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예방, 치료할 수 있는 신물질로 만든 코와 입안에 뿌리는 스프레이 제품이 이탈리아에서 샘플 테스트에 들어가 곧 전세계에 선보일 전망이다.
주목받고 있는 이 제품은 한국과 해외 과학자 35명이 참여하여 ‘사이언스 시그날링’지(Science Signaling)커버스토리로 발표하여 전세계 화제가 되고 있는 신물질인 ‘인(燐)중합체’(Inorganic Polyphosphate)로 만든 휴대용 스프레이 제품이다.
김홍렬 박사(하임바이오 대표)는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를 예방, 치료할 수 있는 물질로 만든 코와 입안에 뿌리는 스프레이 제품이 이탈리아 쎄인지 연구소에서 샘플제작에 성공하여 실제 테스트가 진행 중”이라고 8일 밝혔다.
신물질 ‘인(燐)중합체'연구에는 이탈리아 나폴리 쎄인지 연구소 마시모 졸로 박사와 국내 하임바이오 김홍렬 박사, 연세대 의대 정재호 박사 등 한국과 해외 과학자 35명이 참여했다.
현재 인(燐)중합체로 만든 나잘 스프레이 샘플이 이탈리아 마시모 졸로 박사에 의해 테스트가 이미 진행 중이다. 변이 바이러스까지 치료, 예방할 수 있는 새로운 의약품 또는 의료기기 개발 가능성을 보여 국내외 대형 제약사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임바이오 김홍렬 대표는 “이미 우한 바이러스와 영국 알파, 브라질 감마 변이 바이러스에는 효과가 검증을 마쳤다. 현재 인도 델타와 남아공에서 유래한 베타형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연구도 진행 중이다. 곧 국제 학술지를 통해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김홍렬 대표는 “스타베닙 임상 1상 역시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다.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예방과 치료제 개발에 관심이 높은 국내외 대형 제약사들과 구체적인 협상이 진행 중이다. 나잘 스프레이와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 대형협력사와 계약이 곧 체결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김홍렬 대표는 “코로나19 변이 예방과 치료제뿐 아니라 암치료제인 스타베닙 임상 1상이 9월말에 끝날 예정이다. 10월초에 임상 1상 완결 발표를 하려고 한다. 이와 동시에 빠르면 11월경에 임상 2상을 위한 IND를 제출할 예정이다. 내년 1월이면 임상 1상에 대한 리포트를 KFDA에 제출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이어 김대표는 “임상1상이 늦어진 것은 코로나19의 영향이 매우 컸다. 그러나 코로나19이후 국내에서 진행된 임상실험 중 50개 이상이 취소된 것에 비하면 스타베닙은 매우 빠르게 성공적으로 임상1상을 마친 성공 케이스 중 하나”라고 밝혔다.
스타베닙 1상 임상이 일정대로 진행된다면 내년 4월에 임상2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임상2상은 국내를 시작으로 미국과 호주 등에서 동시에 이루어질 예정이다. 스타베닙 임상1상 성공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가 높다.
김대표는 “스타베닙 임상1상 성공은 매우 중요하고 의미가 높다. 1상을 마친 스타베닙은 표적항암제에 내성이 생긴 환자들에게 기존 사용하던 표준 항암제로 투여 후 내성을 보여준 항암제와의 병용 또는 단독투여로 12가지 암종에서 선택적으로 2상,3상 추진이 가능하다”고 전했다.
스타베닙 임상1상 성공이 가져올 가치는 다른 항암제 실험에서 보여준 1상 결과에 대한 기대치 보다 월등히 매우 높다. 스타베닙이 단독과 병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김대표는 “2상 임상실시 중이라도 유의성 있는 결과가 있을 시 임상 실시 중 국내외 대형 제약사에 특정 암에 관해 부분적으로 기술 자체를 분리하여 라이쎈싱 아웃 형태의 여러 전략적 경영 방법이 가능하다. 1상 종료의 의미는 상당한 회사 위상에 큰 변화를 가져올 전망”이라고 자신있게 밝혔다.
이 회사는 이미 지난 2019- 2020년도에 국립 암쎈터 로부터 기술 이전을 받아 놓은 실제 암 환자들에게 사용중인 7가지 표준 항암제와의 병용 투여 결과에 대한 유의성 있는 동물 실험 결과 특허를 바탕으로 곧바로 임상 2상 실험을 종래 표준 1차시기 항암제와 병용으로 특정 암에서 항암치료 임상 실시가 가능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