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례 1]
성별 : 여
나이 : 55세ㆍ증상 :
특이 병력 없는 55세 여자환자로 15년전부터 있던 전신의 은백색 인설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으로 외래 내원했다.ㆍ진찰소견 :
환자 간헐적인 가려움 호소하였으며, 등 및 배, 양하지에 다양한 크기의 은백색 인설이 있는 구진 및 판이 관찰되었고, PASI Score 24.3 , BSA 40% 측정되었다.ㆍ진단검사 :
내원 시 시행한 혈액검사 상 특이소견 없었다.ㆍ처방 및 치료경과 :
경구 antihistamine 및 cyclosporine투약 및, Steroid 외용제 도포교육하였고 주 2~3회 Narrow band UVB 치료하며 경과관찰 하였으나 증상 큰 호전 없어 Ustekinumab 45mg 3개월마다 1회 투약하며 경과관찰중 8차 투여시 PASI 2 BSA 3% 측정되었고 16차 투여시 PASI 0.7 BSA 0 측정되었으며 동반투약 약제 및 혈액학적 이상소견 없이 현재 Ustekinumab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
[사례 2]
성별 : 남
나이 : 37세ㆍ증상 :
고혈압 외에 특이 병력없는 37세 남자환자로 몇 년전부터 발생한 전신의 인설성 판으로 타병원에 내원해 건선 진단를 받고, 치료를 위해 외래 내원을 했다.ㆍ진찰소견 :
환자 피부병변 외 특이 호소증상 없었으며 사지를 중심으로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다양한 크기의 인설동반한 홍반성 구진 및 판이 소견 관찰되었고, 양 손톱 및 발톱에 pitting 및 Beau line 관찰되는 등 손발톱 건선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PASI Score 21.6 BSA 23% 측정되었다.ㆍ진단검사 :
내원 시 시행한 혈액검사상 WBC 11980/uL 의 mild elevation 이외에 특이소견 없었다.ㆍ처방 및 치료경과 :
경구 antihistamine 및 steroid 외용제 도포교육 하였고 주 2~3회 Narrow band UVB 치료하며 경과관찰중 증상 일부 호전되었으나 Narrow band UVB 치료 후 가려움증을 호소하여 경구 antihistamine 병용치료하였다.경과관찰 하다가 Ustekinumab 45mg 3개월마다 1회 투약하며 증상이 급격히 호전되어 4차 투약 시 PASI Score 4.6 BSA 7% 측정되었고 현재 8차 투약까지 마친 상태로 인설성 판은 모두 사라지고 일부 홍반성 구진만 남은 상태로 PASI Score 0.9 및 BSA 1% 유지하며 Ustekinumab 치료 지속하고 있다.
[사례 3]
성별 : 남
나이 : 46세ㆍ증상 :
특이 병력 없는 46세 남자환자로 10년전 전신의 인설성 판 주소로 타병원 내원하여 건선 및 동반된 건선관절염을 진단 받고 주1회 Methotrexate 투약하며 보전적 치료 중 부작용이 발생하여 중단하였고 Ustekinumab 투약을 위해 외래 내원하였다.
ㆍ진찰소견 :
환자 피부 건조함과 건선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호소하고 있었으며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인설성 구진 및 판이 관찰되었다. PASI Score 34.6, BSA 74% 측정되었다.ㆍ진단검사 :
내원시 시행한 혈액검사상 WBC 13090/uL의 mild elevation이외에 특이소견 없었다.ㆍ처방 및 치료경과 :
Ustekinumab 45mg 3차 투약후 시행한 TB Specific Antigen-INF-gamma에서 양성소견 보여 예방적으로 INH 복용후 Total Bilirubin 6.62mg/dl, AST/ALT 652/1106 IU/L 측정되어 Acute hepatitis 진단하 치료하며 Ustekinumab 중단하였다. 이후 경구 antihistamine 및 steroid 외용제 도포교육 하며 경과관찰 중 증상 악화되어 1달 뒤 Ustekinumab 45mg 3개월 마다 1회 투약 시작하였고 8차 투약중 PASI Score 3.0 BSA 9% 측정되었고 이후 동반투약 약제 및 혈액학적 이상소견 없이 현재 Ustekinumab으로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
고찰
건선의 치료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병터가 완전히 소실되거나 현저한 호전을 보이도록 하고 장기간 재발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건선의 치료방법을 선택할 때에는건선의 중증도, 활성도, 병터의 형태, 발생부위, 환자의 나이, 치료접근 가능성, 간과 콩팥기능을 포함한 전신 건강상태, 과거 치료에 대한 반응과 부작용,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환자의 순응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해야한다.
