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하철을 이용하다 보면 무릎 통증으로 지하철 계단에 서서 하염없이 이어지는 긴 계단을 원망스럽게 쳐다보는 어르신들을 종종 뵙게 된다. 여유로워진 일상에 친구들과 여행도 가고 운동도 하고 싶지만 그저 마음 뿐, 관절들은 움직일 때 마다 녹슨 기계처럼 삐거덕 거린다. 흔히 퇴행성관절염이라고도 불리는 골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의 연골이 닳고,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의 주요증상으로는 관절통, 뻣뻣함 등이 있으며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관절 마찰음이 들리고, 아침보다는 저녁시간 또는 운동 후에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면서 아프다.
또한 손상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골관절염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주로 체중 부하가 큰 관절 즉, 무릎관절, 엉덩이 관절이나 평소 많이 사용하는 손가락 끝마디 관절에 나타난다.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1)에 따르면 만65세 이상 성인에서 골관절염 유병률은 32.7%로 어르신 10명 중 3명 이상이 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있다.
이렇듯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골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완전히 정상으로 되돌리기는 어렵다. 따라서 골관절염의 치료목표는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관절통증은 조절하고 치료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관절의 기능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골관절염의 약물치료법을 살펴보면 투여방법에 따라 먹는 약(경구제), 바르거나 붙이는 외용제와 아픈 관절에 직접 주사하는 국소주사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붙임1).
붙임 1.
구분 |
성분 | ||
경 구 제 |
- |
아세트아미노펜 | |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
비선택적 COX저해제 |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펠루비프루펜, 록소프로펜 피록시캄, 테녹시캄 등 | |
COX-2저해제 |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폴마콕시브 | ||
국소외용제 |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피록시캄 등 | ||
관절내 주사제 |
부신피질호르몬제, 히알루론산나트륨 |
아세트아미노펜은 관절의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로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SAID: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나 마약성진통제에 비해 부작용은 적지만 효과가 강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NSAID는 관절 통증 및 염증완화를 위해 골관절염에 흔히 사용되나, 장기 복용 시 속쓰림, 구역, 상부 위장관의 궤양 및 응고기전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른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다. 또한, 아스피린의 혈전예방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혈압약(베타차단제, ACE억제제)을 복용하는 환자에서 혈압상승과 부종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세클로페낙 등이 있다. 최근에는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소화기계의 부작용을 줄여주는 새로운 기전의 NSAID 약물(예: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폴마콕시브)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물들의 경우에도 고혈압, 심부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주의해서 약물을 사용해야 하며 꼭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으로 투여하여야 한다.
외용제는 통증이 있는 관절부위에 바르거나 붙이는 제제(로션, 겔제, 연고제, 패취 등)로 주로 경증내지 중등도의 골관절염에 사용되며 경구제와 함께 사용되거나 경구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피록시캄 등이 있다. 이러한 외용제를 사용한 후에는 손을 씻어야 하며, 적용부위에 피부발진이나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각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나 약사와 상의한다. 특히, 케토프로펜 성분이 함유된 외용제의 사용 중 또는 사용 후 2주까지는 햇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피부 두드러기, 물집,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약물 바른 부위를 옷 등으로 가려야 한다.
한편, 국소주사제는 골관절염의 활막염, 외상 후 골관절염 등에서 통증이 있는 관절안으로 직접 주사하는 의약품으로 활막의 염증을 억제하여 통증을 개선시키는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연골표면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연골합성을 자극하고 퇴행을 억제하는 히알루론산 제제가 있다. 히알루론산제제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투여횟수가 다르므로 투여 전 의사와 상담하고 정확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하다. 이들 주사 투여 후에는 관절을 많이 움직이는 운동이나 관절에 무리를 주는 자세 등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2015년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년) 및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3Q 누적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대웅제약∙종근당 |
2 | 리가켐바이오 파트너사 시스톤, 'LCB71' 업데이트 임상1a상 포스터 발표 |
3 | 이엔셀, 국제학회서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 'EN001' 1a상 결과 발표 |
4 | 화장품 기업 74개사 3Q 누적 순이익 평균 264억…전년比 54.4%↑ |
5 | [대약] 박영달 선대본, 선관위에 항의 "불공정 선거 사죄하라" |
6 | 대한약사회, 수급 불안정 '이모튼캡슐' 약국 균등공급 실시 |
7 | 써모피셔 아닐 카네 기술총괄 "바이오 경구제형 변경 열풍…'CDMO' 협력이 상업 성공 핵심" |
8 | “환자안전사고 1위 ‘투약 오류’…‘에피네프린‧뮤코미스트’ 사고로 시스템 개선” |
9 | 노보, 품질 확보 위한 4억 달러 투자 감행…"이번엔 QC다" |
10 | 뷰티 브랜드·제조사·유통기업 , '수출의 탑' 대거 수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하철을 이용하다 보면 무릎 통증으로 지하철 계단에 서서 하염없이 이어지는 긴 계단을 원망스럽게 쳐다보는 어르신들을 종종 뵙게 된다. 여유로워진 일상에 친구들과 여행도 가고 운동도 하고 싶지만 그저 마음 뿐, 관절들은 움직일 때 마다 녹슨 기계처럼 삐거덕 거린다. 흔히 퇴행성관절염이라고도 불리는 골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관절의 연골이 닳고, 주변의 활액막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변형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골관절염의 주요증상으로는 관절통, 뻣뻣함 등이 있으며 관절을 움직일 때마다 관절 마찰음이 들리고, 아침보다는 저녁시간 또는 운동 후에 관절이 붓고 열이 나면서 아프다.
