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들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비감염성 피부 질환으로는 기저귀피부염, 아토피피부염, 건선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아토피피부염, 건선은 환절기나 겨울처럼 건조한 계절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보니 요즘처럼 기온과 습도가 상승하는 계절에는 조금 관리를 소홀히 해도 괜찮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냉방기기도 겨울 못지않은 건조한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아토피피부염, 건선은 더운 날씨에도 반드시 꼼꼼한 관리가 필요한 피부 질환이다.
기저귀피부염은 기저귀 차는 부위에 생기는 피부염(혹은 습진)을 총칭하는 것으로 일종의 자극에 의한 피부염이다. 기저귀피부염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는 기저귀와 피부 사이의 마찰, 소변, 대변, 칸디다 곰팡이, 기저귀 소독에 사용되는 세제 등이 있다.
특히 덥고 습한 무더위가 시작되면 조금만 청결 관리에 소홀히 해도 기저귀피부염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기저귀 차는 부위에 생긴 발진이 모두 기저귀피부염은 아니며 간혹 건선 같은 만성 피부질환의 처음 징후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아토피피부염은 오래 지속되는 만성 피부염으로 대개 생후 2~3개월부터 나타난다.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은 주로 심한 가려움증이며 그 부위를 긁거나 문지르면 습진이 심해지고 그로 인해 다시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아토피피부염은 보통 겨울에 증상이 심해지지만 여름철에 흘리는 땀도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은 연령에 따라 유아기(2개월~2세), 소아기(2세~10세), 사춘기와 성인기로 분류할 수 있다.
유아기의 경우 얼굴의 양 볼에 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며 소아기에는 얼굴보다는 팔다리의 펴지는 부위와 목 부위에 잘 나타난다. 사춘기와 성인기에는 소아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는데 가려움발진(양진)이나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주름이 심하게 보이는 태선화 증상이 흔하다. 아토피피부염은 대부분 성장하면서 증상이 호전되나 최근 들어 성인이 되어서까지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건선은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는 비전염성 만성피부질환으로 최근 우리나라의 건선 환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건선은 주로 두피, 팔꿈치, 무릎에서 발생하는데 피부에 좁쌀 같은 붉은 색을 띠는 발진이 생기고 그 위에 하얀 피부 각질세포가 덮이게 된다. 건선은 햇볕 속 자외선에 의해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여름에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무작정 햇볕을 많이 쬐면 화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아토피피부염과 건선은 치료 중에는 호전되고 치료를 중단하면 악화되는 상황을 반복하는 만성 질환이므로 일시적인 호전에 현혹되지 않고 장기적 안목으로 꾸준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마다 유발 요인이나 악화 인자, 증상이 서로 다르므로 다른 사람의 치료법을 따라하기 보다는 의사와 상담하여 우리 아이에게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강도는 혈관 수축작용에 따라 가장 강한 1등급에서 가장 약한 7등급까지 7개의 등급으로 나뉜다. 소아의 경우 피부가 얇아 국소 스테로이드의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질환의 중증도와 피부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강도의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는 신체 부위에 따라 피부의 두께와 혈관의 분포가 다르므로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바를 때는 정해진 질환 부위에만 적정량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소아의 경우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 비율이 크기 때문에 동일량을 사용하더라도 과도하게 약물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얼굴, 목, 접히는 부위처럼 피부가 얇거나 혈관이 많은 부위에 바를 경우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약물을 바른 후 기저귀로 덮어주면 그 부위의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 약물 흡수가 증가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한다.
