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장제약 1분기 당기순이익 코스피제약 평균 104억
코스닥 평균 36억, 전년동기대비 161.7% 급증
입력 2021.06.01 05:18 수정 2021.06.03 11:1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 당기순이익


약업닷컴이 상장제약기업(코스피 40개/ 코스닥 35개)의 2021년 1분기 분기 순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피의 경우 평균 104억원(순이익률 9.4%), 코스닥의 경우 평균 36억원(순이익률 11.8%)을 각각 기록했다.

1분기 순이익이 가장 많았던 제약사는 코스피에선 셀트리온(1,972억원), 코스닥에선 메디톡스(550억원)였으며 전년비 증감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이연제약, 코스닥은 바이넥스로 각각 나타났다.

◇ 코스피제약사 


1분기 순이익

1분기 순익 금액기준 상위 탑5는 셀트리온(1,972억), 삼성바이오로직스(610억), 
SK바이오사이언스(419억), 한미약품(232억), 팜젠사이언스(223억) 순이다 (업계평균 104억원).

1분기 순이익률 상위 탑5는 팜젠사이언스(93.0%), 셀트리온(43.2%), SK바이오사이언스(37.2%), 삼성바이오로직스(23.4%), 환인제약(21.9%) 순이다. (엽계평균 9.4%)

1분기 순이익 전기(2020년 4분기)비 증감률 탑5는 경보제약(350.9%), 보령제약(350.3%), SK바이오사이언스(324.4%), 팜젠사이언스(258.4%), 유나이티드(242.1%) 순이다. (엽계평균 68.8%)

회사별 세부내역은 경보제약 전기비 12억 증가(영업익 11억 증가), 보령제약 전기비 155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07억 증가, 영업익 61억 증가), SK바이오사이언스 전기비 320억 증가(영업익 428억 증가), 팜젠사이언스 전기비 161억 증가(지분법 손익 188억 증가), 유나이티드 전기비 65억 증가(환율변동관련손익 93억 증가) 등이다.

1분기 당기순익을 직전분기(2020년 4분기)와 비교했을때 동아에스티 명문제약 삼일제약 등 10개사는 흑자전환된 반면 삼성제약 일성신약 등 11개사는 적자가 지속되거나 적자전환 됐다.  

1분기 순익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탑5는 이연제약(8466.5%), 동화약품(143.9%),보령제약(138.5%), 파미셀(121.1%) 한미약품(101.5%) 순이다. (업계평균 4.1%)

회사별 세부내역은 이연제약은 전년비 10억 증가(영업익 16억 증가), 동화약품은 전년비 33억증가(영업익 24억 증가), 보령제약은 전년비 115억 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09억 증가), 파미셀은 전년비 10억증가(영업익 7억증가), 한미약품은 전년비 117억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94억증가) 등이다.


누적 순이익 

3개월 누적 금액기준 상위 탑5는 셀트리온(1,972억), 삼성바이오로직스(610억), 
SK바이오사이언스(419억), 한미약품(232억), 팜젠사이언스(223억) 순이다 (업계평균 104억원).

3개월 누적 순이익률 상위 탑5는 팜젠사이언스(93.0%), 셀트리온(43.2%), SK바이오사이언스(37.2%), 삼성바이오로직스(23.4%), 환인제약(21.9%) 순이다. (엽계평균 9.4%)

3개월 누적 전기(2020년 4분기)비 증감률 탑5는 경보제약(350.9%), 보령제약(350.3%), SK바이오사이언스(324.4%), 팜젠사이언스(258.4%), 유나이티드(242.1%) 순이다. (엽계평균 68.8%)

◇ 코스닥제약사 


1분기 순이익

1분기 당기순이익 금액기준 탑5는 메디톡스(550억), 휴젤(194억), 동국제약(154억), 파마리서치(123억), 휴온스(92억) 순이다. (업계평균 36억원) 

1분기 순이익률 탑5는 메디톡스(173.0%), 파마리서치(35.7%), 휴젤(30.4%), 바이넥스(25.7%), 에스텍파마(17.7%) 순이다. 업계평균 (11.8%)

전기(2020년 4분기)비 증감률 탑5는 안국약품(96.6%), 동국제약(74.9%), 한국파마(69.6%), 휴젤(51.4%), 고려제약(51.4%) 순이다. (업계평균 흑자전환)

회사별 세부내역은 안국약품의 경우 전기비 6억 증가(영업익 41억증가, 법인세 20억증가), 동국제약은 전기비 66억증가(환율변동관련손익 58억증가), 한국파마는 전기비 4억증가(영업익 8억증가), 휴젤은 전기비 66억증가(금융상품관련손익 93억증가), 고려제약은 전기비 7억증가(관계기업투자손상차손 5억감소) 등이다.

1분기 당기순익을 전기(2020년4분기)와 비교했을때 동구바이오제약 화일약품 대화제약 등 11개제약은 흑자전환된 반면 이수엡지스 삼천당제약 등 12개사는 적자가 지속되거나 적자전환된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동기 증감률 탑5는 바이넥스(448.4%), 고려제약(318.2%), 휴메딕스(247.0%), 파마리서치(196.0%), 휴젤(190.2%) 순이다 (업계평균 161.7%)

회사별 세부내역은 바이넥스 전년비 69억증가(파생상품관련손익 60억증가), 고려제약은 전년비 19억증가(금융자산관련손익 13억증가), 휴메딕스은 전년비 28억 증가(영업익 18억증가, 금융자산관련손익 8억증가), 파마리서치 전년비 82억 증가(영업익 77억 증가), 휴젤은 전년비 127억 증가(영업익 171억 증가, 법인세 50억 증가) 등이다.


연간누적 순이익

3개월누적 연간 당기순이익 금액기준 탑5는 메디톡스(550억), 휴젤(194억), 동국제약(154억), 파마리서치(123억), 휴온스(92억) 순이다. (업계평균 36억원) 

3개월누적 순이익률 탑5는 메디톡스(173.0%), 파마리서치(35.7%), 휴젤(30.4%), 바이넥스(25.7%), 에스텍파마(17.7%) 순이다. 업계평균 (11.8%)

3개월누적 전년동기 증감률 탑5는 바이넥스(448.4%), 고려제약(318.2%), 휴메딕스(247.0%), 파마리서치(196.0%), 휴젤(190.2%) 순이다 (업계평균 161.7%)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우주와 별을 탐구한 과학자, ‘의료AI’로 ‘소우주’ 인간을 연구하다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상장제약 1분기 당기순이익 코스피제약 평균 104억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상장제약 1분기 당기순이익 코스피제약 평균 104억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