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은 티움바이오(대표 김훈택)와 공동 개발 중인 자궁근종 치료제 신약 후보 물질 ‘DW-4902’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임상 2상 승인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대원제약과 티움바이오는 지난해 2월 해당 물질에 대한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그간 공동 개발에 박차를 가해 왔다. 티움바이오는 대원제약에 후보 물질 기술을 이전하고, 대원제약은 국내 개발 및 생산과 상업화 일체를 맡는다.
이에 따라 대원제약은 국내에서 자궁근종 환자를 대상으로, 티움바이오는 해외에서 자궁내막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자궁내막증 경우 러시아를 시작으로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폴란드, 체코 등 총 5개 국가 40개 기관에서 임상 2a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로서, 각 적응증별 임상을 통해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임상 단계를보다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원제약에 따르면 DW-4902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생식샘자극호르몬(GnRH) 신호를 막아 여포자극호르몬( 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 분비를 차단하고,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을 억제해 자궁내막증과 자궁근종 치료를 돕는다.
또 1일 1회 복용하는 경구제로 개발 중이기 때문에 기존 주사제 제형에 비해 약물 복용의 편의성을 높였다. 현재까지 국내에 GnRH 길항제 계열 경구제는 아직 없다. 해외 사례는 2018년 미국 FDA로부터 승인을 받은 애브비 ‘오릴리사’가 있으나 국내는 출시되지 않았으며 1일 2회 복용이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생리통은 물론 불임이나 난임, 유산 원인이 될 수 있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편리하고 안전한 신약을 개발해 여성들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티움바이오 관계자는 “이 신약 후보 물질은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뿐 아니라 최근 급증하는 성조숙증, 시험관 아기 시술에도 쓰일 수 있어 더 많은 환자들에게 큰 효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올 들어 상장예비심사 청구 바이오기업 6개사 불과 |
2 | 부광약품, 1분기 매출 369억…전년비 0.2%↑ |
3 | 엔지켐생명과학, 美 임상종양학회서 'EC-18' 임상 2상 성과 발표 |
4 | 윌로그 "생물학적제제·의약품 '콜드체인 시스템' 패러다임 대전환" |
5 | 심평원, ‘사전승인제’ 관리체계 개선 계획…내부 연구 추진 |
6 | 어린이집서 의사 처방없이 풀린 전문의약품…식약처 "고발까지 검토 중" |
7 | 휴마시스, 1분기 매출액 3,264억…‘분기 역대 최대 실적’ |
8 | AZ, ‘코로나19’ 포트폴리오 확대 라이센스 합의 |
9 | 팜젠사이언스, 국가신약개발사업 과제 선정 |
10 | 메디톡스, 1분기 매출 398억…전년비 24.9%↑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원제약(대표 백승열)은 티움바이오(대표 김훈택)와 공동 개발 중인 자궁근종 치료제 신약 후보 물질 ‘DW-4902’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국내 임상 2상 승인을 받았다고 26일 밝혔다.
대원제약과 티움바이오는 지난해 2월 해당 물질에 대한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그간 공동 개발에 박차를 가해 왔다. 티움바이오는 대원제약에 후보 물질 기술을 이전하고, 대원제약은 국내 개발 및 생산과 상업화 일체를 맡는다.
이에 따라 대원제약은 국내에서 자궁근종 환자를 대상으로, 티움바이오는 해외에서 자궁내막증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하고 있다. 자궁내막증 경우 러시아를 시작으로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폴란드, 체코 등 총 5개 국가 40개 기관에서 임상 2a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양사는 전략적 파트너로서, 각 적응증별 임상을 통해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임상 단계를보다 더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대원제약에 따르면 DW-4902는 시상하부에서 분비되는 생식샘자극호르몬(GnRH) 신호를 막아 여포자극호르몬( FSH)과 황체형성호르몬(LH) 분비를 차단하고, 난소에서 여성호르몬을 억제해 자궁내막증과 자궁근종 치료를 돕는다.
또 1일 1회 복용하는 경구제로 개발 중이기 때문에 기존 주사제 제형에 비해 약물 복용의 편의성을 높였다. 현재까지 국내에 GnRH 길항제 계열 경구제는 아직 없다. 해외 사례는 2018년 미국 FDA로부터 승인을 받은 애브비 ‘오릴리사’가 있으나 국내는 출시되지 않았으며 1일 2회 복용이다.
대원제약 관계자는 “생리통은 물론 불임이나 난임, 유산 원인이 될 수 있는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며 “편리하고 안전한 신약을 개발해 여성들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티움바이오 관계자는 “이 신약 후보 물질은 자궁내막증, 자궁근종 뿐 아니라 최근 급증하는 성조숙증, 시험관 아기 시술에도 쓰일 수 있어 더 많은 환자들에게 큰 효익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