국소 스테로이드제는 제형에 따라 연고, 크림, 로션, 겔, 용액, 스프레이 등이 있다. 연고, 크림, 로션 등의 제형을 사용할 때에는 그 부위를 깨끗이 하고, 타월로 가볍게 닦은 후 면봉 등을 이용하여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기의 입구 부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스프레이제는 약 성분이 용기 내 압력 하에 있으므로 용기에 구멍을 내거나 열 또는 화염 근처에서 사용하거나 보관하지 않는다.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 시 피부위축, 스테로이드성 홍조, 여드름, 다모증 등의 국소적인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 사용을 피하고 천천히 사용량을 줄여 스테로이드를 함유하지 않은 약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장기간 강한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드물게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의 억제, 쿠싱증후군, 골다공증 등과 같은 전신적인 이상반응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피부 질환 부위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에 쉽게 감염될 수 있어 이차 피부 감염으로 인한 증상 악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적절한 항균제나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아이들에게 피부질환이 발생했을 경우 질환 부위와 증상에 적절한 성분의 국소 치료제를 선택하여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날씨가 더워짐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는 만큼 청결과 피부 보습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좋다. 그러나 아토피피부염, 건선은 만성 피부질환이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3Q 누적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대웅제약∙종근당 |
2 | 리가켐바이오 파트너사 시스톤, 'LCB71' 업데이트 임상1a상 포스터 발표 |
3 | 이엔셀, 국제학회서 차세대 중간엽 줄기세포 'EN001' 1a상 결과 발표 |
4 | 화장품 기업 74개사 3Q 누적 순이익 평균 264억…전년比 54.4%↑ |
5 | [대약] 박영달 선대본, 선관위에 항의 "불공정 선거 사죄하라" |
6 | 대한약사회, 수급 불안정 '이모튼캡슐' 약국 균등공급 실시 |
7 | 써모피셔 아닐 카네 기술총괄 "바이오 경구제형 변경 열풍…'CDMO' 협력이 상업 성공 핵심" |
8 | “환자안전사고 1위 ‘투약 오류’…‘에피네프린‧뮤코미스트’ 사고로 시스템 개선” |
9 | 노보, 품질 확보 위한 4억 달러 투자 감행…"이번엔 QC다" |
10 | 뷰티 브랜드·제조사·유통기업 , '수출의 탑' 대거 수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아이들에게 흔히 발생할 수 있는 비감염성 피부 질환으로는 기저귀피부염, 아토피피부염, 건선 등을 꼽을 수 있다.
특히 아토피피부염, 건선은 환절기나 겨울처럼 건조한 계절에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이 있다 보니 요즘처럼 기온과 습도가 상승하는 계절에는 조금 관리를 소홀히 해도 괜찮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냉방기기도 겨울 못지않은 건조한 환경을 만들기 때문에 아토피피부염, 건선은 더운 날씨에도 반드시 꼼꼼한 관리가 필요한 피부 질환이다.
기저귀피부염은 기저귀 차는 부위에 생기는 피부염(혹은 습진)을 총칭하는 것으로 일종의 자극에 의한 피부염이다. 기저귀피부염의 여러 가지 원인으로는 기저귀와 피부 사이의 마찰, 소변, 대변, 칸디다 곰팡이, 기저귀 소독에 사용되는 세제 등이 있다.
특히 덥고 습한 무더위가 시작되면 조금만 청결 관리에 소홀히 해도 기저귀피부염이 생기기 쉽다. 그러나 기저귀 차는 부위에 생긴 발진이 모두 기저귀피부염은 아니며 간혹 건선 같은 만성 피부질환의 처음 징후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를 반드시 주의해야 한다.
아토피피부염은 오래 지속되는 만성 피부염으로 대개 생후 2~3개월부터 나타난다. 아토피피부염의 증상은 주로 심한 가려움증이며 그 부위를 긁거나 문지르면 습진이 심해지고 그로 인해 다시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된다.
아토피피부염은 보통 겨울에 증상이 심해지지만 여름철에 흘리는 땀도 아토피를 악화시킬 수 있다. 아토피피부염은 연령에 따라 유아기(2개월~2세), 소아기(2세~10세), 사춘기와 성인기로 분류할 수 있다.
