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리언트, AACR서 Q901 내성 유방암 치료효과 발표
팔보시클릭 내성 환자 유래 암조직 이식모델서 종양 성장 억제 확인
입력 2021.04.13 08:3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큐리언트(대표 남기연)는 현재 진행 중인 미국암학회(AACR)에서 Q901(CDK-7저해제)의 시험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발표의 요점은 최근 출시돼 유방암 치료의 새로운 지평을 연 CDK4/6 저해제에 대한 내성을 극복하는 기전을 CDK7 저해제로 제시하는 것이다.

대표적인 CDK4/6 저해제인 화이자의 이브란스(Ibrance, 성분명: palbociclib)는 2020년 매출 54억 달러(약 6조원)의 블록버스터 신약으로 유방암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에스트로겐 수용체 변이암(ER+) 환자의 마지막 보루와 같은 치료제이다. 하지만 이브란스 처방환자의 약 70%는 40개월 이내에 내성이 발견돼 새로운 대안치료법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번 발표에서는 화이자의 이브란스(성분명 Palbociclib)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의 암조직을 생쥐에 이식해 만든 동물모델(PDX(Patient Derived Xenograft) 모델)에서 이브란스와 호르몬치료제, 페스로덱스(Faslodex, 성분명 Fulvestrant)를 병용했을 시 전혀 효과를 보이지 않는 반면 Q901의 경우 현저하게 종양의 성장이 억제되는 결과를 보였다.

PDX 모델은 실험실에서 만들어진 암세포주가 아닌 환자에서 바로 추출한 암세포를 이식하는 모델로 실제 환자에서의 반응을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동물모델로 알려져 있다.

Q901은 큐리언트가 2016년 막스플랑크연구소로부터 도입한 2번째 항암제로 암세포 증식의 master regulator로 작용하는 기전을 통해 표적항암제로 개발되고 있다. 큐리언트는 올해 미국 FDA IND 승인을 통한 임상 진입을 목표로 비임상 개발을 진행 중이다.

큐리언트 남기연 대표는 “작년 AACR을 통해 Q901의 난소암 및 전립선암에서의 효능을 발표했고, 이번 AACR에서는 내성 유방암에 대한 효능을 입증했다”며 “새로운 기전의 항암제를 빠르게 개발해 환자들의 삶을 개선하는데 일조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큐리언트 관계자는 현재 임상 진행 중인 Q702(삼중저해 면역항암제)는 오는 6월에 개최되는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임상 진행 현황에 대해서 발표할 예정이라고 추가 설명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키트루다 담도암 1주년…"유연한 치료 전략 장점 더해 부분급여 적용 시 환자 부담 경감 기대”
"QVIS가 '약물감시 ICH E2B(R3) FDA 게이트웨이' 구축 해냈습니다"
"부광약품, '레가덱스·레가론' 조합으로 간질환 치료 선두 굳힌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큐리언트, AACR서 Q901 내성 유방암 치료효과 발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큐리언트, AACR서 Q901 내성 유방암 치료효과 발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