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제약,'파마마'사 다발골수종치료제 '아플리딘’ 기술도입
미국, 유럽, 아시아 19개 국가 임상서 병의 진행 또는 사망 위험 35% 감소
입력 2016.10.04 09:29 수정 2016.10.04 13:3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보령제약(대표 최태홍)이 스페인 제약기업 파마마社(PharmaMar)와 다발 골수종 치료제 ‘아플리딘,Aplidin '(성분명: 플리티뎁신)의 라이선스 인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파마마 는 해양성 항암제 R&D 분야에서 세계적인 선도기업으로, 풍부한 신약 후보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번 계약 체결로 보령제약은 파마마社로부터 다발 골수종 치료제 ‘아플리딘’의 국내 도입 및 상업화 등을 위한 독점권을 획득했다.

보령제약에 따르면 아플리딘의 성분인 플리티뎁신은 아플리디움 알비칸스(Aplidium albicans)라는 해양천연물을 원료로 하며, 종양 세포 내 단백질(eEF1A2)에 작용하여 암세포를 억제시킨다. 파마마社의 아플리딘은 암이 재발하거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게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다른 항암제와 다양한 병용 치료가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항암치료와 항암제 내성 극복을 위한 새로운 희망이 되는 치료방법으로 기대 받고 있다.

지난 3월 파마마社는 미국, 유럽 및 아시아를 포함한 19개 국가의 255명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대상으로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단독 치료와 덱사메타손에 아플리딘을 추가한 치료에 대한 임상 3상을 진행했다. 임상 결과, 아플리딘은 대조군과 비교해 병의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35% (p=0.0054)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플리딘은 탈모, 항암 부작용이 현저히 떨어져 병이 재발하거나,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기존 치료를 받았던 환자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보령제약 최태홍 사장은 “최근 몇 년간 종양학 분야의 눈에 띄는 발전에도 불구하고, 다발성 골수종은 치료하기 어려운 질환이었다.. 때문에 아플리딘은 새로운 희귀질환 치료제로서 높은 가치가 있다”며, “파마마의 가치 있는 다발 골수종 치료제가 가능한 빠른 시일 내에 국내 환자들에게 처방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파마마의 종양학 사업본부 루이스 모라(Luis Mora) 본부장은 “이 계약은 호주/뉴질랜드 및 동아시아 12개국 계약에 이어 아시아에서 “세 번째 계약체결 국가인 국과의 파트너십으로 보다 많은 환자들에게 뛰어난 항암 치료를 제공하길 바라며, 보령제약과의 협업이 아플리딘의 미래 매출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보령제약은 아플리딘을 2019년 국내에 발매 할 계획이다. 현재 국내 다발성 골수종 시장은 약 560억원 규모이며, 다발성 골수종의 완치율은 20% 미만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우주와 별을 탐구한 과학자, ‘의료AI’로 ‘소우주’ 인간을 연구하다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보령제약,'파마마'사 다발골수종치료제 '아플리딘’ 기술도입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보령제약,'파마마'사 다발골수종치료제 '아플리딘’ 기술도입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