유아기의 경우 얼굴의 양 볼에 홍반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며 소아기에는 얼굴보다는 팔다리의 펴지는 부위와 목 부위에 잘 나타난다. 사춘기와 성인기에는 소아기와 비슷한 분포를 보이는데 가려움발진(양진)이나 피부가 두꺼워지면서 주름이 심하게 보이는 태선화 증상이 흔하다. 아토피피부염은 대부분 성장하면서 증상이 호전되나 최근 들어 성인이 되어서까지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도 있다.
건선은 악화와 호전이 반복되는 비전염성 만성피부질환으로 최근 우리나라의 건선 환자 수가 증가하는 가운데 특히 어린이와 청소년 환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건선은 주로 두피, 팔꿈치, 무릎에서 발생하는데 피부에 좁쌀 같은 붉은 색을 띠는 발진이 생기고 그 위에 하얀 피부 각질세포가 덮이게 된다. 건선은 햇볕 속 자외선에 의해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는 대표적인 질환으로 여름에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는데 무작정 햇볕을 많이 쬐면 화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특히 아토피피부염과 건선은 치료 중에는 호전되고 치료를 중단하면 악화되는 상황을 반복하는 만성 질환이므로 일시적인 호전에 현혹되지 않고 장기적 안목으로 꾸준치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환자마다 유발 요인이나 악화 인자, 증상이 서로 다르므로 다른 사람의 치료법을 따라하기 보다는 의사와 상담하여 우리 아이에게 적절한 치료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강도는 혈관 수축작용에 따라 가장 강한 1등급에서 가장 약한 7등급까지 7개의 등급으로 나뉜다. 소아의 경우 피부가 얇아 국소 스테로이드의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질환의 중증도와 피부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강도의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부는 신체 부위에 따라 피부의 두께와 혈관의 분포가 다르므로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바를 때는 정해진 질환 부위에만 적정량을 사용해야 한다.
특히 소아의 경우 체중에 비해 체표면적 비율이 크기 때문에 동일량을 사용하더라도 과도하게 약물이 흡수될 수 있으므로 얼굴, 목, 접히는 부위처럼 피부가 얇거나 혈관이 많은 부위에 바를 경우 주의해야 한다.
또한 약물을 바른 후 기저귀로 덮어주면 그 부위의 온도와 습도가 올라가 약물 흡수가 증가하므로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만 의사의 감독 하에 사용해야 한다.
국소 스테로이드제는 제형에 따라 연고, 크림, 로션, 겔, 용액, 스프레이 등이 있다. 연고, 크림, 로션 등의 제형을 사용할 때에는 그 부위를 깨끗이 하고, 타월로 가볍게 닦은 후 면봉 등을 이용하여 바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용기의 입구 부분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스프레이제는 약 성분이 용기 내 압력 하에 있으므로 용기에 구멍을 내거나 열 또는 화염 근처에서 사용하거나 보관하지 않는다.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 시 피부위축, 스테로이드성 홍조, 여드름, 다모증 등의 국소적인 이상반응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장기 사용을 피하고 천천히 사용량을 줄여 스테로이드를 함유하지 않은 약으로 바꾸어 사용한다.
장기간 강한 국소 스테로이드제를 지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드물게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HPA) 축의 억제, 쿠싱증후군, 골다공증 등과 같은 전신적인 이상반응도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피부 질환 부위는 국소 스테로이드제 사용에도 불구하고 세균이나 바이러스, 진균에 쉽게 감염될 수 있어 이차 피부 감염으로 인한 증상 악화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증상이 나타날 경우에는 적절한 항균제나 항바이러스제, 항진균제 등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아이들에게 피부질환이 발생했을 경우 질환 부위와 증상에 적절한 성분의 국소 치료제를 선택하여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날씨가 더워짐에 따라 증상이 악화될 수도 있는 만큼 청결과 피부 보습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좋다. 그러나 아토피피부염, 건선은 만성 피부질환이므로 계절에 관계없이 적절히 관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