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사장은 금강제약이 국내 합성 제 1호인 성병 치료제 살발산 합성에 성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머큐로크롬의 합성 또한 그의 역할이 컸다. 당시 최병욱 사장과 함께 연구‧개발에 투신했던 인물의 한사람이 바로 현재 대한약품을 이끌고 있는 이윤우 회장의 선친 이인실(경성약전 4회)사장이다.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머큐로크롬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를 경영하다 1944년 귀국한 최병욱은 이인실과 동업으로 이듬해 10월 서울 명동에서 대한약품의 전신인 주사제 전문 메이커 조선약품화학공업사를 창립했다.
한국전쟁 발발 후 북송위기에서 탈출해 군산으로 피난한 끝에 회사를 재건한 이인실과 달리 부산에서 1952년 11월 설립된 백수의약의 전무이사로 취임한 최병욱은 환도 이후 숙명약대 교수, 태양제약 전무, 서울시약사회 회장, 대한약사회 회장 등을 거쳤다.
최병욱은 이인실 대표가 타계한 후 서울 영등포구 방화동으로 둥지를 옮기면서 명칭을 변경한 대한약품공업사에 1968년 제 3대 대표이사로 초빙되어 취임했다.
설립자와 경성약전 동기로 오랜 동지였기에 창립취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그 뜻을 충실히 지켜나갈 적임자인 데다 수액제 분야에서 전문지식을 갖춘 경영인을 필요로 했기에 성사된 일이었다.
그가 대표이사를 맡는 동안 대한약품은 분위기를 쇄신하고 ‘포도당 5%’와 전해질 수액, 생리식염액을 비롯한 제품다양화에 전력을 기울이면서 수액(輸液) 주사제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메이커로 탄탄한 입지를 다졌다.
군납업체 등록과 항생제 메치실린 및 겐타마이신의 제조허가를 취득한 것도 그의 재임기간 동안 이루어진 개가였다.
덕분에 대한약품은 이후로 치료용 의약품까지 속속 추가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전문 의약품업체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구축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박셀바이오, AACR서 '항PD-L1 CAR' 전임상 결과 발표 |
2 | 지아이이노베이션, 내일까지 일반청약…공모가 1만3천원 확정 |
3 | 파미셀, 중동지역 줄기세포 의료·화장품 사업 확대 |
4 | 바이넥스, 2022년 매출 1567억원…전년比 16.6%↑ |
5 | 셀트리온제약, 2022년 매출액 3860억원·영업이익 382억원 달성 |
6 | 이수앱지스, 2022년 매출 412억원…전년比 46.9%↑ |
7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2022년 매출 79억원…전년比 15.0%↓ |
8 | 에스티팜 , 2022년 매출 2493억원…전년比 50.5%↑ |
9 | 강스템바이오텍 "환절기 피부엔 ‘메가셀 리프팅 앰플’" |
10 | 아이진, mRNA 코로나19 백신 개발 계획 발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최 사장은 금강제약이 국내 합성 제 1호인 성병 치료제 살발산 합성에 성공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머큐로크롬의 합성 또한 그의 역할이 컸다. 당시 최병욱 사장과 함께 연구‧개발에 투신했던 인물의 한사람이 바로 현재 대한약품을 이끌고 있는 이윤우 회장의 선친 이인실(경성약전 4회)사장이다.
중국 상하이로 건너가 머큐로크롬을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업체를 경영하다 1944년 귀국한 최병욱은 이인실과 동업으로 이듬해 10월 서울 명동에서 대한약품의 전신인 주사제 전문 메이커 조선약품화학공업사를 창립했다.
한국전쟁 발발 후 북송위기에서 탈출해 군산으로 피난한 끝에 회사를 재건한 이인실과 달리 부산에서 1952년 11월 설립된 백수의약의 전무이사로 취임한 최병욱은 환도 이후 숙명약대 교수, 태양제약 전무, 서울시약사회 회장, 대한약사회 회장 등을 거쳤다.
최병욱은 이인실 대표가 타계한 후 서울 영등포구 방화동으로 둥지를 옮기면서 명칭을 변경한 대한약품공업사에 1968년 제 3대 대표이사로 초빙되어 취임했다.
설립자와 경성약전 동기로 오랜 동지였기에 창립취지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고, 그 뜻을 충실히 지켜나갈 적임자인 데다 수액제 분야에서 전문지식을 갖춘 경영인을 필요로 했기에 성사된 일이었다.
그가 대표이사를 맡는 동안 대한약품은 분위기를 쇄신하고 ‘포도당 5%’와 전해질 수액, 생리식염액을 비롯한 제품다양화에 전력을 기울이면서 수액(輸液) 주사제를 전문적으로 생산하는 메이커로 탄탄한 입지를 다졌다.
군납업체 등록과 항생제 메치실린 및 겐타마이신의 제조허가를 취득한 것도 그의 재임기간 동안 이루어진 개가였다.
덕분에 대한약품은 이후로 치료용 의약품까지 속속 추가하면서 오늘날과 같은 전문 의약품업체로 발돋움하는 기반이 구축될 수 있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