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코스닥상장 제약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코스피상장 제약사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약업닷컴(www.yakup.com)이 코스피상장 38개 제약사와 코스닥상장 31개 제약사의 상반기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닥제약사 영업이이률이 13.4%로 8.9%에 그친 코스피 제약사보다 4.5% 높았다. 반면 전년비 증감률은 코스피 제약사가 3.3% 증가했고, 코스닥 제약사는 16.0%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셀트리온 코스닥은 메디톡스, 전년비 증감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한독 코스닥은 화일약품으로 각각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셀트리온이 41.1%로 가장 높은 가운데, 삼진제약이 20%를 넘으며 2위에 올랐고, 환인제약 삼성바이오로직스 유나이티드제약이 15%를 넘으며 '톱5'에 합류했다(평균 8.4%)
증감률은 전년비 '흑자전환'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37.3%로 가장 높았고 부광약품이 133.8%, 신풍제약이 103.4%로 뒤를 이었다. 동아에스티와 우리들제약이 5위에 들었다(평균 -5.5%)
에이프로젠제약 동성제약 삼일제약 파미셀 등 4곳은 '적자지속', 영진약품은 '적자전환'했다.
2분기(전년비)= 증감률은 전기비 증감률 2위인 부광약품이 1,000%를 넘었고 동아에스티와 보령제약이 400%를 넘었다. 일동제약이 '톱5'에 들었다(평균 -4.0%)
누적(전년비)=영업이익은 셀트리온이 2천억을 넘었고 2분기 영업이익 '톱5'에 들지 않은 유한양행이 400억을 넘으며 3위에 올랐다. 2분기 영업이익 '톱5'에 든 동아에스티는 상반기 영업이익 '톱5'에는 빠졌다(평균 175억)
영업이익률은 2분기 영업이익률 '톱5'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순위만 바뀌며 모두 '톱5'에 들었다.(평균 8.9%)
증감률은 한독이 2,000%를 넘었고 동아에스티는 200%를, 보령제약은 100%를 넘었다(평균 3.3%)
제약사별(2분기) : 전기비=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7억 증가(매출원가 234억 감소), 부광약품은 22억 증가(매출 53억 증가), 신풍제약은 13억 증가(매출 71억 증가), 동아에스티는 97억 증가(매출 168억 증가), 우리들제약은 9억 증가(매출 9억 증가)했다.
제약사별(2분기) : 전년비=부광약품은 34억 증가(연구개발비 30억 감소), 동아에스티는 165억 증가(매출 198억 증가), 보령제약은 34억 증가(매출 55억 증가), 우리들제약은 5억 증가(매출 33억 증가), 일동제약은 17억 증가(매출 132억 증가)했다.
누적(전년비)=한독은 72억 증가(매출원가 56억 감소), 동아에스티는 223억 증가(매출 225억 증가), 보령제약은 74억 증가(매출 174억 증가), 부광약품은 22억 증가(매출 30억 증가), 일동제약은 54억 증가(매출 256억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1,2위는 영업이익과 동일한 가운데 삼천당제약과 비씨월드제약이 17%를 넘으며 '톱5'에 들었다(평균 12.4%)
증감률은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률 '톱5' 제약사가 대부분 빠진 가운데 에스티팜이 2,000%를 넘었고 안국약품 조아제약이 100%를 넘었다. 신신제약과 대한뉴팜이 50% 미만으로 5위 안에 들었다(평균 -9.8%)
에스텍파마는 '흑자전환', 이수앱지스 코오롱생명과학 테라젠이텍스 서울제약 바이넥스 등 5곳은 '적자지속'했다.
2분기(전년비)=증감률은 전기비 증감률 1,2인 에스티팜과 안국약품이 '톱5'에서 제외되고 JW신약 화일약품이 1,000%를 넘으며 1,2위에 올랐다. 전기비 증감률 4위인 신신제약도 빠졌고 대화제약이 100%를 넘기며 3위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21.8%)
누적(전년비)=영업이익은 전기비 영업이익 '톱5' 순위가 그대로 이어졌다(평균 76억).