또한 손상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이 어려워지기도 한다. 골관절염은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하며 주로 체중 부하가 큰 관절 즉, 무릎관절, 엉덩이 관절이나 평소 많이 사용하는 손가락 끝마디 관절에 나타난다. 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1)에 따르면 만65세 이상 성인에서 골관절염 유병률은 32.7%로 어르신 10명 중 3명 이상이 골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있다.
이렇듯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골관절의 퇴행성 변화를 완전히 정상으로 되돌리기는 어렵다. 따라서 골관절염의 치료목표는 개개인의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방법을 사용하여 관절통증은 조절하고 치료 부작용은 최소화하면서 관절의 기능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골관절염의 약물치료법을 살펴보면 투여방법에 따라 먹는 약(경구제), 바르거나 붙이는 외용제와 아픈 관절에 직접 주사하는 국소주사제 등으로 나눌 수 있다(붙임1).
붙임 1.
구분 | 성분 | ||
경 구 제 | - | 아세트아미노펜 | |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 비선택적 COX저해제 |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케토프로펜, 나프록센, 펠루비프루펜, 록소프로펜 피록시캄, 테녹시캄 등 | |
COX-2저해제 |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폴마콕시브 | ||
국소외용제 |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피록시캄 등 | ||
관절내 주사제 | 부신피질호르몬제, 히알루론산나트륨 |
아세트아미노펜은 관절의 통증을 가라앉히는 약물로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NSAID: Non-Steroidal Anti Inflammatory Drug)나 마약성진통제에 비해 부작용은 적지만 효과가 강하지 않다는 한계가 있다. 한편, NSAID는 관절 통증 및 염증완화를 위해 골관절염에 흔히 사용되나, 장기 복용 시 속쓰림, 구역, 상부 위장관의 궤양 및 응고기전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의사의 처방에 따른 신중한 투여가 필요하다. 또한, 아스피린의 혈전예방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고혈압약(베타차단제, ACE억제제)을 복용하는 환자에서 혈압상승과 부종 등의 부작용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아세클로페낙 등이 있다. 최근에는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소화기계의 부작용을 줄여주는 새로운 기전의 NSAID 약물(예: 세레콕시브, 에토리콕시브, 폴마콕시브)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이 약물들의 경우에도 고혈압, 심부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이 있는 환자의 경우 주의해서 약물을 사용해야 하며 꼭 필요한 경우에는 최소한으로 투여하여야 한다.
외용제는 통증이 있는 관절부위에 바르거나 붙이는 제제(로션, 겔제, 연고제, 패취 등)로 주로 경증내지 중등도의 골관절염에 사용되며 경구제와 함께 사용되거나 경구제를 사용할 수 없는 환자에서 사용한다.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케토프로펜, 록소프로펜, 피록시캄 등이 있다. 이러한 외용제를 사용한 후에는 손을 씻어야 하며, 적용부위에 피부발진이나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각 사용을 중지하고 의사나 약사와 상의한다. 특히, 케토프로펜 성분이 함유된 외용제의 사용 중 또는 사용 후 2주까지는 햇빛이나 자외선에 의해 피부 두드러기, 물집, 발진 등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외출 시 약물 바른 부위를 옷 등으로 가려야 한다.
한편, 국소주사제는 골관절염의 활막염, 외상 후 골관절염 등에서 통증이 있는 관절안으로 직접 주사하는 의약품으로 활막의 염증을 억제하여 통증을 개선시키는 부신피질 호르몬제와 연골표면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연골합성을 자극하고 퇴행을 억제하는 히알루론산 제제가 있다. 히알루론산제제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투여횟수가 다르므로 투여 전 의사와 상담하고 정확한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중요하다. 이들 주사 투여 후에는 관절을 많이 움직이는 운동이나 관절에 무리를 주는 자세 등은 피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문헌
2015년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통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3차년도(2015년) 및 제11차(2015년)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