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강수형)는 스웨덴 바이오벤처 비악티카(Beactica AB, 대표 Per Källblad)社와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후성유전학 기반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비악티카社의 기존 선도물질 및 공동연구를 통해 발굴될 추가 선도물질에 대한 글로벌 독점권을 확보하고, 최적화 연구, 전임상, 임상 등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함께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후성유전학은 유전자의 발현과 이를 조절하는데 관련된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비악티카社는 이러한 단백질의 기능 조절에 특화된 혁신기술과 선도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유럽 대학, 글로벌제약사 및 연구기관과 R&D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비악티카社 대표 Per Källblad는 ”후성유전학을 근거로 한 신약개발을 통해 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제를 제공하려는 동아에스티의 노력에 큰 감명을 받았고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공동연구는 매우 획기적인 연구로 양사의 시너지를 통해 개발 될 치료제의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강수형 사장은 “신약 물질 발굴에 전문화된 비악티카社와의 글로벌 계약을 통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한걸음 다가섰다“며 ”이번 공동연구는 동아에스티가 항암분야 파이프라인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생각하며, 암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동아에스티는 글로벌시장에서 인정 받는 신약 개발을 위해 연구 착수 단계부터 글로벌 미충족 수요가 있는 분야를 선택하고 글로벌 시장 중심의 R&D를 추진하고 있다. 또 외부기관과 개방형 협력을 통해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1분기 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종근당∙한미약품 |
2 | ‘우크라 사태’ 韓 의약품 임상시험 ‘먹구름’…의료기기 수출도 ‘암울’ |
3 | 알테오젠 'ALT-B4' 마일스톤 300억원 돌파…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4 | 카나리아바이오, 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 3상 환자 모집 마감 |
5 | 2023년 1분기 매출총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대웅제약∙유한양행 |
6 | 키트루다 다음은 '대사항암제'㊦…춘추전국시대 최강자 자리 접전 |
7 | 키트루다 다음은 '대사항암제'㊤…4세대 항암제로 자리매김할까? |
8 | 병협 1.9% 치협 3.2% 한의협 3.6% 수가협상 '타결'...의협·약사회 결렬 |
9 | "빅딜 또 터질까?" 에이비엘바이오, BIO USA 출격 |
10 | 응급실 뺑뺑이 타개책...의사 인력 확충 vs 의료인 처우 개선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동아에스티(대표이사 사장 강수형)는 스웨덴 바이오벤처 비악티카(Beactica AB, 대표 Per Källblad)社와 공동연구 및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후성유전학 기반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나선다고 26일 밝혔다.
계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비악티카社의 기존 선도물질 및 공동연구를 통해 발굴될 추가 선도물질에 대한 글로벌 독점권을 확보하고, 최적화 연구, 전임상, 임상 등 항암 신약 개발을 위한 일련의 과정을 함께 진행해 나갈 계획이다.
후성유전학은 유전자의 발현과 이를 조절하는데 관련된 단백질의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비악티카社는 이러한 단백질의 기능 조절에 특화된 혁신기술과 선도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여러 유럽 대학, 글로벌제약사 및 연구기관과 R&D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비악티카社 대표 Per Källblad는 ”후성유전학을 근거로 한 신약개발을 통해 암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제를 제공하려는 동아에스티의 노력에 큰 감명을 받았고 공동연구를 시작할 수 있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이번 공동연구는 매우 획기적인 연구로 양사의 시너지를 통해 개발 될 치료제의 파급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동아에스티 강수형 사장은 “신약 물질 발굴에 전문화된 비악티카社와의 글로벌 계약을 통해 차세대 항암제 개발에 한걸음 다가섰다“며 ”이번 공동연구는 동아에스티가 항암분야 파이프라인 강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좋은 기회로 생각하며, 암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동아에스티는 글로벌시장에서 인정 받는 신약 개발을 위해 연구 착수 단계부터 글로벌 미충족 수요가 있는 분야를 선택하고 글로벌 시장 중심의 R&D를 추진하고 있다. 또 외부기관과 개방형 협력을 통해 상호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제품이나 기술의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