영업이익률은 2분기 영업이익률 '톱5' 중 4,5위인 삼천당제약과 비씨월드제약이 빠지고 파마리서치프로덕트와 경동제약이 20%를 넘으며 '톱5'에 들었다(평균 13.4%)
증감률은 2분기 1,000%를 넘으며 전년비 증감률 2위에 오른 화일약품이 유일하게 100%를 넘었고 CMG제약이 60%를, 휴온스가 50%를 넘기며 '톱5'에 합류했다(평균 -16.0%)
제약사별(2분기) :전기비=에스티팜은 48억 증가(매출 75억 증가), 안국약품은 16억 증가(판관비 20억 감소), 조아제약은 5억 증가(매출 12억 증가), 신신제약은 4억 증가(매출 24억 증가), 대한뉴팜은 11억 증가(판관비 18억 감소)했다.
제약사별(2분기): 전년비=JW신약은 22억 증가(매출 45억 증가), 화일약품은 19억 증가(판관비 17억 감소), 대화제약은 7억 증가(매출원가 31억 감소), 조아제약은 5억 증가(매출 15억 증가), 대한뉴팜은 19억 증가(판관비 44억 감소)했다.
누적(전년비)=화일약품은 21억 증가(판관비 18억 감소), 대화제약은 20억 증가(매출원가 74억 감소), CMG제약은 5억 증가(매출 45억 증가), 휴온스는 80억 증가(매출 169억 증가), 대한뉴팜은 29억 증가(판관비 62억 감소)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R&D 톱5 셀트리온 삼바∙대웅제약∙GC녹십자∙한미약품 |
2 | CAR-T 한계 극복 'CAR-NK'는 어디까지 왔나 |
3 | 2023 상반기 상품매출 톱5, 코스피 유한양행∙광동제약∙종근당∙GC녹십자∙제일약품 順 |
4 | 2023 상반기 해외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유한양행∙GC녹십자 |
5 | 엔케이맥스, 美자회사 글로벌 콘퍼런스서 'SNK' 비전·경쟁력 발표 |
6 |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훈풍…"지난해 기록 넘어설 것” |
7 | [HIV 특집] 현장 목소리, "질병보다 무서운 '오해와 편견'" |
8 | 이수그룹 김상범 회장, 경영 현장 직접 챙긴다…“생산일정 밀착 관리“ |
9 | 병원 처방 마약류·향정신성 의약품…국정감사 핫 이슈될까? |
10 | 마크로젠, 유전자 검사 기반 헬스케어 플랫폼 ‘젠톡’ B2B 제휴 확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올해 상반기 코스닥상장 제약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이 코스피상장 제약사보다 월등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약업닷컴(www.yakup.com)이 코스피상장 38개 제약사와 코스닥상장 31개 제약사의 상반기 영업이익을 분석한 결과, 코스닥제약사 영업이이률이 13.4%로 8.9%에 그친 코스피 제약사보다 4.5% 높았다. 반면 전년비 증감률은 코스피 제약사가 3.3% 증가했고, 코스닥 제약사는 16.0% 감소했다.
영업이익과 영업이익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셀트리온 코스닥은 메디톡스, 전년비 증감률이 가장 높은 제약사는 코스피는 한독 코스닥은 화일약품으로 각각 나타났다.
영업이익률도 셀트리온이 41.1%로 가장 높은 가운데, 삼진제약이 20%를 넘으며 2위에 올랐고, 환인제약 삼성바이오로직스 유나이티드제약이 15%를 넘으며 '톱5'에 합류했다(평균 8.4%)
증감률은 전년비 '흑자전환'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137.3%로 가장 높았고 부광약품이 133.8%, 신풍제약이 103.4%로 뒤를 이었다. 동아에스티와 우리들제약이 5위에 들었다(평균 -5.5%)
에이프로젠제약 동성제약 삼일제약 파미셀 등 4곳은 '적자지속', 영진약품은 '적자전환'했다.
