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인들이 민간요법으로 이용하던 버드나무 껍질에서 비롯되었다는 아스피린은 해열소염진통제로 유명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아스피린은 보통 열이 나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통증이 있을 때 먹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알려진 아스피린의 또 다른 효과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이다. 진통제인 아스피린이 심혈관계 질환과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바로 아스피린의 대표적인 부작용의 하나를 치료효과에 이용한 것으로, 아스피린이 혈전 생성을 방해하는데 착안 한 것이다.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등의 심혈관계 질환 환자에게는 혈전이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아스피린은 혈전생성을 방해하여 이들 질환이 재발하는 것을 막는 데 쓰인다. 하지만, 이러한 아스피린의 피가 응고되지 않게 하는 효과 때문에 출혈 위험성이 있다.
허혈성 심장 질환의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당뇨 등 복합적인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은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 생길 위험이 높다. 이러한 사람들이 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려면 본인의 병력,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출혈 위험성에 대하여 먼저 전문의와 상의하여, 아스피린을 먹는 것이 득이 될지 실이 될지 잘 따져보아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효과에 따라 복용해야하는 아스피린의 용법용량도 다르다. 해열소염진통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은 성인의 경우 증상에 따라 1회 500~1,500 mg을 1일 2~3회로 비교적 단기간 복용한다. 반면, 심혈관계 질환 치료목적으로 복용하는 아스피린(아스피린프로텍트정, 아스트릭스캡슐 등)은 위에서 녹지 않고 장까지 도달한 후 녹아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제제로 보통 1일 1회 75~100 mg을 꾸준히 복용한다.
만약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 출혈 가능성이 있는 시술이나 수술을 계획하고 있다면 아스피린 복용 사실을 담당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출혈 가능성이 있는 처치나 수술 전에 3~7일 정도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고 아스피린의 혈전 생성 억제 효과, 즉 출혈 위험이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기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바이오텍 브랜드평판, 알테오젠·진원생명과학·네이처셀 순 |
2 | SK바이오사이언스 “세계에 SK 백신 성공 DNA 심겠다” |
3 | [지금 이연제약은?] '케미컬·바이오' 두마리 토끼 사냥 |
4 | 알츠하이머 '근본 치료제' 시장 지각변동 감지 |
5 | 복사 붙여넣기 '오가노이드'…②최강자는 누가 될까? |
6 | 美 코로나19 비상사태 종료 임박 '코비드 산업' 격변 예고 |
7 | 건기식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KT&G·LG생활건강·청담글로벌 순 |
8 | 2월부터 독감‧코로나19 ‘콤보키트’ 검사 급여기준 신설 |
9 | "버티자, 버티는 거야, 버티면 다 되는 거야" 제약바이오협회 원희목 회장 당부 |
10 | [기획 인터뷰] “‘제약바이오혁신위 추진, K-바이오 백신펀드 투자’ 주시하겠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고대인들이 민간요법으로 이용하던 버드나무 껍질에서 비롯되었다는 아스피린은 해열소염진통제로 유명하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아스피린은 보통 열이 나거나 염증이 생기거나 통증이 있을 때 먹게 된다.
그러나 최근에 알려진 아스피린의 또 다른 효과는 심혈관계 질환 치료이다. 진통제인 아스피린이 심혈관계 질환과 무슨 관계가 있는 것일까? 바로 아스피린의 대표적인 부작용의 하나를 치료효과에 이용한 것으로, 아스피린이 혈전 생성을 방해하는데 착안 한 것이다.
심근경색, 협심증, 뇌경색 등의 심혈관계 질환 환자에게는 혈전이 가장 경계해야 할 대상이다. 아스피린은 혈전생성을 방해하여 이들 질환이 재발하는 것을 막는 데 쓰인다. 하지만, 이러한 아스피린의 피가 응고되지 않게 하는 효과 때문에 출혈 위험성이 있다.
허혈성 심장 질환의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 고지혈증, 비만, 당뇨 등 복합적인 위험인자가 있는 사람은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이 생길 위험이 높다. 이러한 사람들이 예방 목적으로 아스피린을 복용하려면 본인의 병력, 현재 복용하고 있는 약물, 출혈 위험성에 대하여 먼저 전문의와 상의하여, 아스피린을 먹는 것이 득이 될지 실이 될지 잘 따져보아야 한다.
이러한 두 가지 효과에 따라 복용해야하는 아스피린의 용법용량도 다르다. 해열소염진통제로 사용되는 아스피린은 성인의 경우 증상에 따라 1회 500~1,500 mg을 1일 2~3회로 비교적 단기간 복용한다. 반면, 심혈관계 질환 치료목적으로 복용하는 아스피린(아스피린프로텍트정, 아스트릭스캡슐 등)은 위에서 녹지 않고 장까지 도달한 후 녹아 흡수되도록 만들어진 제제로 보통 1일 1회 75~100 mg을 꾸준히 복용한다.
만약 아스피린을 꾸준히 복용하고 있는 사람이 출혈 가능성이 있는 시술이나 수술을 계획하고 있다면 아스피린 복용 사실을 담당 의사에게 알려야 한다. 출혈 가능성이 있는 처치나 수술 전에 3~7일 정도 아스피린 복용을 중단하고 아스피린의 혈전 생성 억제 효과, 즉 출혈 위험이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기간이 필요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