 발표된 본 연구결과는 DNA 백신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려고 저렴하게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사용이 편리한 DNA 백신 접종법 개발을 위한 수년간 노력의 결과물”이라며 “우리 회사와 함께 Rutgers(럿거스) 공대 연구팀의 눈부신 노력으로 DNA의 세포 내 전달을 연구하여 매우 효과적인 DNA 백신과 DNA 기반 치료제의 투여법이 개발된 것으로 DNA 백신과 치료제 개발 과정의 한 획을 긋는 순간”이라고 말했다. 

이어 “GeneDerm은 투여 후 1시간 만에 유전자의 발현을 유도하기 때문에 신변종감염병 백신 분야뿐만 아니라, 치료 즉시 효과가 필요한 항암치료에도 DNA 기반 치료제의 우수한 잠재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혔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C형간염, 약 복용만으로 완치 가능...더 이상 미루지 마세요"
“대상포진 고령화 사회의 ‘필수 방어전’… 치료보다 예방이 훨씬 값지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진원생명과학, '흡인작용 피내 접종 플랫폼' Science Advances 게재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진원생명과학, '흡인작용 피내 접종 플랫폼' Science Advances 게재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