2분기(전년비)= 증감률은 전기비 증감률 2위인 부광약품이 1,000%를 넘었고 동아에스티와 보령제약이 400%를 넘었다. 일동제약이 '톱5'에 들었다(평균 -4.0%)
누적(전년비)=영업이익은 셀트리온이 2천억을 넘었고 2분기 영업이익 '톱5'에 들지 않은 유한양행이 400억을 넘으며 3위에 올랐다. 2분기 영업이익 '톱5'에 든 동아에스티는 상반기 영업이익 '톱5'에는 빠졌다(평균 175억)
영업이익률은 2분기 영업이익률 '톱5'가 삼성바이오로직스와 한국유나이티드제약 순위만 바뀌며 모두 '톱5'에 들었다.(평균 8.9%)
증감률은 한독이 2,000%를 넘었고 동아에스티는 200%를, 보령제약은 100%를 넘었다(평균 3.3%)
제약사별(2분기) : 전기비=삼성바이오로직스는 137억 증가(매출원가 234억 감소), 부광약품은 22억 증가(매출 53억 증가), 신풍제약은 13억 증가(매출 71억 증가), 동아에스티는 97억 증가(매출 168억 증가), 우리들제약은 9억 증가(매출 9억 증가)했다.
제약사별(2분기) : 전년비=부광약품은 34억 증가(연구개발비 30억 감소), 동아에스티는 165억 증가(매출 198억 증가), 보령제약은 34억 증가(매출 55억 증가), 우리들제약은 5억 증가(매출 33억 증가), 일동제약은 17억 증가(매출 132억 증가)했다.
누적(전년비)=한독은 72억 증가(매출원가 56억 감소), 동아에스티는 223억 증가(매출 225억 증가), 보령제약은 74억 증가(매출 174억 증가), 부광약품은 22억 증가(매출 30억 증가), 일동제약은 54억 증가(매출 256억 증가)했다.
영업이익률도 1,2위는 영업이익과 동일한 가운데 삼천당제약과 비씨월드제약이 17%를 넘으며 '톱5'에 들었다(평균 12.4%)
증감률은 영업이익 및 영업이익률 '톱5' 제약사가 대부분 빠진 가운데 에스티팜이 2,000%를 넘었고 안국약품 조아제약이 100%를 넘었다. 신신제약과 대한뉴팜이 50% 미만으로 5위 안에 들었다(평균 -9.8%)
에스텍파마는 '흑자전환', 이수앱지스 코오롱생명과학 테라젠이텍스 서울제약 바이넥스 등 5곳은 '적자지속'했다.
2분기(전년비)=증감률은 전기비 증감률 1,2인 에스티팜과 안국약품이 '톱5'에서 제외되고 JW신약 화일약품이 1,000%를 넘으며 1,2위에 올랐다. 전기비 증감률 4위인 신신제약도 빠졌고 대화제약이 100%를 넘기며 3위로 '톱5'에 합류했다(평균 -21.8%)
누적(전년비)=영업이익은 전기비 영업이익 '톱5' 순위가 그대로 이어졌다(평균 76억).
영업이익률은 2분기 영업이익률 '톱5' 중 4,5위인 삼천당제약과 비씨월드제약이 빠지고 파마리서치프로덕트와 경동제약이 20%를 넘으며 '톱5'에 들었다(평균 13.4%)
증감률은 2분기 1,000%를 넘으며 전년비 증감률 2위에 오른 화일약품이 유일하게 100%를 넘었고 CMG제약이 60%를, 휴온스가 50%를 넘기며 '톱5'에 합류했다(평균 -16.0%)
제약사별(2분기) :전기비=에스티팜은 48억 증가(매출 75억 증가), 안국약품은 16억 증가(판관비 20억 감소), 조아제약은 5억 증가(매출 12억 증가), 신신제약은 4억 증가(매출 24억 증가), 대한뉴팜은 11억 증가(판관비 18억 감소)했다.
제약사별(2분기): 전년비=JW신약은 22억 증가(매출 45억 증가), 화일약품은 19억 증가(판관비 17억 감소), 대화제약은 7억 증가(매출원가 31억 감소), 조아제약은 5억 증가(매출 15억 증가), 대한뉴팜은 19억 증가(판관비 44억 감소)했다.
누적(전년비)=화일약품은 21억 증가(판관비 18억 감소), 대화제약은 20억 증가(매출원가 74억 감소), CMG제약은 5억 증가(매출 45억 증가), 휴온스는 80억 증가(매출 169억 증가), 대한뉴팜은 29억 증가(판관비 62억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