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로버, ‘꿈 마켓’ 플랫폼 개발 성공
연말 본격 출시예정, 건강 관련 꿈을 사고 파는 ‘꿈 쇼핑'사업
입력 2021.08.26 15:18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최근 인체가 갖는 신비로운 영역 중 하나인 꿈이 의학적으로 자주 다뤄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콘텐츠기업 레드로버가 인공지능(AI) 기반의 꿈 해석 솔루션 ‘마이몽’으로 꿈 쇼핑 플랫폼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26일 밝혔다.

꿈이 호르몬과 뇌활동의 결과물이고,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의학저널에 부정맥이 있으면 악몽을 꿀 확률이 3배, 이로 인한 가슴통증이 있으면 7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실린 적도 있다.

레드로버는 인공지능(AI) 기반의 꿈 해석 솔루션 ‘마이몽’서비스를 통해 업계 최초로 각자 개인의 꿈을 NFT화 하여 꿈을 사고 팔 수 있는 ‘몽스토어’를 금년말 정식 출시한다.

레드로버에 의하면 “개인의 꿈에 대한 저작권을 부여하고 꿈을 사고 파는 ‘몽스토어’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마이몽’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지능(PI)기술을 통해 꿈을 분석하고 개인에 맞춘 해석을 해준다. 더 나아가 꿈을 사고 팔기 위해 NFT 기술로 가상 자산화를 시켜 콘텐츠를 등록하고, 꿈을 살 수 있는 꿈마켓 ‘몽스토어’ 서비스할 준비를 마쳤다. 10월이후 베타서비스를 통해 금년말 정식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신개념 꿈 해석 솔루션 ‘마이몽’은 본인의 기본정보(이름, 나이, 성별)와 꿈꾼 내용을 그대로 서술하여 입력하기만 하면 AI 기반의 분석 로직을 통하여 10가지 유형과 1만 2000가지 세부항목으로 본인에 맞춤형 해석을 도출하여 주는 획기적인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꿈을 소재로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목표로 삼고 있다. 플랫폼 속에서 각자 개인이 꿈을 저장하는 ‘몽하우스’를 만들고, 자기 꿈과 타인의 꿈을 사고 팔거나, 해석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이몽은 꿈의 내용에 대한 추가 질문을 즉답형 AI 서비스를 통하여, IT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세계인이 대부분 유사한 방식으로 꿈을 해석하고 외국에도 꿈을 사고파는 문화가 존재하므로 ‘마이몽’과 ‘몽스토어’ 서비스는 강력한 글로벌 K-콘텐츠가 될 가능성이 높다.

레드로버 측에 따르면 “마이몽의 꿈해석을 하나의 디지털 콘텐츠로 유통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좋은 꿈은 좋은 기운과 암시를 줄 수 있기에 이러한 기운과 암시를 사고 싶어 할 것이다. 꿈도 디지털 음원처럼 사고 팔 수 있는 하나의 콘텐츠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꿈의 내용을 해석하고 저장하여 해당 기운이 필요한 사람에게 매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한편, 전문가들 사이에 꿈이 신체와 정신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주장은 꽤 설득력이 있다. 다가올 메타버스 시대에는 꿈을 사고파는 꿈마켓이 또하나의 새로운 글로벌 시장 헬스 아이템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연말 본격 출시예정, 건강 관련 꿈을 사고 파는 ‘꿈 쇼핑'사업

최근 인체가 갖는 신비로운 영역 중 하나인 꿈이 의학적으로도 자주 다뤄지고 있는 가운데 글로벌 콘텐츠기업 레드로버가 인공지능(AI) 기반의 꿈 해석 솔루션 ‘마이몽’으로 꿈 쇼핑 플랫폼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한다고 26일 밝혔다.

꿈이 호르몬과 뇌활동의 결과물이고, 건강 상태와 관련이 있으며 의학저널에 부정맥이 있으면 악몽을 꿀 확률이 3배, 이로 인한 가슴통증이 있으면 7배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실린 적도 있다.

레드로버는 인공지능(AI) 기반의 꿈 해석 솔루션 ‘마이몽’서비스를 통해 업계 최초로 각자 개인의 꿈을 NFT화 하여 꿈을 사고 팔 수 있는 ‘몽스토어’를 금년말 정식 출시한다.

레드로버에 의하면 “개인의 꿈에 대한 저작권을 부여하고 꿈을 사고 파는 ‘몽스토어’ 서비스를 준비중이다. ‘마이몽’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잠재지능(PI)기술을 통해 꿈을 분석하고 개인에 맞춘 해석을 해준다. 더 나아가 꿈을 사고 팔기 위해 NFT 기술로 가상 자산화를 시켜 콘텐츠를 등록하고, 꿈을 살 수 있는 꿈마켓 ‘몽스토어’ 서비스할 준비를 마쳤다. 10월이후 베타서비스를 통해 금년말 정식 서비스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측에 따르면 “신개념 꿈 해석 솔루션 ‘마이몽’은 본인의 기본정보(이름, 나이, 성별)와 꿈꾼 내용을 그대로 서술하여 입력하기만 하면 AI 기반의 분석 로직을 통하여 10가지 유형과 1만 2000가지 세부항목으로 본인에 맞춤형 해석을 도출하여 주는 획기적인 솔루션”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궁극적으로는 꿈을 소재로한 메타버스 플랫폼을 목표로 삼고 있다. 플랫폼 속에서 각자 개인이 꿈을 저장하는 ‘몽하우스’를 만들고, 자기 꿈과 타인의 꿈을 사고 팔거나, 해석하고 공유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마이몽은 꿈의 내용에 대한 추가 질문을 즉답형 AI 서비스를 통하여, IT 기술을 활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세계인이 대부분 유사한 방식으로 꿈을 해석하고 외국에도 꿈을 사고파는 문화가 존재하므로 ‘마이몽’과 ‘몽스토어’ 서비스는 강력한 글로벌 K-콘텐츠가 될 가능성이 높다.

레드로버 측에 따르면 “마이몽의 꿈해석을 하나의 디지털 콘텐츠로 유통하는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좋은 꿈은 좋은 기운과 암시를 줄 수 있기에 이러한 기운과 암시를 사고 싶어 할 것이다. 꿈도 디지털 음원처럼 사고 팔 수 있는 하나의 콘텐츠가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꿈의 내용을 해석하고 저장하여 해당 기운이 필요한 사람에게 매매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라고 전했다.

한편, 전문가들 사이에 꿈이 신체와 정신 건강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주장은 꽤 설득력이 있다. 다가올 메타버스 시대에는 꿈을 사고파는 꿈마켓이 또하나의 새로운 글로벌 시장 헬스 아이템이 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팜듀홀딩스, '연대' 통한 지속성장과 새로운 약국경영모델 제시
[인터뷰] 한때는 약사, 이제는 굿파트너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레드로버, ‘꿈 마켓’ 플랫폼 개발 성공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레드로버, ‘꿈 마켓’ 플랫폼 개발 성공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