그 중증도에 따라서 다양한 치료방법이 이용되며 경증의 건선에서는 주로 국소치료와 광선치료를, 중증인 경우에는 국소치료, 전신치료, 광선치료를 모두 사용하며이 치료에도 반응이 없으면 생물학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스테키누맵은 중등도 이상의 만성 판상 건선의 치료에 사용되는 생물학제제로, FDA에서 2009년부터 승인되어 현재 국내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건선치료용 생물학제제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삼천당제약,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 시작 |
2 | 제약바이오 3분기 평균 총차입금 코스피 2353억원, 코스닥 589억원...전년비↑ |
3 | 유통업계, 물류대전 심화된다 |
4 | 제약바이오 3분기 이자비용 및 이자보상배율...코스피 증가, 코스닥은 감소 |
5 | AZㆍ다이이찌 산쿄 새 유방암 치료제 FDA 승인 |
6 | 미국 WHO 이탈…한국 공중보건·외교 전략은 어디로? |
7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8 | 제약바이오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전년比 코스피 감소, 코스닥은 증가 |
9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사노피 빅딜 뛰어넘는 L/O 임박" |
10 | 화장품기업 2024년 3분기 총차입금의존도 17.26% …전년比 0.05%p↓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사례 1]
성별 : 여
나이 : 55세ㆍ증상 :
특이 병력 없는 55세 여자환자로 15년전부터 있던 전신의 은백색 인설을 동반한 홍반성 구진으로 외래 내원했다.ㆍ진찰소견 :
환자 간헐적인 가려움 호소하였으며, 등 및 배, 양하지에 다양한 크기의 은백색 인설이 있는 구진 및 판이 관찰되었고, PASI Score 24.3 , BSA 40% 측정되었다.ㆍ진단검사 :
내원 시 시행한 혈액검사 상 특이소견 없었다.ㆍ처방 및 치료경과 :
경구 antihistamine 및 cyclosporine투약 및, Steroid 외용제 도포교육하였고 주 2~3회 Narrow band UVB 치료하며 경과관찰 하였으나 증상 큰 호전 없어 Ustekinumab 45mg 3개월마다 1회 투약하며 경과관찰중 8차 투여시 PASI 2 BSA 3% 측정되었고 16차 투여시 PASI 0.7 BSA 0 측정되었으며 동반투약 약제 및 혈액학적 이상소견 없이 현재 Ustekinumab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
[사례 2]
성별 : 남
나이 : 37세ㆍ증상 :
고혈압 외에 특이 병력없는 37세 남자환자로 몇 년전부터 발생한 전신의 인설성 판으로 타병원에 내원해 건선 진단를 받고, 치료를 위해 외래 내원을 했다.ㆍ진찰소견 :
환자 피부병변 외 특이 호소증상 없었으며 사지를 중심으로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다양한 크기의 인설동반한 홍반성 구진 및 판이 소견 관찰되었고, 양 손톱 및 발톱에 pitting 및 Beau line 관찰되는 등 손발톱 건선 소견을 보이고 있었다. PASI Score 21.6 BSA 23% 측정되었다.ㆍ진단검사 :
내원 시 시행한 혈액검사상 WBC 11980/uL 의 mild elevation 이외에 특이소견 없었다.ㆍ처방 및 치료경과 :
경구 antihistamine 및 steroid 외용제 도포교육 하였고 주 2~3회 Narrow band UVB 치료하며 경과관찰중 증상 일부 호전되었으나 Narrow band UVB 치료 후 가려움증을 호소하여 경구 antihistamine 병용치료하였다.경과관찰 하다가 Ustekinumab 45mg 3개월마다 1회 투약하며 증상이 급격히 호전되어 4차 투약 시 PASI Score 4.6 BSA 7% 측정되었고 현재 8차 투약까지 마친 상태로 인설성 판은 모두 사라지고 일부 홍반성 구진만 남은 상태로 PASI Score 0.9 및 BSA 1% 유지하며 Ustekinumab 치료 지속하고 있다.
[사례 3]
성별 : 남
나이 : 46세ㆍ증상 :
특이 병력 없는 46세 남자환자로 10년전 전신의 인설성 판 주소로 타병원 내원하여 건선 및 동반된 건선관절염을 진단 받고 주1회 Methotrexate 투약하며 보전적 치료 중 부작용이 발생하여 중단하였고 Ustekinumab 투약을 위해 외래 내원하였다.
ㆍ진찰소견 :
환자 피부 건조함과 건선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호소하고 있었으며 얼굴을 제외한 전신에 인설성 구진 및 판이 관찰되었다. PASI Score 34.6, BSA 74% 측정되었다.ㆍ진단검사 :
내원시 시행한 혈액검사상 WBC 13090/uL의 mild elevation이외에 특이소견 없었다.ㆍ처방 및 치료경과 :
Ustekinumab 45mg 3차 투약후 시행한 TB Specific Antigen-INF-gamma에서 양성소견 보여 예방적으로 INH 복용후 Total Bilirubin 6.62mg/dl, AST/ALT 652/1106 IU/L 측정되어 Acute hepatitis 진단하 치료하며 Ustekinumab 중단하였다. 이후 경구 antihistamine 및 steroid 외용제 도포교육 하며 경과관찰 중 증상 악화되어 1달 뒤 Ustekinumab 45mg 3개월 마다 1회 투약 시작하였고 8차 투약중 PASI Score 3.0 BSA 9% 측정되었고 이후 동반투약 약제 및 혈액학적 이상소견 없이 현재 Ustekinumab으로 치료를 지속하고 있다.
고찰
건선의 치료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병터가 완전히 소실되거나 현저한 호전을 보이도록 하고 장기간 재발을 억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건선의 치료방법을 선택할 때에는건선의 중증도, 활성도, 병터의 형태, 발생부위, 환자의 나이, 치료접근 가능성, 간과 콩팥기능을 포함한 전신 건강상태, 과거 치료에 대한 반응과 부작용,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환자의 순응도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선택해야한다.
그 중증도에 따라서 다양한 치료방법이 이용되며 경증의 건선에서는 주로 국소치료와 광선치료를, 중증인 경우에는 국소치료, 전신치료, 광선치료를 모두 사용하며이 치료에도 반응이 없으면 생물학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스테키누맵은 중등도 이상의 만성 판상 건선의 치료에 사용되는 생물학제제로, FDA에서 2009년부터 승인되어 현재 국내에서도 사용되고 있는 건선치료용 생물학제제이다.